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lements of Character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3rd and 4th Grades-

2009 개정 수학 교과용 도서의 인성 요소 분석 -3, 4학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10.15
  • Accepted : 2015.11.23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how the elements of character are reflected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focused on the elements of character in the 3rd and 4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elements of character in the students'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In particular, they analyzed how those elements of character are reflected in those book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lements of character were founded in the most of units on the 3rd and 4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ut they were biased to the specific elements of character. Second, the resources using related with character vary in the textbooks. As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connections of elements of character with mathematical concepts, broader view of the world, or problem solving are appeared.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suggest the followings. We need to set the teacher's roles in character education.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include various elements of character for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o development of quality materials for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본 연구는 2009 개정 3,4학년 수학 교과용 도서에서 인성 요소를 어떠한 방식으로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자료 중에서 인성 요소를 발견할 수 있는 부분을 먼저 찾고,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수학적 내용과 연계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4학년 수학 교과서 대부분의 단원에서 인성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특정 인성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인성 요소를 연계하고 있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인성적인 소재 활용이 가장 많았고, 수학적인 개념과 접목, 광의의 관점에서 접목, 그리고 문제해결 단계에서 접목하는 방법 순으로 빈도가 많았다. 셋째, 상대적으로 책임, 인내, 공정, 용기 등의 인성 요소가 취약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시사점으로는 편중되어 있는 인성의 요소를 가능한 고르게 반영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용 도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단순한 인성적인 소재 활용 외에도 수학적인 개념과 접목하거나 광의의 관점에서 접목하는 등의 수학적으로 보다 의미 있는 인성 요소 연계방안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보 외 (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 문제연구, 30, 1-38.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09a).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5. 교육과학기술부 (2009b). 2009 개정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부 (2013). 인성교육 강화 기본 계획. 교육부.
  7. 권오남, 박지현, 박정숙 (2011).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수업 모형 사례. 수학교육, 50(4), 403-428.
  8. 김광민 (2001). 교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위치-인성교육에 주는 시사. 도덕교육연구, 13(2), 23-46.
  9. 김국현 (2010).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과지식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12.
  10. 김상룡 (2003). 인성으로의 수학과 수학교육. 초등교육연구논총, 19(1), 127-142.
  11. 김수경 (2013).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인성 함양을 위한 목표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헌수 외 (1997).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문화발전소, 16, 155-210.
  13. 남덕우 외 (1996). 교육학 대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14. 박병기 외 (2011). 도덕수업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 고양: 인간사랑.
  15. 박효정 (2000). 한국 사회의 도덕성 측정을 위한 도덕성 개념 및 덕목요소 추출. 한국교과교육학회, RR 2000-2.
  1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17. 윤영 (2011). 교사와 학부모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일치도 및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근철 (1996). 초등학교 도덕.인성 교육의 발전방향. 경인초등 도덕교육학회, 11(2), 67-83.
  19. 이명준 (2001). 플라톤의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본 교육의 의미. 한국교육, 28(1), 51-74.
  20. 이형득 (1995). 집단치료를 방해하는 부적절한 행동. 한국임상심리학회, 95(2), 12-23.
  21. 장성모 (1996). 인성의 개념과 인성교육. 한국초등교육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발표 논문. 초등교육연구, 10, 85-93.
  22. 조난심 (2004). 인성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23. 조우기, 오영열 (2010). 수학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22.
  24. 조연순 (2007).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변화와 인성교육의 요구.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현상과 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15-38.
  25. 조연순 (1998).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학연구, 11(2), 36-50.
  26. 최조아, 박만구 (2013). 초등수학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요소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논문발표대회프로시딩. 부산교육대학교.
  27. 최현섭 (1999).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한국교과교육학회 학술발표 대회, 88-100.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9. 한국교육개발원 (1994). 교육개발 학술마당, 90(3), 116.
  30. 황응연 (1992). 심리학과 생활. 서울: 배양사.
  31. 현주, 최상근, 차성현, 류덕엽, 이혜경 (2009). 학교 인성교육실태 분석 연구: 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 RR 2009-09.
  32. Akin, T. (1995). Character education in America's schools. Spring Valley, CA: Interactive Publishing.
  33. Charalampous, E. & Rowland, T. (2012). The experience of security in mathematics. Proceedings of PME Conference, 36(2), 23-40.
  34. Ellison, E.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character education implementation, the principal'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incipals'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Georgia middle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Southern University.
  35. Greenawalt, K. (1996). Private consciences and public reaso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6. Hoge, J. H. (2002). Character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social studies. The Social Studies, 93(3), 103-108. https://doi.org/10.1080/00377990209599891
  37. Lickona, T. (1993).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al Leadership, 51(3), 6-11.
  38. Nucci, L. P. & Narvaez, D. (2008).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New York, NY: Routledge.
  39. Person, A. E., Moiduddin, E., Hague-Angus, M., & Malone, L. M. (2009). Survey of outcomes measurement in research on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Evaluation and Regional Assistance,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U.S. Department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