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상품 확산의 시·공간적 특성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Spac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Diffusion: The Case of PSY's "Gangnam Style" Music Video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김호성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Kim, Ho Sung (Department of Media Communi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5.05.12
  • 심사 : 2015.05.29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콘텐츠 상품의 소비 및 확산에 나타나는 시공간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 인기를 누리며 확산되고 있는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의 확산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유튜브에 탑재된 이후 4~6개월간의 지역별 유튜브 조회 수와 트윗 자료 및 구글 검색 수를 바탕으로 이들이 확산되어 나가는 과정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 한다. 분석 결과 뮤직비디오와 같은 문화콘텐츠 상품의 경우 물리적인 공간 거리와 무관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한 확산의 경우도 지역에 따라 전파되는 시점과 전개 과정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언어, 문화적 연관성 및 한류에 대한 호의성 및 배타성 등으로 정의될 수 있는 문화적 거리가 이러한 문화 상품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ptions of cultural-contents commodities and their spatial diffusion progresses via digital media. For the purpose, we examine the spatial diffusion patterns of PSY's Music Video "Gangnam Style" since it has been launched on the YouTube. By visualizing the spacio-temporal progresses of YouTube, Tweet, and Google searching data during four months after launching, we examine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diffusion patterns of the music video via each media. We found that the adapting time and the diffusion progress were not in accordance at each country. The results revel that cultural distance such as characterized by language, cultural linkage, exclusivism or courtesy for the 'Hanrue' affects quite strongly on the spatial diffusion of music video rather than physical dist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