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IC(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Model for Global New Business

글로벌 사업 진출을 위한 산학협력 협업촉진모델: 경남 G대학 GTEP 사업 실험사례연구

  • Baek, Jong-ok (Sotong Factory) ;
  • Park, Sang-hyeok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Entrepreneurship,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Seol, Byung-mo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Entrepreneurship,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백종옥 (소통팩토리) ;
  • 박상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
  • 설병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 Received : 2014.07.15
  • Accepted : 2015.12.0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can be promo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for the system and the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competitiveness, it is equipped. If so, could work in collaboration wit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promote collaboration what factors?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of many people working, or worth pursuing common goals by sharing information and processes to improve labor productivity, defined as collaboration. Factors that promote collaboration are shared visions, the organization's principles and rules that reflect the visions, on-line system developments, and communication methods. First, it embodies the vision shared by the more sympathetic members ar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can be achieved. Second, the members are aware of all the rules and principles of a united whole is accepted and leads to good performance. In addition, the ability to share sensitive business activ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also lead to work to make this a regular activity to create a team that can collaborate to help the environment and the atmosphere. Third, a systematic construction of the online collaboration system is made efficient and rapid task. According to Student team and A corporation we knew that Cloud services and social media, low-cost, high-efficiency services could achieve. The introduc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changes,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systems and active participation can take advantage of continuing education must be made. Fourth, the company to inform people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 to communicate actively to change the image of the company activities, the creation of corporate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to figure. Reflects the latest trend to actively use social media to communicate the effort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systematic collaboration promoting model steps to meet the organizational role. First, the Chief Executive Officer to make a firm and clear vision of the organization members to propagate the faith, empathy gives a sense of belonging should be able to have. Second, middle managers, CEO's vision is to systematically propagate the organizers rules and principles to establish a system would create. Third, general operatives internalize the vision of the company stating that the role of outside companies must adh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well done in collaboration organizations promoting factors for strategic alignment model based on the golden circle and collaboration to understand and reflect the latest trends in information technology tools to take advantage of smart work and business know how student teams through case analysis will derive the success factors. This is the foundation for future empirical studies are expected to be present.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협업이란 여러 사람이 협동적이고 조직적으로 일하며, 공동의 목표 혹은 가치를 추구하여 정보와 프로세스를 공유함으로써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협업을 촉진시키는 요인에는 비전 공유, 비전을 반영한 조직의 원칙 및 규칙, 온라인 시스템 구축, 의사소통 등이 있다. 첫째, 비전을 구체화 할수록 조직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구성원이 수용하는 규칙이나 원칙이 단합과 좋은 성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능력에 맞는 업무 분담과 자기 계발을 위한 활동이 업무로 이어지고 정기적인 팀 활동을 만들어 협업 환경 및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 체계적인 온라인 협업 시스템의 구축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업무가 이루어진다. 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업무의 저비용과 고효율을 이룰 수 있었으며, 이때 구성원들의 적극적 활용과 참여를 유도하는 지속적 교육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넷째, 기업을 알리고 조직 내 외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활동은 기업의 이미지를 바꾸고, 기업 성과를 창출해 내는 기반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사업진출과정에 발생하는 문제해결 방안으로 산학협력 협업촉진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업조직에서 협업이 잘 이루어지기 위한 촉진요인을 전략적 연동 모형(strategic alignment model)을 기반으로 협업을 이해하고, 스마트워크 도구를 활용하는 팀 사례분석을 통한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체계적인 협업촉진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조직 구성 단계에 맞는 역할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리더는 확고하고 명확한 비전을 만들어 조직구성원에게 전파하여 공감과 믿음 그리고 소속감을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리더는 조직의 비전을 팀원간에 전파하기 위해 규칙과 원칙을 만들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셋째, 팀원은 기업의 비전을 내재화하여 역할에 책임을 다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기업을 알리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연구결과는 향후 실증 연구를 위한 기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