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aljeong-san (八正散, Bazheng-san) on Chronic Nonbacterial Prostatitis Induced in Rats by Estradiol

八正散이 Estradiol로 유도한 백서의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에 미치는 효과

  • Lee, Seung-wook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Na, Hyun-yo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Yoo, Jeong-hwa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Ahn, Young-mi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Ahn, Se-yo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Young-ock (Dep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Lee, Byung-cheol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이승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 나현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 유정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 안영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 안세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 김영옥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 이병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Received : 2015.06.02
  • Accepted : 2015.06.23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ljeong-san on chronic nonbacterial prostatitis induced in rats by estradiol. Methods: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normal group included rats with no intervention after sham castration. The control group included rats with prostatitis induced by 17β-estradiol after orchiectomy; thes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normal saline. The sample group rats were administered Paljeong-san after prostatitis induction. Evaluations included changes in epithelial score, body weight, and prostate weight and volume, as well as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prostate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TNF-α, COX-2, and CD68. Results: Paljeong-san inhibited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of the prostate. The epithelial score was higher for the sample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 (P<0.05). Paljeong-san administration de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TNF-α and CD68. Conclusions: Paljeong-san shows prostate-protective effects by inhibiting infiltration by monocytes/macrophages and by reducing TNF-α gene expression. Conclusions: Paljeong-san shows prostate-protective effects by inhibiting infiltration by monocytes/macrophages and by reducing TNF-α gene expression.

Keywords

Ⅰ. 서 론

전립선염은 성인 남자의 약 절반에서 발견되는 높은 이환율을 가진 질환으로, 비뇨기과 외래환자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다. 이들 전립선염 환자의 5-10%에서만 원인균이 검출되며 나머지 90% 이상은 전립선액에서 염증세포가 발견되지 않는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이다. 만성 전립선염 환자의 삶의 질은 급성 심근경색이나 크론씨병 환자와 유사할 정도로 매우 좋지 않지만, 아직까지 완전한 치료법은 없으며, 보조요법으로 교감신경차단제, 근이완제, 항생제, 항염제 등의 약물치료와 마사지, 온열요법, 자기장치료 등이 시행되고 있다1.

감염성 물질, 항원반응을 유발하는 세균 잔여물, 전립선내 요 역류에 의한 화학적 자극, 자가 면역 반응, 바이러스 감염, 방광경부 및 전립선 요도 근육의 긴장 증가 혹은 골반저 근육통 등이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병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정확한 병인은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염증조절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cytokine)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 면역계의 이상이 주된 기전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즉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terleukin-6(IL-6), IL-8, IL-1β,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IL-1ra), interferon-γ와 같은 염증관련 싸이토카인(proinflammtory cytokine)은 항진되고 IL-10과 같은 항 염증관련 싸이토카인 (antiinflammatory cytokine)은 저하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염증성 cytokine으로 불리는 TNF-α와 IL-1β는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환자의 전립선액에서 증가되어 전립선염의 진단 및 면역학적인 예후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2,3.

八正散이 가진 하부요로에서의 항염증 효과 및 하부요로증상 개선효과는 이미 급성 방광염, 만성방광염, 간질성 방광염, 여성요도 증후군등에서 보고되었으나4-6, 전립선질환에 대한 국내 연구보고는 없었다.

이에 임상에서 하부요로증상 치료에 많이 응용되고 있는 八正散의 효능을 구체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고환절제술 및 17β-estradiol 투여로 유발된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모델 Rat7-9을 이용하여 전립선의 조직병리학적 형태와 염증관련인자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재 료

1) 약 재

八正散은 경희한약(원주, 한국)에서 구입하고 정선하여 사용하였다.

2) 동 물

6 주령된 수컷 Wistar Rat을 샘타코(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일주일간 실험실환경에 적응시킨 후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환경(24±3 ℃, 12 hour light-dark cycle) 에서 고형사료와 물을 마음껏 섭취하게 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2. 방 법

1) 검액의 조제

잘게 분쇄한 八正散 1000 g에 3배 양의 95% methanol을 가하고 60 ℃에서 중탕으로 24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지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회전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으며, 최종 수거율은 10.02%였다.

