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s of Pioneering Advantage in High-tech Industries: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e

하이테크산업에서 선두이점의 원천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7.06
  • Accepted : 2015.08.10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Decision effectiveness depends on type of knowledge within team members generated by decision making process. Thus,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teams' experience and capability ultimately achieve their desired outcome.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not addressed a mediating role between different knowledge type in decision making and product competitive advantages(pioneering advantage and product quality superiority). Based on the knowledge-based view, we model how different knowledge characteristics in decision making affect to acquire each of knowledge in decision making effectively and then to apply acquired knowledge in decision making. Anchored in a source-position-performance (SPP) framework (Day and Wensley's, 1988), we shed light on the effects of three knowledge characteristics dimensions in decision making process on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es in decision making for a new product project. We als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mensions of NPD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es, and product competitive advantages which consist of market pioneering advantage and product quality superiority. To test the relationships, the empirical analyses are conducted using a sample of team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NPD projects. This study suggest that managers should increase their acquirability and applicability of knowledge by integrating complexity of diverse and new knowledge, developing codifiability of well-documented knowledge, and creating the sharing common knowledge among NPD team members. Thus, they are able to outrun major competitors in terms of pioneering advantage and product quality superiority perspective.

본 연구는 지식경영역량의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역할을 설명하고, 지식습득역량에서 지식적용역량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통해 선두이점과 신제품품질의 우월성, 그리고 신제품 성과 간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지식기반 연구는 지식의 정의, 지식의 유형 구분, 지식과 정보 간의 차이 등에 대한 연구로 국한되어왔다. 본 연구는 기업의 신제품 지식경영활동 중 발생하는 지식습득과 지식적용역량을 전략적 변수로서 간주하여, 지식경영역량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조사하였다. 지식기반이론과 source-position-performance(SPP)구조를 바탕으로, 가치창출에 원천으로서 지식의 유형은 지식경영역량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지식경영역량은 포지션상의 우위를 가져와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하이테크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 중 신제품 프로젝트에 참여한 제품 개발팀의 과장급 이상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7개의 가설 중 신제품 지식의 복잡성과 지식적용역량의 관계(H1b)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공헌은 SPP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지식의 유형과 포지션상 우위를 연결하는 매개변수로서 지식경영역량을 소개하였고, 실증 분석을 통해 신제품 혁신 이론에 지식경영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신제품 개발 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신제품 개발 팀장들의 역할 즉, 팀 구성원들의 개별 지식 접근능력을 기르고, 그것을 적용하기 위한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은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