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즐 구경에 따른 포 수용액의 압력과 유량 및 농도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 Discharge Pressure, Flow Rate and Foam Discharge Concentration through the Nozzle According to the Foam Suction Nipple Diameter

  • 투고 : 2015.03.15
  • 심사 : 2015.03.31
  • 발행 : 2015.04.30

초록

본 연구는 소방펌프차에서 사용 중인 라인프로포셔너 방식의 포 소화설비에 대하여 노즐의 구경변화에 따른 포 수용액의 압력, 유량 및 농도의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 실험 데이터를 이론적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포 소화약제 성능인증기준에 적합한 폼 흡입 노즐의 흡입측 압력 및 폼 흡입 니플의 구경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 장치는 소방방재청 고시 제2012-81호 제8조(기능시험) 규정을 바탕으로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으며, 포 소화약제는 수성막포 3%를 사용하였고, 혼합장치는 현재 소방관서에서 사용 중인 폼 픽업식 라인프로포셔너 혼합장치 구경 40 mm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라인프로포셔너 혼합장치의 인입측 압력 변화 및 폼 흡입 니플 구경의 변화에 대하여 폼 흡입 노즐의 구경이 4 mm일 때 노즐 흡입측 압력은 0.25~0.35MPa 범위 내에서 이론적 포 소화약제 성능 인증 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폼 흡입 노즐의 구경이 5 mm일 때는 폼 흡입 노즐의 구경이 4 mm일 때 보다 높은 압력 0.45~0.60 MPa 범위 내에서 포 소화약제 성능 인증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asonable model of the caliber in suction nozzle, the pressure of suction nozzle, and the flow rate about foam system of line proportioner type using in the pumpcar. To test this, the experimental study was accomplished on the ground of the standards for the Performance Certification and Product Inspection of Foam Fire-extinguishing Chemical Mixing Machine. Aqueous Film Forming Foam in 3% and pipe type air foam nozzle with line proportioner FE 40 type were used. Test result showed that the pressure of suction nozzle within the limits between 0.25 MPa and 0.35 MPa was appropriate when the caliber in suction nozzle is 4 mm. Also, the pressure of suction nozzle within the limits between 0.45 MPa and 0.60 MPa was appropriate in the higher pressure than 4 mm when the caliber in suction nozzle is 5 mm.

키워드

참고문헌

  1. H. H. Choi, "Fire Protection System Handbook", DAIN, pp. 354-370 (2011).
  2. J. P. Asselin, G. P. Crampton, A. K. Kim and J. K. Richardson, "Compressed-Air Foam Fixed-Pipe Fire Suppression Systems", Fire Protection Engineering, pp. 1-10 (2007).
  3. S. O. Nam, "Design & Construc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s", Sungandang, pp. 170-173 (2014).
  4. S. O. Nam, "Design & Construc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s", Sungandang, pp. 345-346 (2014).
  5. C. O. Lee, "Firefighting Fluid Mechanics", Sidaegosi Publisher, pp. 438-439 (2010).
  6. K. J. Yun,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am Fire-Extinguish System's Mixing Ratios by Expanding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tock Solution inhaling Piping",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3, p. 31 (2013).
  7. J. H. Ku, "Study on Foam Mixing Characteristics in Steady Stat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roportioner for Foam System", Journal of KOSHAM, Vol. 9, No. 5, p. 6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