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

Study on Extraction of Sub-element and Construction of System Mode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 투고 : 2015.01.29
  • 심사 : 2015.03.24
  • 발행 : 2015.03.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 추출 및 정의,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 모형구축의 두 가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 추출 및 정의 단계에서는, 기술적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기존의 설계과정 모형을 분석, 비교하고,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전문가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기술적 의사소통능력'과 그 하위요소에 대한 정의를 하였다.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 모형 구축 단계에서는,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와 관련 문헌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 모형을 구축하여 전문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는 이미지, 스케치, 순서도, 설계도, 원형제작, 기호 표 그래프, 프레젠테이션이 추출되었다. 둘째,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협업 활동'을 기반으로, '기술적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여, '교류를 통한 구상, 교류를 통한 구현, 교류를 통한 마무리'의 과정을 통해 길러지는 의사소통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은 교류를 통한 구상(이미지, 스케치, 순서도), 교류를 통한 구현(설계도, 원형제작), 교류를 통한 마무리(기호 표 그래프, 프레젠테이션)의 모든 과정이 협업을 기반으로 체제를 구성하고 있다. 넷째, 기존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와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체제모형을 기반으로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 조사를 통해 개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of Sub-elements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to construct of a system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it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1)Extraction sub-elements and definitions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2)Development of a system model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Obtained conclusions by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ub-elements of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images, sketches, flowcharts, drawings, prototyping, symbols tables graphs and presentations. Second, using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tools' based on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in online and offlin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defined as communication skills to be raised through the process of 'Idea through the Communication', 'Realiz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Wrap up through the Communication'. Third,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described as the system, in which 'Idea through the Communication(images, sketches, flowcharts)', 'Realiz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design, prototyping)', 'Wrap up through the Communication(symbol table graph, presentation)' were collaboratively activated. Fourth, checking too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as developed, based on checking tool for the exis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ystem model for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it was improved by the expert validity test.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2011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개발. 2011년 교육과정 시안개발 수탁과제 답신보고.
  2. 김대희, 강경숙(2012). 특집 : 제1차 국제학술대회 ; 고등학생 의사소통 능력 진단 도구의 개발. 국어교육학회 45(-), 212-256.
  3. 김주현(2015).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혁신과 설계' 단원에서 기술적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설계과정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 안인숙(201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의미강화 양상 연구. 국어문학회 54(-), 51-75.
  5. 정성호 외(2004). 대학교수의 비언어적 요소가 수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의 유형에 관한 연구: 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2(3), 90-117.
  6. 조규락(2011).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3). 261-282.
  7. 최유현(2004). 기술과 교육의 학습 과정으로서의 '설계과정(design process)'과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비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7(2), 173-190.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 I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07-1.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연구보고 RRC 2009-10-1.
  10. Burghardt & Hacker(2004). Informed Design: A Contemporary Approach to Design Pedagogy as the Core Process in Technology. The Technology Teacher: The Voice of Technology Education 64(1) 6-8. ITEA.
  11. Custer R. L., Valesey B. G., Burke B. N.(2001). An assessment model for a design approach to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2 (2), 5-20. On line Available(01. 30. 2015) : http://scholar.lib.vt.edu/ejournals/JTE/v12n2/custer.html
  12. Hacker & Burghardt(2012). Engineering & Technology Education : Learning by Design Second Edition. N. J. : Prentice Hall.
  13. ITEA(2007).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er.
  14. Kenneth R. Leitch(2011) et al. Improving Engineering Students' Technical communication Skills. (C)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5. Marc J. Riemer(2007).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21st Century Engineer. Global J. of Engng. Educ., Vol.11, No.1 (C) UICEE Published in Australia.
  16. Morgan Hynes et al.(2011). Infus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TEM Courses. Engineering Design Challenges in High School STEM Courses A Compilation of Invited Position Papers. National Center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On line Available(01. 30. 2015) : http://ncete.org/flash/pdfs/Engr_Design_Challenges_Compilation.pdf
  17. P21(2012a). P21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1 Massachusetts Avenue NW, Suite 700, Washington, DC 20001. On line Available(01. 30. 2015) : www.p21.org
  18. P21(2012b). P21 Framework Definitions.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On line Available(01. 30. 2015) :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261
  19. Rohani Othman(2008). A review of literature on communication skills development(CSD) in the engineering curriculum. Seminar Penyelidikan Pendidikan Pasca Ijazah 2008, 25-27 November 2008, 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20. NSF(2014). TeachEngineering curriculum for k-12 teacher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On line Available(01. 30. 2015) : http://www.teachengineering.org/engrdesignprocess.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