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of Gifted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영재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주는 영향 분석

  • Received : 2015.06.24
  • Accepted : 2015.08.05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on the gifted's science career orient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4 students who had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on 2014. They took 'Science Career Orientation' tests an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had a cluster analysis about pre scores on 'Science Career Orientation' as a variable. We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 of science career decision by groups after the program. As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cluster analysis. University-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helped the increase of science career orientation in the categories indicating the low scores of the groups.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ffects of science career decision, and the programs affecting their science career decision and satisfaction about that were different by groups.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science career decision are highly correlated.

이 연구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과학진로지향도 검사를 2014년 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전, 후에 각각 실시하고 과학진로지향도 사전점수를 변수로 군집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별로 만족도와 학생들의 과학진로결정에 영향을 준 정도를 프로그램 후 설문지를 시행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집은 크게 4개로 구분되었다.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은 각 군집별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하위영역의 상승에 도움이 되었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고 과학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각 군집별로 프로그램에 따른 만족도와 과학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프로그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만족도와 과학진로결정에 영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교육부.
  2. 김수겸, 유미현 (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22-124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22
  3. 김현정, 유준희 (2006).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선택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영재캠프의 요인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4. 박기수 (2012). '과학사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5.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6. 안광호, 임병훈 (2004).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7.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2011).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개발 및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1(4), 927-943. https://doi.org/10.9722/JGTE.2011.21.4.927
  8.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12). 추적연구를 통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의 진로탐색. 한국교육, 39(3), 85-105.
  9. 오진규 (2009).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자 실태 분석과 진로지도 방안연구: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반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유경훈, 박춘성, 이정규 (2014). 영재진로교육 및 프로그램에 대한 소고. 영재와 영재교육, 13(1), 67-81.
  11. 유미현, 강윤희, 여상인 (2011).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여름 캠프 프로그램의 효과. 과학영재교육, 3(1), 19-37.
  12. 윤진, 박승재 (2003). 과학 관련 진로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17-530.
  13. 윤진, 박승재, 명전옥 (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14. 윤혜경, 김형석, 정형식, 김정연, 김명순 (2006).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진로 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18-526.
  15. 영재교육진흥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2077&efYd=20141119#0000 (검색일: 2015. 3. 2)
  16. 이경화 (2015). 과학자 인터뷰 활동이 중학교 과학영재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인터뷰에 드러난 과학자의 직업관 탐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이기순 (2009). 우리나라 과학영재의 진로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과학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8.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 (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15-29.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015
  19. 이희복, 박상태, 변두원, 김정은 (2009). My Dream Job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의 미래 직업인식. 과학영재교육, 1(3), 33-41.
  20. 자유학기제온라인정보시스템. https://freesem.moe.go.kr/ (검색일: 2015. 3. 2)
  21. 전화영, 이진명, 홍훈기 (2008).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진로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50-358.
  22. 지경신, 최수연, 권혁남, 김정민, 손민욱, 임충완 (2014). 영재학생 진로교육 자료(중). 대전: 대전교육과학연구원
  23. 차석빈, 김홍범, 오홍철, 윤지환, 김우곤 (2008). 사례를 통해 본 다변량 분석의 이해. 서울: 백산출판사.
  24. 하상우, 김선자, 박종욱(2008).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8(3), 497-518.
  25. 황희숙, 황순영, 강승희(2010). 과학영재의 진로선택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26. Greene, M. J. (2006). Helping build lives: Career and life development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0(1), 34-42. https://doi.org/10.5330/prsc.10.1.b55j504360m48424
  27. Silverman, L. K. (1997). The construct of asynchronous development.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3&4), 36-58. https://doi.org/10.1080/0161956X.1997.9681865
  28. Woolnough, B. E.(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