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ing the Demand-driven Model-based Inter-industry Analysis to Examine the Economic Effects of Petroleum Refinery Sector

수요유도형 모형 기반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한 정유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Kim, Ho-Young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Song, Tae-Ho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김호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송태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Received : 2015.02.09
  • Accepted : 2015.03.1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yearly economic effects of petroleum products sector. Inter-industry tables published 1990~2012 are used in this study. Especially petroleum products sector is specified as exogenous to identify the economic effects on own and other sector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quantified based on demand-drive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ase of annual production inducing-effect, show the downward trend from 1993 to 2008. and It seemed to be constant from 2009 to 2012. The value-added inducing-effect, from 1990 to 1998, shows a rising trend. the since 1998, it was found to decline steadily. Employment-inducing effect is shown a steadily decreasing trend from 1990 to 2008, and has been kept constant from 2010 at the level under 1.300(person/one billion won). These results of in comparison with the past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objectively evaluate the domestic oil industry at the present time. and it can be usefully utilized to predict the economic effect of future oil industry.

본 논문에서는 연도별로 정유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1990년부터 2012년도까지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다. 산업연관분석 분석모형 중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되, 정유 부문을 외생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자기부문에 대한 효과와 타 부문에 대한 효과를 구분하였다. 정유 부문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정량화하고 연도별 추이를 살펴본 결과,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1993년도부터 2008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09년도부터 2012년까지 일정한 수준(1.1912, 2012년 기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부가가치 유발효과의 경우 1990년에서 1998년까지는 상승추세를 보이다가, 1998년 이후로 는 꾸준히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0.1174, 2012년 기준). 취업유발효과는 1990년부터 2008년까지 꾸준히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부터 1.300(명/10억원) 이하의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과거와 비교하여 현시점의 국내 석유 산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향후 석유산업에 대한 각종 경제적 파급효과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소윤, 유승훈, 곽승준, 디지털 방송산업의 향후 전망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6호, 2371-2388, (2008)
  2.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1345-1357, (2007)
  3. 유승훈, 양창영, 지상파 방송광고 단가 변동의 경제적 파급효과, 광고연구, 제75권, 143-162, (2007)
  4. 유승훈, 임응순, 구세주, 광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 파급효과분석, 광고연구, 제 78권, 189-214, (2008)
  5. 유승훈, 허재용, 김기주,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5호, 1593-1612, (2004)
  6. 이정전, 연쇄효과지표에 관한 고찰, 경제학연구, 제31권, 57-80, (1983)
  7. 한국개발연구원, 유가하락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5)
  8. 한국은행, 1990-2012년 산업연관표, (1992-2014).
  9. 허재용, 유승훈, 곽승준, IT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 RAS기법의 응용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2호, 483-500, (2008)
  10. 홍준석,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을 이용한 석유제품산업의 성장기여요인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2)
  11. Davis, H. C., Salkin, E. L.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Economic Impacts Resulting from Supply Constraints",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 18, 25-34, (1984) https://doi.org/10.1007/BF01287372
  12. Heo, J.-Y., Yoo, S.-H., Kwak, S.-J., "The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vol. 5, 327-336, (2010) https://doi.org/10.1080/15567240802533880
  13. Howe, C. W., Smith, M. G. "The Value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Urban Water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26, 19-30, (1994) https://doi.org/10.1006/jeem.1994.1002
  14. Hirschman, A. O.,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8)
  15. Osterhaven, J.,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s", Southern Economic Journal, vol. 62, 750-759, (1996) https://doi.org/10.2307/1060892
  16. Osterhaven, J., "On the Plausibility of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28, 203-217, (1988)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8.tb01208.x
  17. Rose, A., Allison, T. "On the Plausibility of the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Empirical Evidence on Joint Stability",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29, 451-458, (1989)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9.tb01390.x
  18. Yoo, S.-H., Yang, C.-Y. "Role of Water Utilit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vol. 15, 527-542, (1999) https://doi.org/10.1080/07900629948745
  19. Yoo, S.-H., Yoo, T,-H., "The Role of the Un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Progress in Nuclear Energy, vol. 51, 86-92, (2009) https://doi.org/10.1016/j.pnucene.2007.12.001

Cited by

  1. The Supply Shortage Effects of Oil Refinery Industry in Korea vol.24, pp.3, 2015, https://doi.org/10.5855/ENERGY.2015.24.3.164
  2.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ole of the Oil Refinery Industry in the Korean and Japanese National Economy vol.25, pp.4, 2016, https://doi.org/10.5855/ENERGY.2016.25.4.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