2) 비세균성 전립선염 동물 모델의 제작

2개월 된 수컷 Wistar rat(중앙실험동물, Korea)을 졸레틴 마취하에 rat의 음낭피부를 절개하여 고환 상위부위의 정관(vas deferense), 혈관, 및 신경 조직을 봉합사로 묶은 다음 고환과 부고환을 절제하였다. 고환절제 후 음낭피부를 봉합하고, 1일간의 회복기를 거치게 하였다. 고환절제술 2일째부터 17β-estradiol(Sigma, USA)을 sesame oil로 희석하여 30일 동안 0.25 mg/2 ml/kg 용량으로 Rat의 등에 피하주사하여 비세균성 전립선염을 유발하였다.

3) 실험군 선정

실험군은 정상군, 만성 전립선염 대조군, 약물 투여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정상군(Normal group)

sham-castration으로 음낭을 절개하여 고환부분을 확인한 후 어떠한 조직의 절제나 결박없이 그대로 봉합하고, 실험기간동안 어떤 약물도 투여하지 않았다(n=6).

(2) 만성 전립선염 대조군(Control group)

고환절제술 다음날부터 17β-estradiol을 30일간 피하로 주사하여 만성 전립선염을 유발시켰고 17일째부터 생리식염수 5 ml/kg만을 경구 투여하였다(n=6).

(3) 八正散 투여군(HM group)

고환절제술 다음날부터 17β-estradiol을 30일간 피하로 주사하면서 17일째부터 八正散을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800 mg/kg의 용량으로 zonde를 이용하여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n=6).

(4) 체중 및 전립선 무게의 측정

체중은 매일 오전 11-12시에 순서대로 체중계로 측정하여 총체중 증가량, 평균체중 등을 구하였으며, 마지막 투약 다음날 rat를 희생시켜 전립선을 수술로 절제하여 그 무게를 측정하였다.

(5) H&E 일반염색

H&E 일반염색으로 광학현미경 관찰을 위한 표본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립선 조직을 세절하여 10% buffered formalin에 하루 담가두어 완전히 고정시킨 뒤, 세척하여 남아있는 formalin을 제거하고 70%, 80%, 90%, 95%, 100% ethyl alcohol에서 각각 1시간씩 탈수과정(dehydration)을 자동으로 맞추어 기계에 작동시켰다. Xylene 치환과 paraffin 침투과정을 거친 후, 포매하여 paraffin 블록을 제작하였다. 준비된 paraffin 블록을 박절기(microtome)를 이용하여 5~6 μm 두께로 자르고 slide glass 위에 놓은 후, xylene에 1분씩 3회, ethanol에 100%, 90%, 80%, 70%, 60%, 50% 순으로 1분씩, 탈 파라핀과정을 거친 후, 흐르는 수돗물에 10분간 세척하였다. Hematoxylin에서 1~3분, 수돗물에서 1분간 수세한 후, 1% acid alcohol에 침척 후, 수돗물에 1분간 수세하였다. Ammonia에 3회 침척하고 수돗물로 5분 cytokine 수세하였으며, eosin에 1~3분 cytokine 염색을 한 후 바로 탈수과정으로 들어갔다. ethanol을 80%, 90%, 100% 2회, ethanol : xylene의 1:1에 각각 1분씩, 그리고 xylene에 1분씩 2회 cytokine 침척한 후, 봉입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조직상태를 관찰하여 촬영하였다.

