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12.08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This study consisted of 203 smartphone using mothers of preschoolers in Gyonggi-do. The measurements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scale(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the parenting efficacy scale(Choi & Chung, 2001), an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Bae, 2005). Theses analyses were included i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T-test,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younger mothers showed higher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smartphone addiction subscales on parenting efficacy indicated that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ing was related with general parenting ability, healthy parent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learning guidance ability. The results of smartphone addiction subscales on parenting attitude showed that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ing was positively related with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virtual life orient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v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These findings can emphasize parents' appropriate smartphone use, and be useful resources to develop and utilize the programs of positiv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에 거주하는 미취한 자녀를 둔 어머니 20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척도(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양육효능감척도(최형성 정옥분, 2001), 양육태도척도(배문주, 2005)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분석,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일상생활장애가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상생활장애는 거부적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상세계지향성은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모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금희조, 조재호 (2010).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4(5), 348-371.
  2. 김기리, 이선정, 신효식 (2008).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 187-203.
  3. 김병년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8-21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4. 김지혜 (2013).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혜영, 장예빛, 정의준, 유승호 (2013). 대학생 스마트폰 사용 집단의 해석수준 및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사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0(2), 47-67.
  6. 문혁준 (2005). 취학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6(5), 139-149.
  7.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공동 연구보고서.
  8. 박중규, 배성만 (2012). 인터넷 사용동기,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심리, 정서적 문제가 초기 성인기 집단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19-434.
  9. 박지영, 김귀애, 홍창의 (201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151-169.
  10. 배문주 (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지혜 (2012).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동기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서창민, 이종훈, 최태연, 김지현, 신임희 (2012).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한국형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8(2), 223-230.
  13. 안창규 (1992). 학생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변인의 측정연구. 성곡논총, 23, 119-170.
  14. 오성심, 이종승 (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연구노우트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1(1), 1-15.
  15. 우형진 (2006). 휴대폰 이용자의 자아성향이 휴대폰 중독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2), 391-427.
  16. 이경옥, 김민화, 김승옥, 김혜수 (2006).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7. 이보영 (2012).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자녀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4), 115-132.
  18. 이송이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61-71
  19.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종구 (2000). Windows용 SAS와 통계자료 분석. 서울: 학지사.
  21. 이주옥 (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22.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 및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정책 세미나.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3. 이해경 (2009). 10대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의 예측변인들: 20대, 30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6(1), 117-153.
  24. 장여옥, 조남억 (2014).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1(2), 137-156.
  25. 장영애, 박정희 (2007). 아동의 인터넷 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131-1140. https://doi.org/10.5934/KJHE.2007.16.6.1131
  26. 장재홍, 김광현 (2009).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1996년부터 2007년까지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6(4), 157-183.
  27. 정은희 (2008). 디지털 기술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보통신정책, 20, 56-63.
  28. 정정애 (2010).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3), 1191-1202.
  29. 최정숙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효능감의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최현석, 이현경, 하경철 (2012).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학회지, 23(5), 1005-1015.
  31.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3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3. 현은자, 김태영, 조메리명희, 박은미 (2011). 가정에서의 디지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 신앙과 학문, 16(4), 245-266.
  34. 현은자, 박은미, 조메리명희,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181-205.
  35.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3-221.
  36. 홍경자 (2007). 자기주장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37. Ardelt, M., & Eccles, J. (2001). Effects of mothers'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promotive parenting strategies on inner-city youth. Journal of Family Issues, 22(8), 944-972. https://doi.org/10.1177/019251301022008001
  38. Bae, J. K., & Jeong, H. M.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factors by including functional attributes of smart phone adoption. The E-Business Studies, 9, 337-361. https://doi.org/10.15719/geba.9.4.200811.337
  39.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https://doi.org/10.1006/drev.1997.0448
  40.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0).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correlates. Family Relations, 49(1), 13-24.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0.00013.x
  41. Connell, S. L., Lauricella, A. R., & Wartella, E. (2015). Parental co-use of media technology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the USA. Journal of Child and Media, 9(1), 5-21. https://doi.org/10.1080/17482798.2015.997440
  42. Gross, D., &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207-215. https://doi.org/10.1002/nur.4770170308
  43.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44. Lenhart, A., Purcell, K., Smith, A., & Zickuhr, K. (2010) Social media and young adults.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1-61. 출력일 2015년 03월 05일, Retrieved from http://www.pewinternet.org/reports/2010/social-media-and-young-adults.
  45. O'Neil, J., Wilson, M., Shaw, D. S., & Dishion, T.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diverse sample of low income mot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6), 643-652. https://doi.org/10.1007/s10826-009-9265-y
  46. Pelletier, J., & Brent, J. M. (2002). Parent participation in children' school readiness: The effects of parental self-efficacy, cultural diversity and teacher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34(1), 45-61. https://doi.org/10.1007/BF03177322
  47. Radey, M., & Randolph, K. A. (2009). Parenting sources: How do parents differ in their efforts to learn about parenting? Family Relations, 58(5), 536-548.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9.00573.x
  48.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49.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50. Thomas, J., Feeley, N., & Grier, P. (2009). The perceived parenting self-efficacy of first-time fathers caring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2(4), 180-199. https://doi.org/10.3109/01460860903281366

Cited by

  1.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 South Korean Example of Mothers with Infants pp.1874-8988, 2018, https://doi.org/10.1007/s12187-018-9581-0
  2.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vol.11,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53
  3. 어머니의 우울과 거부-방임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 vol.13,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5.001
  4.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vol.40, pp.4,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9.40.4.95
  5.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s of Mother–Adolescent Smart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Parent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vol.17, pp.16, 2015, https://doi.org/10.3390/ijerph17165871
  6. The Effects of Korean Parents’ Smartphone Addiction on Korean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Moderating Effects of Children’s Gender and Age vol.18, pp.13, 2015, https://doi.org/10.3390/ijerph18136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