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Counting in Korea

유아 수세기(count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Received : 2015.04.15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rends in research concerned with children's counting in Korea. A total of 59 studies on counting including journal articles, master's & doctoral the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period of time, content,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1) ${\frac{1}{3}}$ of the total studies on counting were published in 2001~2005, 2) the most frequent content was the developmental trend of young children's counting ability and then the relation between counting ability and various mathematical competence, 3) most of the studies targeted normal early childhood children from 3~5 years old and used the quantitative metho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omestic research on counting have limits in the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methodology. The researcher presents thre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rist, topics that are not enough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examples, counting backwards, counting by collections such as tens, fives, twos, and counting errors in young children need to be further studied. Second, counting behavior and ability of young children under 3 years olds need to be investigated.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studies using qualitative method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 수세기(counting) 관련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세기를 주제어로 다루고 있거나 제목으로 명시한 국내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 5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별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별로 보면 수세기 연구물은 2001-2005년 사이에 현저하게 많았고 그 이외의 시기 동안에는 비슷한 비율로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별로 보면 수세기의 발달적 경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세기와 기타 수학적 개념 및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보면 양적 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질적 연구는 매우 미미했으며, 연구대상은 3-5세의 일반 유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이전에 확인된 내용들에 대해 중복적인 연구를 피하고 새로운 주제가 탐색될 필요가 있으며 영아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은 (2003). 3,4,5세 유아의 수세기와 더하기, 빼기 능력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주희 (2012). 쌓기놀이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세기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경나, 오은순 (2014). 유아 수와 연산 교육 실태와 교사 인식 조사. 육아지원연구, 9(1), 65-95.
  4. 공정숙 (2003). 만 3세, 4세, 5세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나누기 개념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6. 권경옥 (1982). 유아의 연령수준에 따른 수세기 전략과 수보존개념과의 관계분석.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권영심 (1993). 유아 수개념 발달에서의 수세기와 짝짓기의 역할. 교육심리연구, 7(2), 1-31.
  8. 기은옥 (2007). 2세와 3세 영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나누기 개념에 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경철 (1990).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수세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0, 67-83.
  10. 김미애 (1994). 수교육 교수 접근법에 따른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수미 (2010).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부진아의 수세기 능력 연구. 학교수학, 12(2), 137-150.
  12. 김수정 (2003).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표상 발달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영실, 김지영(2002) 유아의 수세기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29(2), 247-265.
  14. 김영실, 김지영, 김용님 (2003). 유아의 수세기, 분류하기, 배분하기 능력에 있어서의 계층차. 한국교육, 30(2), 163-186.
  15. 김영중, 김경희 (2003). Gellman과 Galistel의 수세기 이론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방향: 사회극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프로그램 활동 제시. 제주관광대학 논문집, 9, 67-84.
  16. 김은정, 신은수, 김소향 (1993). 3,4,5세 유아의 합리적인 수세기, 더하기, 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4(1), 23-37.
  17. 김지영 (2006). 유아 수학평가 도구를 사용한 수학 연구의 동향 분석: 1981년 이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233-252.
  18. 김지영 (2008). 자연물을 이용한 한 줌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량 어림하기와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김지원 (1999). 정신지체아를 위한 수세기 CAI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김지은 (2009).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연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나귀옥 (2009). 한국과 영국의 유아 수학교육 내용 및 교수활동 실제 비교(연구보고서 2007-013-B00079). 한국연구재단, 순천향대학교.
  22. 라혜미, 이희영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246-262.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2.246
  23. 문선미 (2015). 유아 수세기 지도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문영주 (1982). 아동의 수세기와 수보존의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민정아 (2008). 학령 전 아동의 수세기 능력에 따른 수, 양 차원의 변별. 카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박연숙 (2003). 수학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수세기와 일대일 대응학습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박향신 (1986). 유아의 큰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 수보전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박혜경 (2005). 유아 언어 관련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6(1), 393-406.
  29. 박화섭 (2004). 구체물을 활용한 유아의 수세기 활동이 수개념과 더하기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방주옥 (1987). 아동의 기수개념 획득에 있어서 수세기 전략과 대응전략의 발달적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서동미, 윤은미, 문주형 (2005).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회지, 9(2), 169-187.
  32. 손경화 (2013). 스마트폰 학습용 앱을 이용한 수세기 학습이 뇌병변 장애 학생의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손중곤 (2011). 퀴즈네어 막대를 활용한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의 수세기와 덧셈, 뺄셈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송연숙, 최혜진(1999). 유아의 수세기 지식과 산수 문장제 해결 능력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9(1). 111-132.
  35. 송연숙, 황해익 (2000). 유아의 수세기 지식과 산수문장제 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1), 49-69.
  36. 송태근 (2004).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수세기 지도방안: 특수아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신소영 (2012).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신현기, 이병혁, 이태수, 박경옥 역. 아동의 수학발달 -연구와 실제의 적용-. 서울: 학지사.