(6) 선조직 상피 계수(epithelial score) 평가

선(腺)조직의 손상정도에 대한 평가는 상피 세포(epithelial cell)의 형태에 따라 점수를 매겨 시행하였다. 각각의 상피 세포의 형태가 원주형 세포 (columnar cell)일 경우 2점, 입방형 세포(cuboidal cell)의 경우 1점, 편평양 세포(squamous-like cell)의 경우 0점을 주었으며, 각 표본 당 20개씩의 선조직(gland) 내에 존재하는 상피세포를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7)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일반염색으로 조직의 상태를 관찰한 후, 원하는 단백질의 발현경향과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 조직화학법을 수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을 위한 조직절편은 H&E 염색을 위한 paraffin 블록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과정은 먼저 slide glass 위에 절편한 조직을 xylene 1분씩 3회, ethanol 100%, 90%, 80%, 70%, 60%, 50% 순으로 1분씩 탈 파라핀과정과 탈수과정을 거친 후, 내재성 퍼록시다제(endogenous peroxidase)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PBS에 희석한 1% H2O2에서 15분간 반응시켜, 1분씩 3회 PBS/Tween 20으로 세척한 후, 0.1% Tween 20과 1% bovine serum albumin이 함유된 PBS로 상온에서 30분 cytokine 비특이적인 반응을 위한 blocking을 수행하였다. 1차항체인 mouse anti-rat monocyte/macrophage antigen (ED−1)(Chemicon International Inc., Temecula, CA, U.S.A.)을 1/400로 희석한 후, 0.05% bovine serum albumin, 1.5% horse serum 및 0.3% Triton X-100이 들어 있는 1차 항체용액에 넣어 상온에서 1시간 cytokine 반응시켰으며, 반응이 끝나면 조직을 PBS/Tween 20으로 1분씩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용액을 1/5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PBS/Tween 20으로 1분씩 3회 세척하여 발색용액에서 반응시켰다. 발색용액의 반응을 육안으로 관찰하며 수세작업을 하였고, hematoxylin으로 counter staining하고 탈수과정에 들어갔으며, 마지막 침적한 후, 봉입하여 컴퓨터와 연결된 high-resolution camera 부착 광학 현미경(Olympus BX-50, Olympus Optical,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각각의 디지털 영상을 얻었다. 이러한 과정으로 얻은 영상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MetaVue(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디지털 영상 상 조직내 ED−1이 염색된 갈색에 대한 RGB값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입력하고 차지하는 비율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8) 전립선 조직에서의 TNF-α, CD68 및 COX-2 유전자 발현 측정

전립선 조직에서의 RNA 분리는 Mini RNA Isolation IITM(ZYMO RESEARCH, CA, USA)을 이용하였다. 마지막 투약 다음날 rat를 희생시켜 전립선을 수술로 절제한 후 신속하게 각 군당 전립선 조직 15 mg씩을 분리하여 tube에 넣고 여기에 ZR RNA buffer 300 μl씩을 분주한 다음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조직을 분쇄하였다. 분쇄된 조직이 담긴 tube를 1,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Zymo-Spin III Column에 옮기고 이를 2 ml collection tube에 꽂은 다음 2,000 rpm으로 1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Column에 RNA wash buffer 350 μl를 분주하고 1분간 원심분리하여 2회 세척한 후 Column을 1.5 ml tube에 옮겨 꽂은 다음 RNA-free water 50 μl를 분주하여 1,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RNA를 수거하여 사용하기 전까지 −70 ℃에 보관하였다.

전립선 조직의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및 Cyclooxygenase-2(COX-2) 유전자의 발현 측정은 실시간 정량 역전사 연쇄중합반응(quantitative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qRT-PCR에 앞서 complementary DNA(cDNA)의 제작은 Advantage RT for PCR Kit(Clontech, USA)를 이용하였다. 지방 조직에서 분리한 1 μg의 RNA에 OligodT와 RNase-free H2O를 넣고 70 ℃에서 2분간 반응시킨 다음 10nM dNTP, Recombinant RNase Inhibitor, MMLV Reverse Transcriptase, 5X Reaction Buffer를 각각 넣고 42 ℃에서 60분, 94 ℃에서 5분씩 반응시켰다. 역전사를 통해 얻어진 각각의 cDNA에 2x SYBR Reaction buffer, primers, dH2O를 혼합하여 7900HT Fast Real-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연쇄중합반응을 시행하였다. 사용한 각 primer의 염기 서열은 TNF-α의 경우 5′-ACTCCCAGAAAAGCAAGCAA-3′과 5′-TGGAAGACTCCTCCCAGGTA-3′, CD68의 경우 5′-ACTGGGGCTCTTGGAAACTACAC-3′과 5′-CCTTGGTTTTGTTCGGGTTCA-3′, COX-2의 경우 5′-ATCCTGAGTGGGATGACGAG-3′과 5′-CGAAGGTGCTAGGTTTCCAG-3′, 그리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β-actin의 경우 5′-CCTCTATGCCAACACAGT-3′과 5′-AGC CACCAATCCACACAG-3′을 각각 사용하였다. 유전자 발현 분석은 SDS Software 2.4(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유전자에 대한 threshold cycle(CT)값을 β-actin 기준으로 Relative Quantitation (RQ)값을 환산한 다음 fold change값을 계산하였다. 측정된 fold change값은 정상군을 1로 산정하여 이에 대한 값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9. 통계 분석

통계학적 비교분석은 GraphPad PRISM statistical package(ver 2.00,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USA)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비교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에 이어 Tuckey’s post-hoc test로 사후 검증하였으며, 정상군과 대조군 사이의 비교에는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였다. 각각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mean±S.D.)로 표시했으며, 양방 검정 유의도 (Two-tailed p value)는 p값이 <0.05 수준일 때를 기준으로 하였다.

