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Lexical Statistics 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 : Focusing On Comparing The SEJONG Corpus In Korean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통계 분석 연구 : 한국어 세종 코퍼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유원희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Received : 2014.11.24
  • Accepted : 2015.01.22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In this paper, we build a primary school textbook corpus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vocabulary found in elementary textbooks. also We performed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explore whether similar elementary textbooks in general life used vocabular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orpus building in the form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actual examples. then numerically shown correlation of the elementary textbooks and general corpus.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 말뭉치를 구축하고, 초등교과서에서 나타나는 어휘들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 교과서가 일반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와 얼마나 유사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초등교과서의 말뭉치 구축 모습과 실제 예시를 보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초등교과서와 일반 말뭉치와의 상관관계를 수치적으로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doopedia 두산백과, 초등교육의 목적 및 내용
  2. S Dongkwang, YV Chon (2010). A Corpus based analysis of curriculum based elementary And Secondary english textbook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14 No.1, 2011.4, 149-175 (27 pages)
  3. 박선호, 홍성준. 영어 아동영화의 코퍼스 기반 초등영어 어휘 및 연어 분석과 자료집 개발. English Education, 18(1), 309-338. PrimaryEnglishEducation Vol.18, No.1
  4. 김혜영, 강범모. (2013). 신문 사설에 나타나는 어휘 사용의 추이-[물결 21 코퍼스] 를 활용하여. 텍스트언어학, 35(단일호), 1-22.
  5. 장재원, 김보연. (2012). 국내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성 평가.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429-438.
  6. 정혜승. (2011). 국어과 교과서 채택 기준과 채택한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반응. 독서연구, (25), 347-383.
  7. 정재림. (2012).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 한국학연구, 40, 253-274.
  8. 최유현. (2001).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초등 기술교육 내용 분석과 미래 지향적 내용 구성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2), 21-39.
  9. 남가영. (2013).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우리말글, 57, 109-137.
  10. 서상규, 한영균 (1999). 국어정보학 입문, 태학사
  11. Spearman, C. (1904). The proof and measurement of association between two thing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5(1), 72-101. https://doi.org/10.2307/141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