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tatus and Major Issues in Securing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RCA Regional Office Hosted by Korean Government

아태 원자력협정(RCA)사무국의 국제기구화 추진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4.11.06
  • Accepted : 2015.03.26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Korea's experiences in the use and development of nuclear energy are recognized as a successful model as a developing country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community. With these experiences, Korea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Korean nuclear industry and international society as a nuclear advanced country.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major issues in securing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RCA Regional Office hosted by Korean Government since 2002. In this connection, major political environments and relevant issues in facilitating the revision of RCA Agreement and securing legal status of the RCARO are also investigated. It is essential to amend the 1987 RCA Agreement or to conclude the its supplementary agreement for the securing of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RCA Regional Office at the RCA policy meeting prior to extension of the agreement in 2017 and after. It is recommended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inter-ministry governmental task force teams to facilitate and support the required actions in the national and diplomatic actions in the regional leve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CA and RCA Regional Office.

본 논문은 한국정부가 유치한 아태원자력협정(RCA)사무국의 국제기구화 추진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RCA사무국 유치와 지원활동, 국제법적 지위 확보와 관련된 주요 문제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와 함께 RCA 협정개정과 사무국의 국제기구화 추진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과 대응 방향을 분석하였다. 한국은 개도국으로서 원자력의 이용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으며 앞으로 원자력 기술 선진국으로서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국제기구 유치가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한국정부가 유치에 성공한 RCA사무국의 국제법적 지위 확보는 협정개정이나 보조협정의 체결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2017년 협정개정과 이후 본부협정 체결을 목표로 범부처 차원의 RCA사무국 국제기구화기획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이다. 이와 함께 사무국의 지원단도 구성하여 사무국의 사업 수행과 기술적 지원을 수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제1회 과학기술 ODA 포럼 개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권율 외 (2014), "국제사회의 ODA 추진 현황과 특징", KIEP 지역경제포커스, 대외경재책연구원.
  3. 기획재정부 (2010), "국제기구 유치현황과 추가유치 활성화 방안", 기획재정부.
  4. 기획재정부 (2012), "국제기구 유치현황과 추가유치 활성화 방안", 기획재정부.
  5. 기획재정부 (2013),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유치백서", 기획재정부.
  6. 대외정책경제연구원 (2009),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기본자료 연구", 대외정책경제연구원.
  7. 박재영 (2008), "국제기구 유치정책의 평가와 제언 : 유치 성공 및 실패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기구저널, 3(1): 45-74.
  8. 박흥순 (2008), "한국의 국제기구유치 전략 - 현황과 강화방안", 국제평화연구, 1: 5-37.
  9. 양맹호 (2010), "RCA 사무국의 활동과 향후 전망", 원자력산업, 2010년 11/12월호.
  10. 외교부 (1972), "Regional Co-operative Agreement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ed to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RCA)", 외교부.
  11. 외교부 (1998), "대한민국 정부와 국제백신연구소간 본부협정", 외교부.
  12. 외교부 (2007), "아.태원자력협력협정(RCA)지역사무소 법적위상에 관한 외교부 검토의견", 외교부.
  13. 외교부 (2014), "한국의 ODA 지원 현황과 ODA 운영체계", 외교부 홈페이지.
  14. 윤정 (2010), "인천광역시 국제기구 유치 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5. 이명진 외 (2010), "우리나라 과학기술 외교와 글로벌 과학기술 의제", 정책연구 2010-17,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6. 이정준 (2004), "국제회의 유치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17. 정보통신부 (2005), "우리나라 최초의 UN 산하기구 유치 성공", 정보통신부 보도자료.
  18. 한국원자력연구원 (1999), "원자력기술의 국제 홍보 및 수출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KAERI/ RR-1923/98, 한국원자력연구원.
  19. 한국원자력연구원 (2005), "RCA 발전방안과 지역사무국의 주도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RR-2659/2005.
  20. 한국원자력연구원 (2012), "기술협력증대를 위한 ASEAN 주요국의 원자력연구개발 동향 및 정책현황 조사", 기초기술연구회/한국원자력연구원.
  21. 한국원자력연구원 (2014), "아.태 원자력협정(RCA)사무국 국제기구화 추진 방안과 전략 연구", KAERI/RR-3718/2014, 한국원자력연구원.
  22. 한국원자력연구원 (2014가), "아.태원자력협력협정사무국 운영규정", 한국원자력연구원, 2014 4 개정).
  23. 한영주 (2008), "서울시 국제기구 유치 전략",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4. 홍승환 외 (2013), "국제백신연구소 15년 성과 분석 및 발전 방향 마련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2012-0049.
  25. Easey, J. (2010), Development of RCA REGIONAL PROFILE, RAS004805.
  26. IAEA (1987), The 1987 Regional Co-Operative Agreement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ed to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in Vienna, IAEA.
  27. IAEA (2001), RCA Regional Office in Korea, IAEA Interoffice Memorandum, 2001-09-03, IAEA.
  28. RCAGOR (2010), GUIDELINES AND OPERATING RULES FOR THE RCA PROGRAMME, adopted at the 39th RCAGCM, www.rcaro.org.
  29. RCAMTS (2012), "RCA Medium Term Strategy for 2012-2017 and the Implementation Plan", www.rcaro.org.
  30. RCARO (2002), Working Paper On the Establishment of an RCA Regional Office in The Republic of Korea, Adopted by 31st RCA General Conference on 18 September 2002, www.rcaro.org.
  31. RCARO (2012),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RCA Procedure for Programme Development", RCANRM, (34):7, www.rcaro.org.
  32. RCARO (2013), RCA Brochure 2013, www.rcaro.org.
  33. RCARO (2014가), "제36차 RCA 국가대표자회의 참가결과 보고", 2014. 3.31-4.4, 뉴질랜드 웰링턴, 아.태원자력협력협정(RCA)사무국.
  34. RCARO (2014나), "RCA사무국 발전 TFT 활동결과 및 후속조치 계획(안)", 2014.5.13, RCA사무국.
  35. RCARO (2014다), "Future Role of the RCARO, RCANRM-Annex3", www.rcaro.org.
  36. RCARO (2014라), "Proposed Amendment to the RCA Agreement by ROK", RCANRM, (36), www.rcar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