 

Ⅲ. 결 과

1. 체중과 전립선 무게의 변화

고환절제술 및 30일간의 17β-estradiol 투여 후 八正散의 투여가 체중 및 전립선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체중은 대조군(335.0±24.3) 및 八正散 투여군(337.0±33.1 g)에서 정상군(389.6±13.3 g)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과 八正散 투여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ig. 1A).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전립선 무게 및 체중대비 전립선비율 역시 대조군은 361.5±80.7 mg으로 정상군의 855.8±97.1 mg에 비해 현저하게 위축되었으며 (P<0.001), 八正散 투여군에서 455.3±46.9 mg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4)(Fig. 1B, 1C). 전립선 부피는 대조군(0.194±0.05 cm3) 및 八正散 투여군 (0.29±0.10cm3)에서 정상군(0.47±0.18 cm3)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P<0.01), 대조군과 八正散 투여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ig. 1D).

Fig. 1Effect of estradiol and herbal medicine (HM) on body weight, prostate weight and prostate volume.

2. 전립선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八正散 투여가 전립선의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한 H&E 염색에서 정상군은 선포 세포(acinar gland)가 둥근 형태로 위축없이 잘 유지되고 있었고, 도관상피 세포 (duct epithelial cell) 역시 원주형의 형태로 정상 세포핵과 분비선들이 정상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반면 고환 절제술과 17β-estradiol를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광범위한 선조직의 위축이 관찰되었고, 선포 세포는 타원형 및 선형의 형태로 위축되어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도관 세포 역시 편평세포의 형태로 위축되어 있었고, 심한 임파구 및 단핵구/대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八正散 투여군에서는 선포 세포는 대조군보다 비교적 둥근 형태로 경도의 위축이 관찰되었고, 도관 세포는 입방형으로 세포핵과 분비선들의 형태 및 공간이 대조군에 비해 정상군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임파구, 단핵구/대식세포의 침윤 역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Fig. 2 Upper panel). 단핵구/대식세포의 전립선 조직내 침윤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대조군(39.3±7.2%)은 정상군(14.3±5.7%)에 비해 ED−1 양성 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P<0.01), 八正散 투여군(25.0±8.2%)에서는 유의하게 억제되었다(P<0.05)(Fig. 2 Lower panel, Fig. 3).

Fig. 2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prostate lateral lobe in 3 groups (hematoxylin & eosin stain and ED−1×100)

Fig. 3Effects of estradiol and herbal medicine on ED−1 infiltration of the prostate.

3. 전립선 상피 계수(epithelial score)의 변화

전립선 조직병리학적 평가와 동일하게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현저한 상피 계수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므로(P<0.001), 八正散 투여군의 상피 계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P<0.05) 전립선 선조직의 손상 보호 작용이 관찰되었다(Fig. 4).

Fig. 4Effects of estradiol and herbal medicine on acinar epithelial score.

4. 전립선 염증관련 인자의 변화

八正散 투여가 고환절제술 및 17β-estradiol 투여로 유발된 비세균성 전립선염에서의 전립선 조직에서 염증관련 인자인 TNF-α, COX-2 및 CD68 대식세포의 발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유전자에 대한 역전사 연쇄 중합반응을 시행하였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TNF-α, COX-2, CD68의 염증관련 유전자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Fig. 5). 반면 八正散 투여군에서는 TNF-α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ED−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와 동일하게 CD68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Fig. 5). 그러나 COX-2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5).

Fig. 5Effects of estradiol and herbal medicine on gen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 in the prostate.

