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 부정사용 억제가 감정과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Restrictions toward Online Game Misbehavior on Users' Emotional States and Intention to Reuse

  • 양창규 (경기관광공사 경영기획실) ;
  • 황운초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
  • 황유섭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 투고 : 2015.05.14
  • 심사 : 2015.06.29
  • 발행 : 2015.06.30

초록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확산과 함께 더욱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다. 그간 온라인 게임에 관한 연구는 이용자의 재사용의도를 증대시키는 요인에 주된 관심을 가졌고 부정적인 측면과 관련된 억제효과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이용을 증대시키는 요인과 억제시키는 요인을 함께 고려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결과를 도출해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부정사용 억제를 위한 (1) 억제정책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즐거움과 환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지만, (2) 억제시스템은 즐거움과 환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3) 온라인 게임 부정사용을 억제하는 환경에서도 이용자의 감정은 여전히 온라인 게임 재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게임의 건전한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강제적인 시스템적 억제보다는 이용자의 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억제정책수립, 교육을 통한 이용자의 인식변화 유도가 온라인 게임 활성화를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부정사용 억제가 가능한 전략임을 시사한다.

Owing to the wide distribution of smart devices, more people enjoy online games.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online game has mainly focused on the factors that increase users' intention to reuse and less focused on the influence of restrictions toward online game misbehavior.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considers factors that ei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use of online games and presents the outcome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1) Restriction policy had no impact on online game users' feelings of pleasure and arousal. (2) Restriction system had negative impact on users' feelings of pleasure and arousal. (3) In an environment where online game misbehavior was restricted, users' emotional states still had positive influence on users' intention to reuse. This research results implies that in order to lead to healthy online game environment, compared to repressive and systematic restriction methods, it is preferable to establish restriction policies that have no negative impact on users' emotional states and to change users' perception through education, so to achieve successful restrictions toward online game misbehavior without jeopardizing revitalization of online game indust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