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on Their Resilience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이하정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 탁정화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Received : 2015.04.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young children related to self-esteem and happiness on their resilience from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young children who spend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awareness about their self-esteem was below average, but the level of their awareness about their happiness and resilience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ir total self-esteem scores, total happiness scores and total resilience scores. Third, the self-esteem and happiness of the young children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resilience. Among the subfactors of happiness and self-esteem had the largest impact on resilience.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0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자아존중감, 행복감, 회복탄력성 검사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행복감과 회복탄력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의 인식정도를 보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행복감과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하여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하위요소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욱, 김장희 (2012). 아동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간의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2(2), 69-94.
  2. 강영하 (2012).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행복간의 관계. 학습전략중재연구, 3(1), 107-123.
  3. 곽윤정, 강민수, 이지혜, 엄채윤 (2013). 내 아이의 강점지능. 서울: 21세기북스.
  4. 구재선, 서은국 (2012).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6(2), 35-50
  5. 김경수, 김화경 (2011). 부모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9(2), 143-170
  6. 김경희, 주현주 (2013). 아동의 회복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7(3), 437-457.
  7. 김규수 (2002). 조기교육과 아이들의 삶. 생태유아교육연구, 1(1), 29-47.
  8. 김미숙, 김종민 (2013).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김성숙 (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473-493.
  10. 김소연 (2013). 유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아영 (2014). 미래 교육의 핵심역량: 자기주도성. 교육심리연구, 28(4), 593-617.
  12. 김은미, 최명구 (2007).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행복과의 관계. 아동교육, 16(1), 155-171.
  13.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
  14.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하우스.
  15. 류승희, 안연경 (2005). 유아의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235-249.
  16.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 (2009).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복지학, 14(4), 137-153.
  17. 박영란, 이주리 (2011).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수준 및 자아존중감 안정성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61-79.
  18. 박희숙, 이승은 (200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37-356.
  19. 백혜정, 김현신, 우남희 (2005). 조기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3, 23-43.
  20. 손해진 (2013). 만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동주, 최현미 (2011).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6), 167-187.
  22. 신은경, 문혜련 (2013). 부모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89-112.
  23.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 (2012).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체력 및 행복감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6(6), 5-25.
  24. 신지혜, 최혜순 (2014). 유아행복 과련 연구동향의 분석. 유아교육연구, 34(1), 5-28.
  25. 신현숙 (2013).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안도희, 김유리 (2012). 기대 및 가치 신념이 청소년의 학업 성취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3), 293-319.
  27. 양명희, 김현정 (2010). 원예 활동이 지체장애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작업활동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논집 중복.지체부자유연구, 53(1), 105-121.
  28. 유안진,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한국아동학회지, 17(1), 173-188.
  29.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6(4), 193-209.
  30. 이연희 (2013).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연희, 정재은 (201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245-268.
  32. 이영이, 노진숙, 윤영숙, 전은희 (2011).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동서전신과학, 14(1), 51-63.
  33. 이은주 (2009).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지현 (2012). 만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조한익 (2012).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6(4), 1001-1021.
  36. 최성애 (2014). 회복탄력성. 서울: 해냄출판사.
  37. 최수경, 석주영, 박인전 (2013).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81-198.
  38. 최주애 (2012).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최현미 (2013). 유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기질, 어머니와 애착, 유아-교사관계,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5), 67-87.
  40. 최현미, 신동주 (2012).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133-158.
  41. 탁정화 (2015).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235-264.
  42.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5), 31-52.
  43. 홍은자 (2001). 어머니 성취압력과 학원.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45.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46. Ben-Shahar, T. (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McGraw-Hill.
  47. Block, J. G., & Kremen, A, M. (198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48. Haltiwanger, J. (1989). Behavioral referents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Post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MO.
  49. Harter. S. (2015).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and developmental science: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Jersey : John Wiley & Sons, Inc.
  50. Hone, L. C., Jarden, A., Schofield, G. M., & Duncan, S. (2014). Measuring flourishing: The impact of operational definitions on the prevalence of high levels of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4(1), 62-90. https://doi.org/10.5502/ijw.v4i1.4
  51. Hooper, J. (2013). 아이의 플로리시(우문식, 이명원, 허현자 역). 서울: 물푸레. (원저 2012년 출판).
  52.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저 2008년 출판).
  53.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 227-238.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54. Mastes, A. S., & Powell, J. L. (2003). A resilience framework for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Contributions from Project Competence. In S. S. Luthar(Ed.),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hildhood adversities(pp 1-28).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55. Miller, C. A., & Frisch, M. (2015). 나는 이제 행복하게 살고 싶다. (우문식, 박선령 역). 서울: 물푸레. (원저 2009년 출판).
  56. Pleux, D. (2012). 아이의 회복탄력성(박주영 역). 서울: 글담. (원저 2012년 출판).
  57. Reivich, K., & Shatte, A. (2012). 절대회복력. (우문식, 운상운 역). 서울: 물푸레. (원저 2003년 출판).
  58. Schwarzer, R., & Nina, K. (2007). Functional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https://doi.org/10.1080/00207590701396641
  59. Seligman, M.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60. Zimmerman, B. J., & Schunk, D. H. (2011).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New York: Routledge.

Cited by

  1. Reconceptualization of young children’s strength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vol.36, pp.5,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18
  2.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happines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ability vol.12, pp.2, 2017, https://doi.org/10.16978/ecec.2017.12.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