 

Ⅳ. 고 찰

한의학적으로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은 蠱病, 尿濁, 淋病 등의 범주에 속하며, 그 원인으로는 邪氣入肝, 肝經濕熱, 肝經鬱結, 房勞過多, 陰精內敗, 强忍交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치료에 있어서는 淸熱消腫하거나 瀉肝凉血을 원칙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八正散은 陳勝의 太平惠民和劑局方에서 최초로 수록되었으며, 淸熱瀉火, 利水通淋하므로 消炎, 利水散結, 通便의 효과가 있고, 抗菌作用이 있어11, 전립선염 등을 포함한 하부요로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처방으로 제시되어왔다. 八正散은 瞿麥, 梔子, 大黃, 車前子, 木通, 甘草, 萹蓄, 燈心草, 滑石으로 구성된다. 현대 약리학적으로 이 중 梔子, 大黃, 甘草는 항염증작용을 가지고12-14, 滑石은 방광염에 유효한 효능을 보였으며15, 車前子, 木通은 이뇨작용을 보인다16. 八正散은 이처럼 한의학적 이론과 구성 약재의 현대 약리학적 효능 모두에 근거하여 전립선염 치료에 응용할 가능성이 높다.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병리기전 및 약물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동물로는 대부분 Lewis rat과 Wistar rat, 그리고 Copenhagen rat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rat은 자발적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발생률이 높은데, 이들의 자발적 비세균성 연령-연관성 전립선염에서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인간의 만성 전립선염과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8. 또한 고령의 Wistar rat에게 고환 절제술을 시행하고 외부에서 17β-estardiol을 투여한 경우에는 조직병리학적으로 자발적 비세균성 전립선염과 매우 유사하게 발현되어, 전립선염에 대한 유용한 실험적 모델이 된다17-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의 Wistar rat에 고환 절제술을 실시 후 17β-estardiol을 투여하여 조직 병리학적으로 선조직과 선 상피세포의 위축과 이형성 및 결합조직의 증식과 섬유화를 일으켜 인간의 비세균성 전립선염 형태와 유사한 모델을 만들었는데, 이는 八正散의 전립선염에 대한 치료효과 및 작용기전을 관 찰하기에 유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20-22. 또한 기존 연구에서도 본 연구와 동일한 모델을 이용한 전립선 조직내 유전자 발현연구에서 전염증인자인 TNF-α, IL-6 및 COX-2가 항진되고, 항염증 인자인 IL-10은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23. 본 연구에서 역시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17β-estardiol의 투여와 고환 절제술을 시행한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TNF-α, COX-2 등의 염증관련인자가 상승하였는데, 이는 성호르몬 유발 전립선염 모델에서의 염증관련인자에 관한 기존 실험실 연구와 일치하며, 동시에 인간의 만성 전립선염 병리소견과도 상응하는 결과이다. 또한 八正散은 TNF-α 등의 전염증인자의 억제효과와 함께 대식세포 표시자인 CD68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는데, ED−1에 대한 전립선의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나타난 결과도 이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八正散은 만성 전립선염의 치료에 있어 그 주된 병리 원인에 해당하는 면역체계의 불균형과 이로 인해 발현되는 국소적인 염증반응의 조절 및 대식세포를 포함한 염증세포의 전립선내 침윤을 억제하는 치료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립선 상피계수(epithelial score)는 전립선 분비선의 손상정도를 의미하는데24, 본 연구에서 八正散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피 계수가 상승하였으며, 이는 전립선 분비조직에 대한 기능 및 형태적 보호작용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八正散은 전립선으로의 단핵구/대식세포 침윤을 억제하고 염증관련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항염증작용을 나타내며, 이러한 항염증작용을 바탕으로 전립선 선조직의 형태학적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八正散은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치료에 유용한 효과가 기대되며, 향후 염증관련인자를 중심으로 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八正散이 Wistar rat에 고환 절제술과 17β-estardiol의 투여로 유발된 비세균성 전립선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본 연구에서 八正散는 전립선 선조직의 보호작용을 나타내며, 여기에는 전립선 조직내의 단핵구/대식세포의 침윤 억제 및 TNF-α의 발현억제를 통한 항염증 기전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대한비뇨기과학회. 비뇨기과학. 제4판. 서울: 고려의학; 2007, p. 150-61.
  2. Angwafo FF 3rd, Zaher A, Befidi-Mengue R, Wonkam A, Takougang I, Powell I, Murphy G. The National Health Survey Team for The National Epidemiology Board of Cameroon. High-grade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prostate cancer in Dibombari, Cameroon. Prostate Cancer Prostatic Dis 2003;6:34-8. https://doi.org/10.1038/sj.pcan.4500587
