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지연. 2012. 교육청 기록관의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 서울, 대구, 경남교육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Kang, Jiyeon. 2012. A Study on Web Archival Reference Service Evalua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Records Center. M. A. thesis. Silla University.)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014. 법률 제12844호. 타법개정.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14. 대통령령 제25751호. 타법개정.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2014. 행정자치부령 제1호. 타법개정.
- 김민경, 이성신. 2014.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공간 협력 방안.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7(1): 1-24.(Kim, Min-Kyung and Seong-Sin Lee. 2014. "The Collaborative Workplace Among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Social Science Discourse and Policy(Institute of the Soci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7(1): 1-24.)
- 권범식.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방안 연구: 경기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Kwon, Bum-Sik. 2009. Study of Methodology for the building of Local Record Maintenance Institution(Archives). M. A. thesis. Joongbu University.)
- 도교육청-사천 박연묵교육박물관 경남교육 역사 기록물 관리 협약. 2014. 경남신문. 11월 5일.
- 서한글. 2012.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기록관리학전공.(Seo, Han Geul. 2012. A Study on the Operation of Local Archives : The Case of Gwangju City. M. 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신현석, 안선회 외 공저. 2011.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학지사.(Shin, Hyun-Seok, et al. 2011.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in Learning Society. Seoul: Hakji-sa.)
- 안미리. 2009. 단위학교기록물의 기록관리기준표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Ahn, Miree. 2009. The Development of the Table of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for School Records. M. A. thesis. Hanshin University.)
- 양승실. 2010. 지방교육 행.재정 체제 선진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오정훈, 이응봉. 2014. 전문도서관 라키비움 구축에 관한 연구: 원자력 라키비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5(2): 229-246.(Oh, Jeong-Hoon and Eung-Bong Lee.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of Specialized Library: Focused on Atomic Larchiveum." Social Science Studies(Institute of the Social Science, Chungnam University), 25(2): 229-246.)
- 이상희. 2014.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교육청 기록관의 협력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Lee, Sang-Hee. 2014. Study on the Cooperation of Records Centers for Promoting the Record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Offices of Education.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성희. 2009. 교육청 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Lee, Sung-Hee. 2009. A Study on Collection Policy of the Office of Education Records Center. M. 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이재환. 2011.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 수집정책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Lee, Jae-Hwan. 2011. A Study on Acquisition Policy of Local Archives -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M. A. thesis. Hannam University.)
- 임희연. 2004. 학교기록물의 기록학적 관리방안 연구 -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학원 기록관리학과.(Lim, Hee-Youn. 2004. A Study on Archival Methodology for School Records Management: A Case Study of Secondary School Records. M. A. thesis. Myoungji University.)
- 오세희. 2013. 교육행정 지역화에 따른 시.도 교육청의 역할 방향. 사회과학연구(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4(2): 67-88.(Oh, Se-Hee. 2013. "The Exploring Role of Education Office in Loc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al Science Studies(Institute of the Soci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4(2): 67-88)
- 윤정일. 2005. 교육행정학원론. 서울: 학지사.
- 전진한. 201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에 관한 쟁점과 제언 : 서울시 기록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0: 137-143.(Jeon, Jin-Han. 2014. "Issues and Recommendations for Establishing Provincial Archives : Special Reference to Seoul Metropolitan City Archives."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Seminar, 2014. 10: 137-143.)
- 정국환. 2004. 지방교육행정기록물 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전공.(Jung, Kuk-Hwan. 2004.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 Centering on the Cogni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Agencies and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M. A. Thesis. Gyeongnam University.)
-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Ji, Su-Gol. 2009.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rchives: Recommendat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247-281.)
- 최규명. 2007. 온라인 전시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교육청 기록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Choi, Kyu-Myong. 2007. The Study Regarding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of the On-line Display Service : Focused on the Archives in Gyungnam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 A. thesis. Gyeongnam University.)
- 최영실, 이해영.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57-477.(Choi, Young-sil and Hae-young Rieh. 2012. "Functional Planning of Larchiveum that Integrates the Function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57-47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457
- 최영실. 2013. 라키비움 공간기획을 위한 리모델링 대상 기관의 현황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43-167(Choi, Young-sil. 2013. "A Study on Analysis of Remodeling Target Institution for Larchiveum Spatial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143-167.)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143
- 한희정 외. 2004.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기록관리학회지, 14(2): 31-60.(Han, Hee-Jung et al.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ervices to Collaborate between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14(2): 31-60.)
- Garnet, Dustin. 2012. "Unknown and Hidden: The Toronto District School Board Education Archive." The Canadian Review of Art Education, 39: 4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