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TEC's In-Service Teacher Training

  • 투고 : 2015.01.28
  • 심사 : 2015.03.23
  • 발행 : 2015.03.31

초록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현직교사 대상의 발명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1년 후 시점에서 이수자가 인식하는 학습 파지도, 연수 유용도, 연수 내용의 교육 활용도, 발명교육 능력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3년 동남권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현직교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 후기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60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30명, 연수 후기 작성에 참여한 인원은 12명이다. 동남권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2013년에 추진한 현직교원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 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0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연수 이수 1년 후 이수자가 인식하는 현업적용도의 하위 항목은 교육능력 향상도 4.39점, 연수 유용도 4.11점, 교육 활용도 3.94점, 학습 파지도 3.82점의 순이다. 현업적용도의 전체 평균 4.07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교육능력 향상도와 연수 유용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교육 활용도와 학습 파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다. 연수 이수자의 현업적용도에 대한 질적 분석 자료로 확보한 12편의 연수 후기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 파지도, 연수 유용도, 교육 활용도, 교육 능력 향상도를 직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사례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on the job implementation of ITEC(Invention Teacher Education Center)'s in-service teacher train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teacher's perception on retention, usefulness, utilization, and enhancement were investigated after one year complet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populations of this study were 60 teachers complet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of the southeast ITEC.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subjects of survey research were 30 teachers and the case analysis objects were 12 epilogue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mean of job implementation of southeast ITEC's in-service teacher training was 4.07 on a five-point scale. Teacher's perception on job implementation sub factors after one year complet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re as follows. The mean of enhancement factor was 4.39, usefulness factor was 4.11, utilization factor was 3.94, and retention factor was 3.82 on a five-point scale. The mean of enhancement factor and usefulness factor were relatively high level as compared with the mean of job implementation and the mean of utilization factor and retention factor were relatively low level as compared with the mean of job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bout 12 epilogue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some significant instances were deducted that representable retention, usefulness, utilization, and enhancement factors directly and indirec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익(2013). 2009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설립에 따른 조직 모형 및 운영 방안 구상: 서남권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1), 119-139.
  2. 김용익 외(2013). 발명 교사 교육 표준 개발: 발명 내용학 내용 표준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1), 275-297.
  3. 김정원, 김동철(2013). 공무원교육의 현업적용도 영향요인과 정책적 제고방안. 경영정보연구, 32(3), 43-59.
  4. 노혜란, 박선희(2012). 공공기관 특화교육과정 현업적용도 사례연구: H개발원 중심으로. 학습과학연구, 6(1), 92-120.
  5. 박경선, 박선희(2013). 기계공학과 현업적용도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6(6), 45-51.
  6. 박신윤, 김수정(2011).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프로그램 현업적용도 평가지표 개발. 직업교육연구, 30(3), 49-73.
  7. 박진환, 김상순, 이춘우(2014). 중소기업 임직원 교육의 학습내용 현업적용도 결정요인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7(5), 725-750.
  8. 부산교육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2013). 발명교사교육센터 설치 및 운영지원 사업 최종보고서. 부산교육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
  9. 이규녀 외(2003). 발명교사 직무분석을 활용한 직무연수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2), 97-118.
  10. 이석준(2000). 기업교육훈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의 전이환경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1. 이시원 외(2013).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변화. 초등교육연구, 28, 35-48.
  12. 정재삼(2004). 교육프로그램 평가. 교육과학사.
  13. 최유현(2014). 미래 발명교육 아젠다와 실천 전략. 창의.인성교육의 꽃, 발명교육: 실천 지향과 전략. 제4차 발명교사교육센터 포럼 자료집 9-42. 부산교육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
  14. 한국기업교육학회(2010). HRD 용어사전. 중앙경제.
  15. 한국발명진흥회(2013). 발명교사교육센터 운영 계획. 발명교사교육센터 운영 방향 협의 자료. 한국발명진흥회.
  16. Holton, E. F. III & Baldwin, T. T. (2003).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17. Richey. R. C.(1992). Designing Instruction for the Adult Learner. London : Kogan Page Ltd.
  18. Wexley, K. N., & Latham, G. P.(1991). Developing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ers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