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Jeogori Design Pattern using the Pattern Analysis in the Books Entitled Hanbok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Women in 20's

성인여성 저고리 패턴을 활용한 개선된 저고리 패턴설계연구 - 20대 여성용 저고리를 중심으로 -

  • 김현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장민정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5.06.12
  • Accepted : 2015.09.1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at designing patterns of an adult women Jeogori that takes advantage of patterns from each textbooks and complements the disadvantage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from the dress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materials. The modification of a size specification is needed for the standard body as an adjust of the length of Jogori between front and back, mediation for bust width between front and back, a movement for the based line of Sup and Godae. As a result, the suitable pattern according to the standard somatotype is as below. Jeogori Length of front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back which was measured from side neck point to bust point plus three centimeters, and give three and half centimeters more in front. This three and half centimeters is for the curved in front of your body due to the chest. Bust width of front and back have to show the differences of human body. Bust width of front is calculated as bust girth into quarters and add two centimeters. Bust width of back gives one centimeter behind the curve from the center line in order to reduce the floating phenomenon. So, the amount of center back line dart is one centimeter. Arm hole girth measures as dividing bust girth into four. Also, Goedae width has two methods to measure. First, divide bust girth into ten equal parts and subtract 0.5 centimeters from it. Second, measure neck girth and divide it by four. Sleeve length is equal to Hwajang minus bust width of front. Hand wrist calculates in using bust girth. Make bust girth into quarters and multiply three fifths. Side line measures as deducting from Jeogori length of back to Arm hole girth and multiply two third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최정욱. (2009). 착용감 개선을 위한 여자 저고리 패턴개발: 20,30대를 중심으로. 복식, 59(1), 94-105.
  2. 권영숙. (1986). 우리나라 여자저고리 원형설계에 관한 실험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휘정. (2013). 전통한복구성법의 해체와 재구성을 도입한 예복 디자인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륜희. (2002). JAVA를 이용한 조선시대 여자저고리 자동 제도법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옥. (2008). 동화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이용한 어린이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0(2), 70-71.
  6. 김현주. (2015). 성인여성 저고리의 패턴 분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남윤자. (1994). 여성 상반신의 측면 형태에 따른 체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류경옥. (2012). 초등학교 여자 아동의 신체 성장에 따른 한복 리폼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 (4), 89-98.
  9. 문화체육부. (1997). 한복의 표준치수 설정과 패턴 표준화를 위한 연구: 최종보고서.
  10. 안현숙. (2002). 생활한복 현황 및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4(2), 85-87.
  11. 엄란이. (2014). 3차원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한복 저고리 패턴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양노. (2008). 체형별 저고리 패턴 제작을 위한 사이즈 스펙연구. 한복문화, 11(1), 163-170.
  13. 윤복선. (2009). 특이체형을 위한 저고리 패턴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자. (1983).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15. 이병화. (2010). 여성의 기성한복 패턴개발을 위한 사이즈 표준화 연구: 한복 구매고객을 중심으로. 아시아민족조형학보, 8(1), 63-77.
  16. 이영혜. (2004). 성인여자 저고리 패턴에 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금주. (2012). 여자 저고리 형태변화와 제작에 관한 연구; 1910년부터 2010년까지.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옥임. (1994). 저고리 원형제도의 비교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2(1), 211-227.
  19. 한승희. (1999). 노년 여성 숙인체형의 저고리 원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