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atter-aged Elderly Suicide Attempt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

  • 이광숙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최균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5.05.18
  • Accepted : 2015.07.15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eper meaning of the experience to explore the essence of latter-aged elderly suicide attempt. To this end, by applying the technology of Giorgi phenomenology to focus on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was described reveal the structure of the developing. By targeting eight people aged 75 years and over in Seoul experience with suicide attempts, ope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aforesaid materials result, late of suicide in elderly seniors experience semantics was putting down that long for the comfort at the crossroads of life. Analysis of six components were derived 'regrets the harsh years', 'desperate and pathetic beholden', 'useless worthless life', 'body of unbearable pain and lethargy', 'no place to lean loneliness', 'the last select'. Discuss these findings the suicide problem of latter-aged elderly suicide attempt, based on experience and in-depth, Elderly mental health and social welfare presen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적용하여 경험의 본질에 집중하여 현상의 구조를 밝히고 기술하였다. 자살시도 경험을 가진 서울 지역 75세 이상 노인 8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방적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의 경험의 의미구조는 '지속적인 고통의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편안함을 갈망하는 내려놓음'이었다. 통합된 일반적 구조로 6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6개의 구성요소는 '모진 세월의 회한', '절망적이며 처량한 신세', '무가치한 삶', '참을 수 없는 통증과 무기력', '의지할 곳 없는 고독', '마지막 선택'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STAT, Health Status Data, 2014. 09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34 Countries.
  2. Y. Conwell, "Suicide prevention in later life: a glass half full, or half empt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6, No.8, pp.845-848, 2009. https://doi.org/10.1176/appi.ajp.2009.09060780
  3. Harwood and Jacoby,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In Keith Hawton(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ohn Wiley & Sons. Ltd. 2000.
  4. A. Marschean, "Developing a Plan and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in the common wealth," joint Commission on Behavioral Health Care, 2002.
  5. 에밀 뒤르켐, 자살론, 청아, p.317, 2003.
  6. 배지연, 노인자살생각에 관한 인과 모형,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7. 서지영,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 장금섭,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51, 2013.
  9. 윤명숙,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음주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113-140, 2011.
  10. 윤명숙, 채완순,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3권, pp.218-256, 2009.
  11. 박지영, 노인 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2. 임미영, 김윤정, "노인자살시도자들의 자살시도 전 경험", 대한 간호학회지, 제41권, 제41호, pp.61-71, 2011.
  13. A. Marschean, Developing a Plan and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in the common wealth, joint Commission on Behavioral Health Care, 2003.
  14. 배지연,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 노인복지 연구, 제23권, pp.65-82, 2005.
  15. 이영자, 노년기의 우울과 사회적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 박상칠, 조용범,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9.
  17. 이혜자,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 인구학적 관련 변인", 한국노인복지학회, 제22권, pp.127-150, 2003.
  18. A. Bonnewyn, A. Shah, and K. Demyttenaere, "Suicidality and suicide in older peopl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Vol.19, pp.271-294, 2009. https://doi.org/10.1017/S0959259809990347
  19. 김효창, 손영미, "노인 자살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pp.1-19, 2006.
  20. M. Waern, E. Rubenowitz, K. P. Wilhelmson, "redictory of suicide in the old elderly," Gerontology, Vol.49, No.5, pp.328-334, 2003. https://doi.org/10.1159/000071715
  21. 곽경필, "자살위험 요인의 평가와 예측", 동국의학, 제11권, 제1호, pp.83-94, 2004.
  22. W. M. Reynold and J. A. Walts, Adolescent Hassles Inventory, Unpublished Scale, 1984.
  23. 알버트 쉬, 자살을 애도하며, 세복, 2004.
  24.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대출판부, 2004.
  25. A. Giorgi,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qual itative research methodology, 2003.
  26. 도날드 폴킹혼, 사회과학방법론, 일신사, 2003.
  27. R. F. Baumeister,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Vol.97, pp.90-113, 1990. https://doi.org/10.1037/0033-295X.97.1.90
  28. P. Britton, P. Duberstein, K. Conner, Conwell, Y. Heisel, "Reasons for living,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among depressed adults 50 years or older," American Journal of Geritric Psychiatry, Vol.16, No.9, pp.736-741, 2008. https://doi.org/10.1097/JGP.0b013e31817b609a
  29. J. T. Maltsberger, The devices of suicide: revenge, riddance rebirth,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Vol.7, pp.61-72, 1980.
  30. S. P. Pirkola, K. Suominen, and E. T. Isomestsa, "Suicide in alcohol-dependent individuals : Epidemiology and management," CNS Drugs, Vol.18, No.7, pp.423-436, 2004. https://doi.org/10.2165/00023210-200418070-00002

Cited by

  1.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vol.19, pp.2, 2016, https://doi.org/10.7587/kjrehn.2016.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