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PA 분석을 활용한 유아 대상의 디자인 교육 품질에 대한 인식 연구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erspective of Design Education Quality for Young Chil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the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 서용모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
  • 안유정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
  • 이예중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
  • 오치규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 투고 : 2015.06.26
  • 심사 : 2015.07.27
  • 발행 : 2015.08.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품질에 대한 속성을 유아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교육이 갖추어야할 속성에 대해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개선 혹은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심층분석결과 중요도-만족도 간의 차이검증(T-test)을 통해 유아의 디자인교육의 정책적 혹은/그리고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 문제나 자극에 대한 아이디어 산출을 통한 사고활동, 주변의 환경이나 상황에 대해 예민하고 섬세한 관심으로 새로운 탐색영역에 대한 태도 등이 조사되었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에서는 디자인 전문 교사의 필요성, 정책적 및 재정적 지원 그리고 관련교육기관의 의식전환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의 품질에 대한 속성을 인식하고 현장에 반영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 quality properties of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We studied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pective of design education quality properties in young child. So the study contents of our paper are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using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s of T-test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 understand these facts: necessity for policy or/and financial support, thinking activities for production of ideas in problems or stimulus, delicate and detail attitude for search activities in environments and situations. In IPA, we realized that require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design educators, necessity for policy or/and financial support and change of mind at organizations related education. Our studies means a quality of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So, we expect our studies provide an useful data at a fields.

키워드

참고문헌

  1. 조형숙, 박찬옥, 안해준, 김민정, 김설한, 김지해, 박선영, 안정은,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0
  2. Joseph A. Schumpeter,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3rd ed. 1942.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50.
  3. 김주호, 창의성과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4. D. M. Harrigton, J. Block, and J. H. Block, "Predicting creativity in preadolescence from divergent thinking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3, pp.603-623, 1983.
  5. 최재영, 최영숙, 민미경, 이정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유아디자인 교육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19권, 제1호, pp.155-176, 2005.
  6. 박라미, 안준희, "소비자시대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한 디자인 교육방안 연구-초등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제17권, pp.235-262, 2003.
  7. Victor Papanek, Design for the Real World : Human ecology and Social Change, Academy Chicago Publishers, 1985.
  8. A. Rothenberg, Creativity and Madnes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0.
  9. 이정환, 유아교육의 통합적 미술교육과정, 서울: 창지사, 1995.
  10.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York: HarperCollins, 1996.
  11. 이병인, 창조성 개발을 위한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방법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미술교육전공, 1983.
  12. 이영표, "주관적 디자인 접근 방법과 이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5-77, 2004.
  13. 오치규, "디자인 매니지먼트 교육에서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67-27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67
  14. Charles L. Owen,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의 디자인 교육, 국제 디자인 세미나,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대학, 1989.
  15. 윤소영, 초등과정에서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의 개선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김규수, "창조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의 원리와 과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4권, 제1호, pp.237-255, 1999.
  17. 김은경, 아동의 창의력 계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8. 이정은,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9. 유예순,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0. 박은덕,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분석", 조형연구, 제19권, pp.59-77, 2002.
  21. 서용모, 이예중, 안유정, 오치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047-105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1047
  22. 오세진, "대학교육에서의 TQM적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8권, 제1호, 1999.
  23. E. Saliis, Total Quality Management in Education, Kogan page, 2002.
  24. J. R. C.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https://doi.org/10.2307/1250495
  25. W. E. Hammit, D. N. Bixler, and P. Francis, Going beyond to analyze to analyze the observance-influence of park impac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14, No.1, pp.45-62, 1996.
  26. 조인석, 김경호, "IPA 기법을 활용한 관광객의 재방문의사에 관한 연구: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71권, pp.259-27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