DOI QR코드

DOI QR Code

관광경찰 역할에 대한 역할모호성·역할갈등과 업무만족, 업무수행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 Role Ambiguity·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on Role of Tourism Police Officers

  • 김상운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조승아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제의료경영학과)
  • 투고 : 2014.10.07
  • 심사 : 2014.12.11
  • 발행 : 2015.01.28

초록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의 안전 및 치안을 위해 2013년 10월 16일 서울 관광경찰대가 출범하였다. 관광경찰의 주요역할은 관광지내 범죄예방 순찰 및 기초질서 유지, 외국인 관광객 대상 불법행위 단속 및 수사와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과 협조하여 음식점 숙박업소 택시 등 관광관련 영업의 부당요금 단속, 관광 관련 업계 및 종사자에 대한 행정지도 및 단속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관광경찰의 역할을 살펴보면, 일반 경찰과 역할이 중첩되고,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 타 기관과의 업무협력을 요하는 부분이 많아 일반 경찰과 관광경찰 사이에는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경찰의 역할에 대한 일반경찰과 관광경찰의 역할 모호성 역할갈등이 업무만족 및 업무수행도에 대한 인식차이와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관광경찰제도의 발전에 기여고자 한다.

The tourism police force has been established on 16th October 2013 for foreign tourists' safety and security. The major roles of tourism police officers were provided a crime prevention patrol and maintenance of order in tourist destination, a clampdown on illegal activities for foreign tourists, a controlling for overcharging of restaurants accommodations taxi, an administrative guidance and controls on tourism industry and worker in union relative organ lik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roles of tourism police officers overlap the work of general police officers and work of tourism police officers need a cooperative business with relative organs. It is caused a role ambiguity conflict between tourism police officers and general police offic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tourism police system through investigate a perceived gap of role ambiguity conflict between tourism police officers and general police officer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of role ambiguity confli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용, "관광지 안전과 관광경찰의 역할", 한국관광정책, 제53호, 2013.
  2. 경찰청, "대한민국 관광진흥 위해 관광경찰대 발대한다", 정책브리핑(2013. 7. 17), 2013.
  3. 경찰청, "관광한국 지킴이 관광경찰 부산.인천에서 출범한다", 정책브리핑(2014. 7. 4), 2013.
  4. 정효수, 문형구, 최병권, "분배공정성, 승진기회인식, 역할갈등이 공군조종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료구직행동 및 직무몰입의 조절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775-2809, 2011.
  5. 정지웅, 임상봉, "농촌지도자의 역할갈등 및 역할 모호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농업교육학회, 제17권, 제1호, pp.55-70, 1988.
  6. 조영신, 최종률, 양정미, "A항공사 케이터링 종사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조직몰입과 경력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6권, 제8호, pp.207-229, 2012.
  7. G. A. Churchill, N. M. Ford, and O. C. Walker,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Scalefor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3, pp.323-332, 1974.
  8. 전재균, 김천서, "역할갈등.역할모호성이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17권, 제1호, pp.55-70, 2002.
  9. 김성환,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과 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6권, 제2호, pp.3-22, 2014.
  10. J. R. Rizzo, R. J. House, and S. I. Lirtzma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5, No.2, pp.150-163, 1970. https://doi.org/10.2307/2391486
  11. S. P. Brown and R. A. Perterson,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Meta 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Feb. 30, pp.63-77, 1993. https://doi.org/10.2307/3172514
  12. R. W. Beauty and C. E. Schnier, Personnel Administration; An Experimental Skill-Building, Approach, 2nd 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1.
  13. 박영진, "민간경비원의 역할모호성이 직무능력 및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안전학회지, 제7권, 제2호, pp.27-44, 2011.
  14. 김영돈, 교육공무원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15. 정상완, 한진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127-13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