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Analysis through Fire Simulation FDS and Evacuation Simulation Pathfinder

화재 시뮬레이션 FDS와 피난시뮬레이션 Pathfinder 사례분석

  • 김종윤 (서정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
  • 전용한 (상지영서대학교 소방안전과)
  • Received : 2015.12.10
  • Accepted : 2015.12.22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In this study, using the FDS as the fire simulation and evacuation simulations of the Pathfinder, set the main control room of the building to the fire point fire safety assessment studies were carried out. At first the quantitative result such as distribution of visibility as time passing, distributi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O density produced results using fire-simulation and evacuation-simul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 that produced the final safety evaluation result as being calculated of evacuation time. As the risk increased with the distribution of visibility at the result of fire-simulation, evacuation-simul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result. Finally the result was made 127.9 sec that everyone could evacuate. The numerical results are analyzed in case of the places in the building required safe egress time for safety a as the analysis to be no more than available safe egress time was analyzed to be secured. The results of this safety evaluation represent that more smooth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can be secured by linking the event of fire firefighting equipment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worst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인 FDS와 피난 시뮬레이션인 Pathfinder를 이용하여 건물의 중앙제어실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설정하여 화재안전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시거리 분포, 온도분포, CO의 농도분포 등의 정량적 결과를 도출 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재실자들의 피난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최종적인 피난안전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 가시거리의 분포에 따라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 값을 이용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127.9초에 모든 인원이 대피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치해석 결과 건물 내 모든 장소에서 피난 소요시간이 피난 허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대피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의 결과는 최악의 조건인 소방설비의 미작동에 근거한 종합안전성평가로서 실제 화재 발생 시 소방설비와 연계한다면 보다 우수한 피난안전성능이 확보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