  39. 안진경, 김영실 (2005).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36(1), 199-217.
  40. 오재연, 이지현 (2004). 수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세기와 수표상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21.
  41. 유민정 (2014).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초기 수세기 능력 조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유수경, 황해익 (2009).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93-314.
  43. 윤선경, 조혜진 (2014). 유아교육기관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01-12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01
  44. 윤소영 (2001). 유아의 수세기 능력에 따른 수표상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윤영숙 (2004). 악기를 활용한 수놀이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세기와 일대일 대응학습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이만수, 홍은주 (2001). 국내 유아 수세기 연구의 동향 분석. 공주영상정보대 논문집, 8, 23-38.
  47. 이미애 (2005).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소고: 최근 노문 분석을 통하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이송희 (2014). 유아수학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이영미 (2006). 구체물을 활용한 큰 수에 관련된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십진법과 자릿수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37-58.
  50. 이영주(1996).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1945-1995).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이은희 (2005). 유아의 수세기 활동에 관한 고찰. 목포과학대학 논문집, 29, 71-88.
  52. 이정수 (2004).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세기 교육과 개선점. 교육논집, 5(2), 151-155.
  53. 이정희 (2009).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아수학교육의 내용-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597-607.
  54. 이주영 (2013). 수 명명체계에 따른 수세기와 십진법 개념 이해.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이지현 (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2.
  56. 이지혜 (2003). 유아의 수세기 행동 및 수세기에 대한 생각.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7. 이효정, 노희연, 김성숙 (2007).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0, 205-227.
  58. 임옥경 (2004). 자극제시 조건에 따른 발달지체 유아의 수세기 오류유형 특성.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9. 전상숙 (2002). 유아의 수세기 활동이 수학성취와 수학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정옥분 (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61. 정현숙 (1999). 유아의 수세기 활동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2(1), 1-21.
  62. 조삼아 (2007). 유아의 수세기와 분류하기, 배분하기 능력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3. 조은영(1993). 유아의 수세기 훈련프로그램이 수 개념과 수학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4. 조형숙, 박지희 (2014). 교사관련 국내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20.
  65. 채미영, 이위환 (2006). 자료 유형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수세기 능력. 아동교육, 15(3), 271-284.
  66. 최형숙 (2007).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7. 최혜진 (2003). 유아수학능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8. 최혜진, 조은래, 김선영(2013).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 학회지, 34(1), 123-140.
  69. 한석실 (1992). 논리조작과 수세기에 기초한 활동이 유아의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0. 한충현 (1998). 정신지체아의 수세기와 분류능력간의 상관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1. 허해순 (2011). 세기를 활용한 덧셈 뺄셈 문장제 해결능력에 대한 고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2. 홍혜경 (1990). 한국 유아의 수단어 획득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1(2), 5-19.
  73. 홍혜경 (1991). 유아의 수세기능력과 수리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2(1), 78-90.
  74. 홍혜경 (1992). 한국 유아의 수단어 획득을 위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1), 115-131.
  75. 홍혜경 (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영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76. 황정숙 (2003). 자료유형(그림, 실물)과 제시 순서에 따른 3,4,5세의 수세기 능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95-315.
  77. Baroody, A. J.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irrelevance principle and counting skil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1), 59-68. https://doi.org/10.2307/749554
  78. Copley, J. V. (2004). The early childhood collaborative: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to communicate and implement the standards. In Clements, D. H., Sarama, J., & DiBiase, A. (Eds.).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9. Cross, C.T., Woods, T. A., & Scheingruber, H., (Eds.). (2009).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 Press.
  80. Fuson, K. C., Grandau, L., & Sugiyama, P. A. (2001). Achievable numerical understandings for all young children.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9), 522-526.
  81. Gellman, R. & Galistel, C. R. (1978).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2. Gelman, R. (1972). Logical capacity of very young child: Number invariance rules, Child Development, 43(1), 75-90. https://doi.org/10.2307/1127873
  83. Gelman, R. (1982). Basic numerical abilities. In R. J. Sternberg (Ed.),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 IV (pp. 181-205). NJ: Erlbaum.
  84. Maclellan, E. (1997). The importance of counting. In I. Thompson (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 (pp. 33-40). Buckingham: Open University.
  85. Munn, P. (1994). The early development of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1), 5-18. https://doi.org/10.1080/13502939485207491
  86. Payne, J. N., & Huinker, D. M. (1993). Early number and numeration. In R. J. Jensen (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p. 43-71). Old Tappan, NJ: Macmillan.
  87. Schwerdtfeger, J. K., & Chan, A. (2007). Counting collection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3(7), 356-361.
  88. Thompson, I. (1997). Epilogue: The early years number curriculum tomorrow, In I. Thompson (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 (pp. 155-160). Buckingham: Ope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