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Expressed in the Costume of Tarsem Singh Movies - Focusing on "The Cell" and "The Fall" -

타셈 싱(Tarsem Singh) 영화의상에 표현된 매직리얼리즘의 표현특성 - 더 셀(The Cell)과 더 폴(The Fall) 영화를 중심으로 -

  • Yang, Soohy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Yo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4.05.27
  • Accepted : 2014.10.02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Magic realism, which originated in the culture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creates a fantastic fictional word by linking unrelated incidents using mag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arsem Singh's design characteristics that are based on magic realism in his movies, "The Cell" and "The Fall", and to highlight the artistic values appearing in the fil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 of magic realism based on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and discovering how Singh expressed these creatively and experimentally within the costumes in his fil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magical, legendary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appear within the fantasy of magical realism, and common techniques within film costuming include repetition of similar objects, solid silhouettes within scenes, and various decorative materials used for fantastic expression. Secondly, regarding ideality, the destruction of previous ideas and recreation of the present were found with materials and details used in film costuming to destroy previous ideas. Expressions of character through external decoration and depiction of living things as not living were also found. Thirdly, reiteration showed the coexistence of history and legend, reality and fantastic elements, and arrangement of opposing elements.

Keywords

References

  1. Borges, J. L. (1994), 황병하 역, 불한당들의 세계사, 서울: 민음사, p. 128.
  2. 동중우 (2013), 중남미 영화의 마술적 사실주의 연구: A. 조도로프스키 텍스트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
  3. 김종완 (2012), 마술적사실주의 영화 '베사메 무쵸'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고찰, 철학사상문화, 14(-), p. 238.
  4. 김종완 (2012), 마술적사실주의 영화 '베사메 무쵸'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고찰, 철학사상문화, 14(-), p. 236.
  5. "미술로 보는 '더 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 자료검색일 2014. 1. 6, http://www.moazine.com/sdjvuviewer/index.asp
  6. 서지석 (2010), 오규원 시의 마술성과 창작방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15.
  7. 전봉철 (1999),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의 지형학,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2.
  8. 자료검색일 2014. 3. 2,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1&contents_id=3004
  9. Zamora, L. P. & Faris, W. B. (2001), 우석균 외 역, 마술적 사실주의, 서울: 한국문화사, pp. 67-68.
  10. 자료검색일, 2014. 3. 5, http://www.sapergallery.com/Gonsalves.html.
  11. 홍경한 (2008. 5월호), Public Art: 더 폴(The Fall), 현실 속 환 상의 장막을 열다, 서울: 아트인 포스트, p. 62.
  12. 자료검색일, 2014. 3. 5, http://www.theworldofmichaelparkes.com/cm/Home.html
  13. 김명선 (2011), 현실 속 환상세계를 소재로 한 도자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6.
  14. 박병규 (2001), 마술적사실주의: 문화적 자의식과 문학적 지형도, 라틴아메리카 연구, 14(2), p. 15.
  15. 신정환 (2001), 마술적 사실주의의 경계: 마술적 사실주의와 경이로운 현실, 라틴아메리카연구, 14(2), p. 32.
  16. Zamora, L. P. & Faris, W. B. (2001), 우석균 외 역, 마술적 사실주의, 서울: 한국문화사, p. 95.
  17. 신정환 (2001), 마술적 사실주의의 경계: 마술적 사실주의와 경이로운 현실, 라틴아메리카연구, 14(2), p. 34.
  18. 홍경한 (2008. 5월호), Public Art: 더 폴(The Fall), 현실 속 환 상의 장막을 열다, 서울: 아트인 포스트, p. 57.
  19. Zamora, L. P. & Faris, W. B. (2001), 우석균 외 역, 마술적 사실주의, 서울: 한국문화사, p. 64.
  20. 신정환 (2001), 마술적 사실주의의 경계: 마술적 사실주의와 경이로운 현실, 라틴아메리카연구, 14(2), p. 41.
  21. 서지석 (2010), 오규원 시의 마술성과 창작방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6.
  22. Tzvetan Todorov (1974),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trans. Richard Howard,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p. 41.
  23. Zamora, L. P. & Faris, W. B. (2001), 우석균 외 역, 마술적 사실주의, 서울: 한국문화사, pp. 153-163.
  24. 대니얼 버트 (2000), 김지원 역, 호모 리테라리우스, 서울: 세종서적, p. 377.
  25. 김현창 (1994), 중남미 문학사, 서울: 민음사, p. 473.
  26. "가르시아 마르께스와 마술적 사실주의", 자료검색일 2014. 6. 18, http://blog.daum.net/wooskk/4900845
  27. 전금자 (2001), 현실과 허구의 구조적 와해를 반영하는 회화의 표현연구: 남미문학의 마술적 사실주의의 경향과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28. 서지석 (2010), 오규원 시의 마술성과 창작방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29. 전봉철 (1999), 포스트모던 리얼리즘의 지형학,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5.
  30. 동중우 (2013), 중남미 영화의 마술적 사실주의 연구: A. 조도로프스키 텍스트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
  31. 자료검색일 2014. 5. 29. http://www.tarsem.org/#/about/bio/english
  32. 이윤희 (2013), 타셈 싱의 영화에 나타난 숭고 연구: <더 폴>을 중심으로, 한국 만화애니메이션 학회, (32), p. 252.
  33. 김희정 (2009), 이시오까 에이꼬의 영화의상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17(4), p. 586.
  34. 이윤희 (2013), 타셈 싱의 영화에 나타난 숭고 연구: <더 폴>을 중심으로, 한국 만화애니메이션 학회, (32), p. 253.
  35. 타셈 싱 (2000) "더 셀", DVD.
  36. Margarete Bruns (1999), 조정옥 역, 색의 수수께끼, 서울: 세종연구원, p. 234.
  37. 노정민 (2007), 영화 '더셀(The Cell)'의 색채 이미지 분석, 한국색채디자인학연구, 3(1), p. 18.
  38. 김희정 (2009), 이시오까 에이꼬의 영화의상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17(4), p. 593.
  39. Schlobin, R. C. (1979), The Literature of Fantasy: a comprehensive annotated bibliography of modern fantasy fiction,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p, 14.
  40. 박성봉 (2001), 대중예술의 미학, 서울: 동연, p. 351.
  41. 자료검색일 2014. 3. 18, www.naver.com
  42. 배세화 (2007), 탈 고정관념을 적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한국가구학회, -(-), p. 57.
  43. 김현미, 임지영, 정예란 (2006), 중첩을 응용한 현대패션의 표현적 특성, 복식, 56(1), p. 112.
  44. 임지아, 김민자 (2013),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첩 기법의 유형과 사례분석, 복식, 63(8), p. 108.

Cited by

  1. 현대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스타일의 표현특성 vol.24, pp.6, 2015, https://doi.org/10.7741/rjcc.2016.24.6.903
  2. 현대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히피 스타일의 재현적 특성 vol.27, pp.4, 2015, https://doi.org/10.29049/rjcc.2019.27.4.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