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Instruction

웹 기반 교수-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 구병두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Received : 2014.10.10
  • Accepted : 2015.01.19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using web-based instruction than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on academic achievement applying the meta-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85% subject of analysis of web-based instruction select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clear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i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Second, Web-bas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th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relatively. Third, Web-based instruction is a most effective method in social subject and physical education but less effective in language subjec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d more powerful and big decisions which have integrated each differen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ies web-based instruction method applying meta-analysis. Through this study, make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and suggested the base line data and direction for follow up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가를 메타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분석대상의 85%가량은 웹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보다 학업성취에 효과가 뚜렷하였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른 웹 기반 교수-학습의 학업성취 효과크기는 초등학교 학생과 대학생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실시 교과목에 따라서는 사회와 실과 교과가 다른 교과목에 비하여 웹 기반 교수-학습의 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그동안 선행된 많은 웹 기반 교수-학습과 관련된 개별연구들의 각기 다른 학업성취 효과에 메타 분석을 적용하여 보다 개선된 결과를 얻었으며, 또한 이 분야의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일 (2003).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2. 정범모, 이성진 (1995). 학업성취의 요인. 서울: 교육출판사.
  3. Gage, N. (1978). The scientific basis of the arts of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 나일주 편저 (2005). 웹 기반학습. 서울: 교육과학사.
  5. 권혁일 (2008).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9(3), 139-170.
  6. 김숙자 (2009). 디지털스토리텔링 기법의 효과성 검증 연구-초등영어 이해력을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서울.
  7.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 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도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8. 강명희, 김혜선, 이정민 (2011).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17(1), 39-61.
  9. 신예진 (2011). 대학교 화학실험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과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0. 신예진, 우애자 (2003). '갈바니 전지'와 '전해전지'에 대한 웹 기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수업의 학업성취도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7(2), 81-91.
  11. 연고운 (2013). App기반과 Web기반 온라인 토론수업의 학습효과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강릉.
  12. Sanger, M. J,, & Greenbowe, T. J. (2000). Addressing student misconceptions concerning electron flow in aqueous solutions with instruction including computer animations and conceptual change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5), 521-537. https://doi.org/10.1080/095006900289769
  13. 김도윤, 배영권, 백장현, 이태욱 (2004). Productivity S/W 학습용 웹 코스 웨어에서 상황 맥락적 오류교정 피드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7(1), 141-148.
  14. 박기범 (2004).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에서 Web기반 동료비평 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울.
  15. 백남권, 안영학 (2004). 웹 기반학습 프로그램 의 투입시기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3(2), 123-130.
  16. 최옥순, 여성희 (2004). 중학교 소화단원에서 가상실험수업과 실험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8(3), 437-451.
  17. Khan, B. H. (1997). Web-based Instruction. NY: Englewood Cliffs.
  18. 강숙희, 심웅기, 이희수 (1997). 학교에서의 컴퓨터 통신활용 국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 홍경선 (2004). 학교현장의 교육정보화 실태조사 종로구 중학교 ICT 활용수업과 교사홈페이지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95-125.
  20. 김경현 (2006). e-학습기술 프로그램 훈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0(3), 385-394.
  21. 김창호 (2005). 웹 활동 초등영어 교수학습.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전주.
  22. 박종철, 권성호 (2011). 면대면 학습과 사이버 가정학습의 학습효과 비교. 학습과학연구, 5(1), 19-52.
  23. 김성완, 황경현 (2004). 하이퍼미디어 학습 프로그램 구조와 학습자 인지양식이 초등학생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집, 7(3), 57-66.
  24. 표윤희, 박종서 (2008). 사이버 가정학습을 통한 수학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2(1), 27-46.
  25. 조명현, 김경희 (2001). 중학교 3학년 수학수업에서 컴퓨터(기하작도 프로그램)활용을 통한 학습의 효과. 교과교육연구, 2(1), 225-262.
  26. 최성운, 이용진 (2009). 리눅스를 이용한 수업과정안이 중학교 기술과 "인터넷활용단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1), 101-117.
  27. 박수경, 김광휘 (2002). 일기와 기후 단원의 웹 기반 수준별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66-675.
  28. 안종수, 손태성 (2009). 웹 기반 수학학습에서 메타문제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48(1), 1-25.
  29.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 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
  30. Dixion, W. J., & Massey, F. J. (1969). Introduction to statistical analysis. New York: McGraw-Hill.
  31. Hedges, L.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Orlando, FL: Academic Press.
  32. Hunter, J. E., Schmidt, F. L., and Jackson, G. B. (1982). Meta-analysis: Cumulating research findings across studies. Beverly Hills, CA: Sage.
  33. Rosenthal, R. (1984). Meta-analysis: Reward a more cumulative social science. In L. Bickman(ed.), Applied Social Psychology Annual. Beverly Hills, CA: Sage.
  34. Stock, W. A., Okun, M. A., Haring, M. J., Miller, W., Kinney, C., & Ceurvorst, R. W. (1982). Rigor in data synthesis: A case study of reliability in meta-analysis. Educational Research, 11, 10-14.
  35.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 the behavioral sciences(Revised edition). New York: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