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r of Falling,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중노년기의 낙상두려움이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3.13
  • Accepted : 2015.05.04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fear of falling,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ased on the disablement process model. The pane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ere used to test whether fear of falling affects disablement process as a risk factor and an exacerbator.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reported fear of falling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nd fear of falling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increasing the risk of ADL/IADL disability. In addition, fear of falling exacerbate the risk of ADL/IADL disabil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d chronic illnes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ar of falling is not only risk factor but also excerbator in predicting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prospectively.

본 연구는 장애과정모델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중노년기에 낙상두려움이 위험요인 혹은 악화요인으로써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고령화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2차 자료(2006년, 2008년, 2010년)를 이용하여 종단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낙상두려움은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ADL/IADL장애를 통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낙상두려움이 악화요인으로써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중노년기에 신체질환의 경험과 함께 낙상두려움을 가진 경우에는 ADL/IADL장애발생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낙상두려움은 장애과정에서 있어서 위험요인이자, 악화요인으로써도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노년기의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낙상두려움 관련한 적극적인 개입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