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 small outbreak of measles at a single hospital located in northern Gyeonggi-do in 2013.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measles patients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 St. Mary's Hospital from August to October, 2013. Results: Fifteen children were confirmed to have measles by RT-PCR and serum IgM test; 1 neonate, 11 infants, and 3 toddlers. None of the patients had received Measles-Mumps-Rubella vaccination. All patients showed B3 type in viral genotyping. Nine children (60%) had been exposed to measles during treatment for other diseases in the pediatric ward. Incubation period was between 8 and 15 days. Fever started at a median 10 days after exposure and persisted for a median of 8 days. Rash showed at a median 13 days after exposure. Respiratory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40% of patients. Diarrhea developed in 53% of patients. Conclusion: Although measles has been well-controlled due to the high rate of vaccination coverage, it is possible to have an outbreak at any given time, especially in infants. We must learn from this outbreak, and remain ful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reemergence and provide proper management, including vaccination or immune globulin administration, to infants exposed to measles. Reevaluation of serum IgG titer of neonates, infants, and pregnant women may be the first step to prevent further outbreaks.
목적: 저자들은 2013년 경기 북부의 한 병원에서 경험한 소규모 홍역 유행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에서 홍역으로 확진된 환아 1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홍역으로 진단된 환아는 모두 15명으로, 신생아 1명, 영아 11명, 유아 3명이었으며 역전사 중합 효소연쇄반응법(RT-PCR)과 혈청 내 홍역 IgM 검사로 확진하였다. 모든 환아는 Measles-Mumps-Rubella (MMR) 접종을 받지 않았다. 홍역으로 확진된 환아의 바이러스 유전형은 모두 B3이었다. 9명(60%)의 환아가 원내 감염에 의해 홍역에 걸렸다. 잠복기는 8-15일이었고 발열은 접촉 후 평균 10일째 발생하여 평균 8일 동안 39도 이상으로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발진은 접촉 후 평균 13일째 발생하였다. 40%의 환아가 호흡기 합병증을 보였고 53%의 환아가 설사를 동반하였다. 결론: 우리나라는 꾸준한 접종 사업을 통해 홍역 퇴치 수준에 이르게 되었지만 홍역 재유행, 특히 영아에 대한 위험성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영유아에서 홍역이 의심될 때에는 가속접종, 면역글로불린 투여와 같은 처치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홍역 유행을 막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신생아, 영아, 가임기 여성의 홍역 IgG 항체가 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