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Infant-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 Infant-Care Teacher's in Northern Gyeonggi-do -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 이주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고재욱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8.15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working-environment and job-satisfac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infant-care teach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infant-care teachers, who work in facilities of Northern Gyeonggi-d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urnover intention of infant-care teacher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socio-demographic factors. Second, turnover intentions relate negatively to working-environment and job-satisfaction. More job-autonomy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re job-conflict and job-burden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working-environment and job-satisfaction have influenc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infant-care teachers in the regression model. In conclusion, we need to improve the working-environment and to enhance job-satisfaction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infant-care teachers.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북부지역 영아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아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직무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고, 직무의 갈등과 직무의 과중이 많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셋째, 회귀모형의 추정결과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아보육교사들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란혜 (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5(1), 71-88.
  2. 강재희, 김진영 (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3. 강신혜 (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변인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5. 구은미, 박성혜 (2013). 보육교사의 건강과 기관의 조직건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7(4), 34-53.
  6. 김인숙 (2010). 보육교사-영아 간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31(2), 1-17.
  7.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은경 (2010).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지도방법이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일옥, 정구철 (2011). 가정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47-169.
  10. 김한솔, 이성희 (2013). 보육교사 1명이 아이 20명 돌보고 하루 12시간 근무까지.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출력일 2014년 5월 14일.
  11. 김혜성 (2007). 대학행정직원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문미선 (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직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문승현 (2013). 채용시장 떠도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들 왜?. 금강일보. http://www.ggilbo.com, 출력일 2014년 5월 12일.
  14. 박남숙 (2012).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미선 (2000).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순길, 이윤아, 정경희 (2011). 보육교사들의 이직 결정 요인 분석. 인지발달중재학회지, 2(1), 59-75.
  17. 박정자 (2013). 가정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대처방안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배미연, 이순복 (2014).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339-360.
  19. 백영숙, 서영숙 (2012). 보육교사의 개인요인과 직무요인, 직무환경요인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2, 359-378.
  20. 보건복지부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21. 서지영 (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손아랑 (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23. 신희연 (2005).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신희연, 김명순 (2005).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아동권리연구, 9(2), 297-318.
  25. 신수경, 채영란 (2009).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8(1), 87-107.
  26. 안재현 (2014).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양연숙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05-221.
  28. 양인자 (2010). 보육교사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양지영 (2008). 영아반 미혼초임교사의 역할과 갈등.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원두리 (2013). 인천 보육교사 이직 증가…장기근속 유도 대책 시급. OBS뉴스. http://www.obsnews.co.kr, 출력일 2014년 5월 12일.
  31. 유현숙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 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이동하 (2013). 생존분석을 이용한 보육교사 이직률 결정요인 분석. 대학원생 논문대회 우수논문집, 9, 77-98.
  33. 이병록, 이광연 (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1, 53-72.
  34. 이재경 (2006).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재기 (2014). 청주시 보육교사 처우 개선 한다. 국제뉴스. http://www.gukjenews.com, 출력일 2014년 5월 13일.
  36. 이지혜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이직 및 퇴직 배경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진화, 이승연 (2006).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참여와 조직적․심리적 요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29-250.
  38. 임미혜, 이혜원, 황세윤 (2007).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유아보육과정. 서울: 학련사.
  39. 임숙이 (2005).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임주희 (200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임종린 (2004). 보육교사의 이직의도가 영유아 애착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장미선 (200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장진성 (2011). 어린이집 영아전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전선영 (201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전선영, 최혜순 (2013).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03-220.
  47. 정란희 (2010).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불교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49. 최숙희 (20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최은경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1. 최인숙 (2013). 보육교직원이 경험한 직무스트레스 개념도 연구: 원장과 보육교사 간 비교.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2. 통계청 (2013). 보육통계.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출력일 2015년 1월 20일.
  53. 형근혜, 박옥임, 강희순 (2010).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환경의 인식 차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285-298.
  54. 황종귀, 배성희 (201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27-239.
  55. 홍춘자 (200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Ackerman, D. J. (2006). The costs of being a child care teacher revisiting the problem of low wages. Educational Policy, 20(1), 85-112. https://doi.org/10.1177/0895904805285283
  57.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58. Bloom, P. J. (1989).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National-Louis University.
  59. Cassidy, D. J., Lower, J. K., Kintner-Duffy, V. L., Hegde, A. V., & Shim, J. (2011). The day-to-day reality of teacher turnover in preschool classrooms: An analysis of classroom context and teacher, director, and parent perspective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5(1), 1-23. https://doi.org/10.1080/02568543.2011.533118
  60. Hackman, J. R., & Oldham, G. R.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170. https://doi.org/10.1037/h0076546
  61. Hale-Jinks, C., Knopf, H., & Knopf, H. (2006). Tackling teacher turnover in child care: Understanding causes and consequences, identifying solutions. Childhood Education, 82(4), 219-226. https://doi.org/10.1080/00094056.2006.10522826
  62. Mottaz, C. J. (1988).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 41(6), 467-482. https://doi.org/10.1177/001872678804100604
  63. Porter, N. (2012). High turnover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Child Research Net. http://www.childresearch.net/projects/ecec/2012_04.html, 출력일 2015년 1월 2일.
  64.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 (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4(4), 511-524. https://doi.org/10.1007/BF01013612
  65. Whitebook, M., & Sakai, L. (2003). Turnover begets turnover: An examination of job and occupational instability among child care center staff.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3), 273-293.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40-1

Cited by

  1. Mediating Effect of Burn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wareness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in Childcare Centers Teachers vol.27, pp.4, 2018, https://doi.org/10.5934/kjhe.2018.27.4.253
  2.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vol.35, pp.6,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14
  3.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f Child-Care Teachers vol.11, pp.1, 2017, https://doi.org/10.5718/kcep.2017.11.1.1
  4. A Study on the Proposal for Strategic Direction for Activation of Employment Career according to the Company Scale vol.7, pp.4, 2017, https://doi.org/10.35273/jec.2017.7.4.006
  5.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for Promoting Job Cre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vol.8, pp.1, 2015, https://doi.org/10.35273/jec.2018.8.1.005
  6.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환경, 소진 및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vol.17, pp.2,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