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gal System Reasearch Relating to Retaliatory Crime

보복범죄 관련 법제연구

  • 강맹진 (남부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4.11.12
  • Accepted : 2014.12.19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Social unrest from retaliatory crimes is increasingly becoming problematic. Recently, there was an accident involving a suspect who went to a hospital and committed acts of retaliatory violence 11 times. This person's reasoning was that he was imprisoned due to the hospital's reporting to the police. He was consequently arrested in Boeun Choongbook on December 27th 2014. Accidents like this one take place frequently around our surroundings. There are regulations and systems in place. Nevertheless, similar cases that continue to take place makes us wonder if criminal judicial systems work well. Lukewarm responses to retaliatory crimes is not only threatening social security, but also placing fears in the minds of ordinary citizens. If retaliatory crimes take place, most citizens become apprehensive about criminal judicial activities of the police and mistrust for criminal judicial system. This at times discourages people from reporting incidents and could eventually increase crime rate and cause various social problems. Even though there are legal and systemic control measures, retaliatory crime is an increasing trend.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endencies of internal retaliatory crimes and discuss legal-systemical responses.

보복범죄로 인한 사회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인 2014년 12월 27일에도 충북 보은에서는 자신을 신고한 병원을 찾아가 11차례에 걸쳐 보복폭행 등을 자행한 피의자가 검거되는 사건이 있었다. 과거 병원측의 신고로 형사입건이 되어 수감생활을 했다는 이유였다. 이와 같은 사건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우리에게도 엄연히 관련 법 규정과 제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은 이 부분의 형사사법시스템이 제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게 한다.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보복범죄는 사회안전망의 근간을 위협하고 많은 국민들에게 범죄로 인한 두려움을 주게 된다. 보복범죄가 발생하게 되면 대다수의 국민들은 경찰을 비롯한 형사사법활동에 대하여 의구심을 가지며 형사사법기관에 대하여도 불신을 갖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국민들의 신고정신을 위축시키고 결국 범죄율의 증가와 갖가지 사회문제를 발생시킨다. 법적 제도적 통제장치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으면서도 보복범죄는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내 보복범죄 동향을 살펴보고 그에 다른 법적 제도적 대책을 논의하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Phyllis B. Gerstenfeld, "Hate Crimes: Causes, Controls and Controversies," SAGE Publications, NY, p.95, 2013.
  2. 오윤성, 범죄 그 심리를 말하다, 박영사, p.113, 2013.
  3. 조상현, 김양현,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범죄심리학회, p.84, 2014.
  4. 차훈진,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이론적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범죄심리학회, p.242, 2014.
  5. K. Hanrahan and J. J. Gibbs, "Fear of Crime: its meaning in the lives of elderly women," in Victimizing Vulner able Group : image of uniquely high-risk crime target, edited by C. T. M. Coston, Westport, CT : Praeger. p.84.
  6. http://gocj.net/news/aticleView.html?idxno=67839
  7. 장규원, "증인보호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p.1126, 2009,
  8. 최인섭, 이순래, 조균석, "범죄피해자 실태 조사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p.51-52, 2006.
  9. http://www.newstomato
  10. 강맹진, "보복범죄 사례 연구", 2014, 11. 한국콘텐츠학회 추계학술대회 구두발표 내용.
  11. 김상길,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권리보호 및 지원제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7-43, 2008.
  12. 장규원, 증인보호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통권 제77호,봄호), p.1127, 2009.
  13. 조병인, 신의기, 김광준, 강석구, 윤해성, 최응렬, 허경미, 송봉규 "조직폭력범죄의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p.215-227, 2007.
  14. 정진수, 증인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22, 1996.
  15. 최병각, "조직범죄수사의 협조자에 대한 양형과 형사면책", 비교형사법연구, 제5권, 제2호, 한국비교 형사법학회, 2003.
  16. M. B. Norman, "The Bomber Strikes Again: An Investigation into Whether the Victim and Witness Protection Act of 1982 Violates the First Amendment or Conflicts with the Copyright Act of 1976, Southern California law review," University of South California Law Center, Vol.81, No.6, pp.1281-1340, 2008.
  17. 박광민, 강석구, 이성대, 범죄피해자.증인 변 보호제도의 강화방안 (대검찰청 용역과제 연구보고서), 한국피해자학회, pp.73-75, 2008.
  18. 장규원, "증인보호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p.1131, 2009.
  19. 백기봉,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증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3, 2008.
  20. 장규원, "증인보호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p.1132, 2009.
  21.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 제1조
  22.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 제3조
  23.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 제4조 제1항
  24.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 제4조 제2항
  25.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 제7조 제1항
  26. 특정범죄신고자등 보호법 제8조
  27.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 9(보복범죄의 가중처벌 등) 제1항
  28.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 9(보복범죄의 가중처벌 등) 제2항
  29.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 9(보복범죄의 가중처벌 등) 제3항
  30.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 9(보복범죄의 가중처벌 등) 제4항
  31. 宮澤浩一.國松孝次, 犯罪被害者對策の現狀, 東京法令出版, p.284, 2000.
  32. 송기오, 강경래, 앞의 보고서, p.24, 2006.
  33. 이성대, "보복범죄방지를 위한 사전적 개입 방안", 미국헌법학회 미국헌법연구, 제25권, 제1호, pp.115-119, 2014.
  34. http://www.upkorea.net/news
  35. 연합뉴스, 2014-02-05, zoo@yna.co.kr
  36. http://www.kgnews.co.kr/new, 2014년 4월 6일.
  37. 대검찰청, 범죄신고자보호의 현황과 과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23, 2012.
  38. 강맹진, "보복범죄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추계학술대회 구두발표 내용, 20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