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민의 공간 정향 특성 분석: 인천 연수구의 상업 광고지 약도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raits of Spatial Orientation of Urban Residents: Focused on Rough Maps of Advertisement Flyers in Yeonsu-gu, Incheon

  • 이간용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Lee, Khan-Yong (Dept. of Social Studies,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4.12.22
  • 심사 : 2015.01.20
  • 발행 : 2015.02.28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공간 정향 특성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주요 분석 자료는 지난 10여 년 간(2005-2014)에 걸쳐 인천 연수구 일대에서 수집된 110개의 약도이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도시민의 공간 정향 요소 및 정향 체제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정향 요소 면에서 볼 때 도시민의 공간 정향에는 통로, 결절, 지구, 랜드마크를 비롯하여 언어 단서 등 모두 5개의 정향 요소가 동원되고 있었다. 정향 체제의 특성은 정위(定位) 및 지향(指向) 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위의 경우 다시 기준 축(軸)과 정치(定置) 분포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도시민의 공간 정향에서는 대로에 기반한 횡축 의존성이 뚜렷하였고 좌표 체계상 중앙부 정치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짙었다. 지향의 경우 다시 상방위(上方位)와 조망(眺望) 시각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도시민의 공간 정향에서는 북상향적 특성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외심적 조망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시민은 5대 정향 요소를 동원하여 수평축을 정위 축으로 삼아 좌표 체계상 중앙부에 자신을 정치시키면서 외심적 조망 시각을 통해 북상향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공간 정향을 이루는 경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traits of the spatial orientation of urban residents. The analysis materials are the 110 rough maps which have been collected for the last ten years in Yeonsugu, Incheon metropolitan. The urbanites' spatial orientation are analysed from an aspect of the orientation elements and the orientation fram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urban dwellers make use of five elements - path, node, district, landmark, and language clue for their spatial orientation. Again the orientation frames of the urban people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locating and directing in space. In regard to the former, they tend relatively to depend on horizontal axes based on broad streets and to prefer to position at the center on coordinate system. With reference to the latter, they show to be north-at-the-top directed tendency and to hold higher proportion of exocentric perspective than egocentric. Consequently urban residents tend to form spatial orientation with using five spatial elements, leaning horizontal axis, positioning themselves at the central part of coordinates, directing toward north-at-the-top through exocentric perspectiv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