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hievements in Online Programming Course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 Received : 2015.04.27
  • Accepted : 2015.05.22
  • Published : 2015.05.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hievements in online programming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analysis, after performing the inspection of learning styles of Grasha-Reichmann for 10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line programming learning were performed for 12 weeks. First, according to learner's variable, boy was higher than girls in dependent learning style. Middle school student higher than high school student in competitive and avoid learning styles. Independent and participant learning styl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lev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hievements show that independent(r=.253, p<.01) and participant(r=.303, p<.01)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s. As a result, independent and participant learning styles are confirmed to be related with achievements. In addition, we analyzed each learning style characteristics by writing survey of the impression of the learners by main learning styles, through which we could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online programming by learning styles.

본 연구는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 환경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중 고등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한 후, 12주간 C언어 프로그래밍 학습과 과제를 수행하였다. 먼저,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양식 차이 결과,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존형이 높았고, 학교급에서 중학생이 경쟁형과 회피형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성취수준에서는 독립형과 참여형이 차이가 있었다. 학습양식과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형(r=.253, p<.01)과 참여형(r=.303, p<.01)이 정적 상관을 보여 두 분석 결과 독립형과 참여형이 성취도와 연관이 있는 학습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주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 소감을 조사하여 학습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통해 학습양식별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ayer, R. E.(1992). Thinking, problem solving.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2. 이정모, 이건효(1998). 초보자의 C언어 학습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분석 연구. 한국인지과학회 연구보고서, 1-20.
  3. 유병건(2012). 정보영재와 일반학생의 프로그래밍 문제해결과정 비교분석.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4. 강명희, 강인애 외(2007). 미래를 생각하는 e-러닝 콘텐츠 설계. 서울 : 서현사.
  5. Dunn & Dunn(1978) Teaching students through their individual learning style. Englewood Ciffs. NJ: Prentice-Hall.
  6. 백장현(2004). 학습경로패턴에 따른 적응적 학습환경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Curry. L.(1987). Integrating concepts of cognitive learning style: A review with attention to psychometric standards. Ottawa: Canadian College of Health Science Executives.
  8. 이영희(2011). 학습양식척도 개발과 그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9. 권성연(2008).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양식과 학습 활동 선호도 및 학습 전략 사용과의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4), 141-171.
  10. Zhang, L. F. (2001). Do thinking styles contribute to academic achievement beyond self-rated abilitie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6), 621-637. https://doi.org/10.1080/00223980109603724
  11. 임창재(1994).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환경 변인의 과정 변인 탐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12. Schmeck, R. R.(1998).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tyles. New York: Plenum Press.
  13. Dunn, R. S.(1981). Learning Style researchers define differences differently. Educational Leadership, 38, 372-375.
  14. Keefe, J. W.(1982). Student Learning Styles and Brain Behavior. Virginia: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15. 정재교(1991). 학습자의 학습양식 및 학업성취 원인지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16. 기채영(1997). 학습양식 및 선호하는 수업방식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7. 박선아(1989).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귀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8. 태명화(1998). 초등학생 아동의 학습양식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김정겸(2004).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7(2), 27-36.
  20. 김종혜(2009).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중등 교육 프로그램.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1.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2010).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2), 15-23.
  22. 박혜옥 (2008).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유형, 학습전략,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실과교육연구, 14(4), 225-242.
  23. 장윤재, 김자미, 이원규(2011).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 능력의 차이 검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1), 1-12.
  24. 박재환(1197). 중학생의 학습양식과 TA 자아상태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5. 서길주(2003). 피드백 유형이 학습양식에 따라 수학과 내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