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Usage of Korean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현황 연구

  • 이소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4.12.18
  • Accepted : 2015.01.20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current usage patterns of Korean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distributed by the National Archives Korea in order to support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agencies. An email survey has been sent to 4 types of public agencies: central government agencies, provincial governments,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s well as city and county offices. While all agencies are included in the survey for the first three types, only two provincial districts are selected for city and county offices, Out of 101 email questionnaires sent, 65 are returned(63.73%). The results show the usage patterns of 240 functionalities aligned to 9 main functions: accession from records creators, preservation, appraisal, accession to the national archives, reference management, access and tracking, retrieval and use, system management as well as freedom of information management by public institutions. Since its launch in 2007, the system has been distributed to 707 public agencies as of late 2014. The problem is that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evaluate the functionalities and usabilities of the system. Only grievances from those agencies implemented the system have never been ceased.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offer the levelled ground for productive discussion between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agencies.

이 연구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현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인수, 보존, 평가, 이관, 기준관리, 접근과 감사추적, 검색활용, 공개관리 등 9개 대기능에 속한 240개 세부기능별 활용정도를 묻는 설문도구를 구성하였다. 중앙부처나 광역교육청, 그리고 광역자치단체는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고, 기초자치단체는 두 곳의 광역단체에 속한 기초단체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101개 기관 중 65곳이 응답하여 최종 응답률은 63.73%였다. 그동안 표준RMS에 대해서는 '불편해서 쓸 수가 없다'는 생산기관 전문요원의 입장과 '잘 쓴다고 하는 곳도 꽤 있다'는 기록원의 입장이 대립해 왔다. 처음으로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기능이 어느 정도 활용되는지를 확인한 이 연구를 기점으로 해서, 이후로는 표준RMS의 개선을 위한 생산적인 논의가 펼쳐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

Cited by

  1. 육군 기록관리정책의 집행맥락에 관한 연구 일선관료제 모형의 한계와 정책네트워크 모형의 제안 vol.49,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6.49.175
  2.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화 전략 연구 vol.52,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2.121
  3.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4. 표준기록관리시스템(RMS)의 기능 현황 및 발전방향 10년의 운영 경험과 기능 개선 사항을 중심으로 vol.57,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7.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