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 Focused on Research Papers between 2004 and 2013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최근 10년간(2004-2013)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최이랑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 Received : 2014.12.20
  • Accepted : 2015.01.21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by analyzing the article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For the study, 479 articles from 5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3 were analyzed. The study employed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rea of Korean Archival Studies were 'Record and Archive Management' and 'Archivist'. However 'Electronic Records'.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Appraisal' have been used the most frequently when these general words have been excluded. Second, most participating institutions in journals, during the given period of the study, were Myongji Universit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hung-Ang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Especially, MyongJi University and Chung-Ang University are core institutions in the Korean Archival Studies community.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을 분석한 내용이다. 총 5종의 학술지에서 수집한 논문은 479편이며 키워드와 저자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고, 분석 도구는 KrKwic, Ucinet, NetDraw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기록관리, 아키비스트, 전자기록이었으며, 범용적이고 일반적인 키워드를 제외하고서는 전자기록,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학술 논문에 가장 많이 참여한 기관은 명지대, 한국외대, 중앙대, 부산대였고, 전체 기관 중 약 41%의 기관들이 대학 및 대학원이었다. 특히 명지대와 중앙대가 국내 기록관리학의 커뮤니티에서 가장 핵심 기관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