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and Meanings of the Images of Female Model on the Cover of Men's Fashion Magazines

남성 패션잡지 표지에 나타난 여성모델 이미지 변화와 의미 분석

  • Kwon, Jeanne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Yim, Eun-Hyuk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4.01.15
  • Accepted : 2015.04.15
  • Published : 2015.06.29

Abstract

Covers of fashion magazines are part of the media that reflects the zeitgeist. Thus an analysis of the covers is a tool to probe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f a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changes of the image of women on the cover of men's fashion magazine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tatus and role of women, from the past up to the present,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image of female mode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s both literature and corroborative research. The period for the analysis is limited to post-1960s when female models began to appear alone on the cover of men's fashion magazine. The three decades from the 1960s through today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result is as follows: female models in the 1960s were shown as subjugated and ancillary to men as a commodity for the affluent materialistic civilization after World War II. In the 1970s, thanks to feminism movement, the image of resistance dominated. As a result of women's right movement, the 1980s came to witness the female image of subjective characteristics. Finally, starting in the 1990s, a mixture of subjugated, resistant, and subjective image of female models has appeared. In the contemporary culture, where the communication through images is being increased, the image of the female models in fashion magazines could work as a criterion to measure the social change.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옥. (2008). 현대 패션에 표현된 남성성 (masculinity) 연구. 배화논총. 26, 27. 241-275.
  2. 김명현. (2001). 신화와 광고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 연구 : 남성전문잡지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덕. (2011). 정치학과 젠더:사회분석 범주로서 젠더에 대한 이해. 한국정치학회보, 45(2), 31-49.
  4. 김선남. (1997). 매스미디어와 여성. 서울: 범우사.
  5. 김선영. (2013). 국내 라이선스 패션 잡지 화보에 나타난 글로컬리즘 경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3(1), 47-69.
  6. 김은정, 곽태기. (2012). 남성잡지Maxim 표지모델에 나타난 섹슈얼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2(7), 185-204.
  7. 박길순, 박수진. (2005). 잡지에 나타난 남성화장품 광고 분석. 한국패션뷰티학회지, 3(1), 39-49.
  8. 박남성. (2007). 대중매체의 표현 기법이 도입된 직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 21(5), 155-167.
  9. 박선지, 임은혁. (2013). 패션 광고에 표상된 남성 몸에 관한 담론. 한국복식학회지, 63(6), 29-39.
  10. 박수진, 박길순. (2008).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외모의 변화양상.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105-114.
  11. 박아름. (2011). 여성패션잡지 표지디자인의 획일화 양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배은경. (2004). 사회 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개념과 페미니스트 문화 연구:개념사적 접근. 페미니즘 연구, 4, 55-100.
  13. 안현주, 박민여. (2007). 메트로섹슈얼과 위버섹슈얼 이미지에 따른 남성패션 디자인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 9(3), 99-113.
  14. 윤을요. (2010). 남성 잡지 표지 모델의 섹슈얼 이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6), 275-285.
  15. 이견실, 목선희. (2011). 페미니즘 차원의, 기호해석에 관한 연구-텔레비전 광고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3), 499-509.
  16. 이경희. (2004). 패션 전달수단의 역사적 변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6(2), 49-62.
  17. 이귀옥. (2005). 광고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남성성의 변화-남성잡지광고 (1970-2004)의 남성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추계학술대회.
  18. 이세리. (2013). 패션사진과 오마주. 한국디자인학회, 26(3), 97-117.
  19. 이송희, 이견실. (2011). 기호학 관점으로 바라본 페미니즘 광고 비평-국내외 TV광고를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28, 49-58.
  20. 이은숙. (2007). 패션잡지광고에 표현된 패션 아이템 경향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 9(1), 123-140.
  21. 이현지. (2007). 국내 남성패션의 여성화경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임은혁. (2014). 현대 패션에 표현된 코르셋의 외면화. 복식문화학회, 22(1), 1-15.
  23. 장지선, 김민자. (2010). 패션잡지 스토리텔링 특징과 내용의 변화.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4), 35-46.
  24. 조우영. (2011). 패션잡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연구이태리 보그의 패션화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1), 583-596.
  25. 정세희, 양숙희. (2002). 1930-1990년대 영화 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I)-남성성(Masculinity), 여성성(Feminity)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5), 63-78.
  26. 최군성. (1994). 국내 여성잡지 표지사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국내,외 여성잡지표지사진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연구, 2('94.8), 21-47.
  27. 최경희. (2008). 2000년 이후 한국 남녀 패션 잡지에 표현된 여성성과 남성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1), 1-21.
  28. 한경정, 조창환. (2010). 광고 속 남성성의 시대에 따른 변화에 대한 분석: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1(5), 147-175.
  29. 한정식. (2007). 현대사진을 보는 눈. 서울: 눈빛.
  30. 황금빛누리, 이보람, 임희경. (2013). 잡지 보그 표지 이미지의 립스틱 색상 트렌드 연구-1940년도-2010년을 중심으로-. 한국미용예술학회지, 7(3), 251-263.
  31. Anne Hollander. (1995). Sex and Suits. New York.Tokyo.London: Kodansha International.
  32. Jan brand, & Jose Teunissen. (2009). Fashion and imagination: About clothes and art. Artez Press.
  33. John Beynon. (2011). 남성성과 문화(임인숙, 김미영 역). 고려대학교출판부.
  34. Ruth Schwartz Cowan. (2012). 미국 기술의 사회사 (김명진 역). 궁리. (원저 1996 출판)
  35. Simone de Beauvoir. (2009). 제 2의 성(이희영 역). 동서문화사. (원저 1992 출판)
  36. Tim Edwards. (1999). Men in the Mirror: Men's Fashion, Masculinity and Consumer Society. Cassell.
  37. Whitney Frances(2004). 미국사 개요(이경식 역). 미국 국무부. (원저 1963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