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거대사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제안

  • 윤혜정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 서희창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 박은수 (한양대학교 ERICA 공학기술연구소) ;
  • 이윤선 (한양대학교 EIRCA 건축학부) ;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희수 (한양대학교 ERICA 문화인류학과) ;
  • 임성빈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태식 (한국건설기술연구)
  • Received : 2015.02.23
  • Accepted : 2015.03.31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on historical events that can solve the existing curriculum's problems, such as the disproportionate weight given to Western historical events. The study focuses on content ranging from the start of the Agricultural Revolution (7000 BC.) to the star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D. 17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used the Delphi technique for deriving global historical events. Among them, 56 historical events were selected as the data for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he results of SNA showed that topics related to Civilization has a high priori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coagulation analysis showed the events can be divided into seven group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s different from the criteria used for the current period. We expect that the suggested framework developed for historical contents will constitute a new approach to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network visualization and linkage analysis.

본 연구는 기존의 서양 중심 세계사를 바탕으로 한 암기식 교육의 문제를 개선 하고자 거대사 관점의 새로운 역사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범위는 인류문화가 시작된 농업혁명부터 산업혁명까지의 역사적 사건으로 설정하였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기법을 통해 총 56개의 주요 역사적 콘텐츠를 도출하였고, 이를 사회연결망 분석의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개별 콘텐츠의 영향력 분석 결과, 총 56개의 역사적 핵심사건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사건의 키워드는 문명의 발생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사적 사건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각적으로 응집 분석한 결과 7개의 그룹으로 키워드가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교과과정의 시대별 분류기준과는 다른 새로운 분류기준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역사 교육 콘텐츠 개발 체계는 거대사 관점에서 역사교육 콘텐츠 네트워크를 구성한 새로운 역사 해석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호환, 김효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역사 지식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제63집, pp.47-62, 2001.
  2. 김미경, 세계화시대 역사교육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유럽중심주의와 자국민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성찰-, 영남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3. 정원일, 역사소설을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조정래 대하소설 아리랑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7.
  4. 정광훈, 교육용 콘텐츠 확보, 개발 종합계획 -교육용 콘텐츠 확보 방안 수립-, 한국교육학술정보보원, 연구보고 RR2003-22, 2003.
  5. Fred Spier, Big History and the Future of Humanity, Willey-Blackwell, 2010.
  6. Robert Aunger, "Major transition in 'big' history,"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74, No.8, pp.1137-1163, 2007. https://doi.org/10.1016/j.techfore.2007.01.006
  7. 김원수, "역사교육의 전지구적 전환 : 새로운 세계사와의 연계", 역사교육연구, 제15호, pp.101-124, 2012.
  8. 임성빈, 빛의 환타지아(현대과학으로 본 창세기, 빅뱅(우주의 시작)에서 오늘까지), 환타지아, 2007.
  9. 이경석, 이태희, 신영근, 김태형, 한승우,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정성적 공법 선정 요인의 정량적 평가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36-144, 2011. https://doi.org/10.5345/JKIC.2011.04.2.136
  10. 고재윤, 정미란, "소믈리에 자격증 평가항목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0권, 제5호, pp.133-151, 2006.
  11. 오우진, 공동주택공사의 공종별 하도급 네트워크특성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시공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12. 강병욱,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및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배구 경기력 분석,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학정보통계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13. 박병선, 곽기영, 김선웅, 최홍식, "사회연결망 분 석기법을 활용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성과 연구", 경영과학(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제29권, 제2호, pp.167-184, 2012.
  14. 최승배, 강창완, 최형준, 강병욱,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축구경기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학회지, 제22권, 제5호, pp.1053-1063, 2011.
  15. Andrea Landherr, Bettina Friedl, and Jelia Heidemann, "A Critical Review of Centrality Measures in Social Networks," Business &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Vol.2, No.6, pp.371-385, 2010. https://doi.org/10.1007/s12599-010-0127-3
  16. 김상배, "네트워크로 보는 중견국 외교전략 : 구조적 공백과 위치권력 이론의 원용", 국제 정치논의, 제51집, 제3호, pp.51-7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