  3. Andriole VT. Use of quinolones in treatment of prostatitis and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s.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1991;10:342-50. https://doi.org/10.1007/BF01967009
  4. Ahn YM, Ahn SY, Cho DH, Doo HK. The study of oriental and accidental benign prostste hypertrophy. J of Oriental Chr Dis 1995;1: 85-112.
  5. Kim SM, Yoo DY. A Case Report of the Effects of paljeongsan on the Female Urethral Syndrome. Journal of Oriental Obsterics & Gynecology 2007;20:225-33.
  6. Lee MS, Lee SH, Song MD. Two cases of Cystitis Patients Trated with Paljung-san. J of Oriental Chr Dis 2000;6(1):102-5
  7. Effects of androgen deprivation on chronic bacterial prostatitis in a rat model. Int J Urol 2003;10:485-91. https://doi.org/10.1046/j.1442-2042.2003.00666.x
  8. Lee EB, Keum HJ. Pharmacological studies on Forsythiae Fructus. Kor J Pharmacogn 1988;19(4) :262-9
  9. Ozaki Y, Rui J, Tang YT. Antiinflammatory effect of Forsythia suspensa V(AHL) and its active principle. Biol Pharm Bull 2000;23(3): 365-7. https://doi.org/10.1248/bpb.23.365
  10. 두호경. 東醫腎系學,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2003, p. 1056-9.
  11. 彭懷仁. 中國方劑大辭典精選本.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9, p. 52-3.
  12. Koo HJ, Song YS, Kim HJ, Lee YH, Hong SM, Kim SJ, Kim BC, Jin C, Lim CJ, Park 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enipin, an active principle of gardenia. Eur J Pharmacol 2004;495(2-3):201-8. https://doi.org/10.1016/j.ejphar.2004.05.031
  13. Jeun DJ, Cha YY, Lee E. Inflammatory Effect of Rheum undulatum L. J Oriental Rehab Med 2011;21(1):35-46.
  14. Okuyama E, Nishimura S, Ohmori S, Ozaki Y, Satake M, Yamazaki M. Analgesic component of Notopterygium incisum Ting. Chem Pharm Bull 1993;41:926-9. https://doi.org/10.1248/cpb.41.926
  15. Ryu JW, Hong ES, Choi YH, Lee YT, Choi BT. Effects of Talc on Cyclophosphamide-Induced Cystitis in the Rat.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5;19(2):429-33.
  16. 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생약학. 개정2판. 서울: 동명사; 2014, p. 368, 658.
  17. Naslund MJ, Strandberg JD, Coffey DS. The role of androgens and estrogens in the pathogenesis of experimental nonbacterial prostatitis. J Urol 1988;140:1049-53.
  18. Robinette CL. Sex-hormone-induced inflammation and fibromuscular proliferation in the rat lateral prostate. The Prostate 1988;12:271-86. https://doi.org/10.1002/pros.2990120310
  19. Seethalakshmi L, Bala RS, Malhotra RK, Austin-ritchie T, Menon M, Miller-Graziano C, Luber-Narod J. 17β-Estradiol induced prostatitis in the rat is an autoimmune disease. J Urol 1996;156:1838-42. https://doi.org/10.1016/S0022-5347(01)65548-4
  20. Lundgren R, Holmquist B, Hesselvik M, Muntzig J. Treatment of prostatitis in the rat. The Prostate 1984;5:277-84. https://doi.org/10.1002/pros.2990050305
  21. McNeal JE. Normal histology of the prostate. Am J Surg Pathol 1988;12:619-33. https://doi.org/10.1097/00000478-198808000-00003
  22. Muntzing J, Sufrin G, Murphy GP. Prostatitis in the rat. Scand J Urol Nephrol 1979;13:17-22. https://doi.org/10.3109/00365597909179995
  23. Steenkamp V, Gouws MC, Gulumian M, Elgorashi EE, van Staden J. Studies on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rbal remedies used in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prostatitis. J Ethnopharmacol 2005;22.
  24. Turner JA, Ciol MA, Von Korff M, Berger R. Prognosis of patients with new prostatitis/pelvic pain syndrome episodes. J Urol 2004;172:538-41. https://doi.org/10.1097/01.ju.0000132797.6348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