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Emotional Contents in The Changes of Consumes Environments - Centering on The Aroma Diffuser Using Bernoulli Theory and Buncheong Ceramic -

소비 환경변화의 감성콘텐츠 개발 - 베르누이원리와 분청사기를 이용한 아로마 Diffuser를 중심으로 -

  • 최현찬 (초당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Received : 2015.05.10
  • Accepted : 2015.08.20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Aroma therapy was used for religious or healing purpose in the world throughout the history. In these days, numbers of people use aroma therapy for various reasons such as mental health issue. Aroma diffusers are made with various subjects, but most are made with volatilization and candle by using fumigation method. Korea's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has insignificant position in both traditional and cultural value. Grayish-blue-powdered celadon must constantly develop its style and design and collaborate with modern product to meet the demand of the today's market. In this research, it will find the method to develop an aroma diffuser by using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o meet consumer's demand. And ultimately, this research will construct a cultural infrastructure based on traditional image and by adding more value on the traditional ceramics market.

향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는 고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종교적 또는 질병치유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피부관리, 염증치료 등 치유 목적이외에 정신건강을 위하여 아로마테라피를 사용하고 있다. 많은 아로마테라피 디퓨저들은 다양한 형태와 소재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제품은 자연적으로 공기 중에 향을 휘산시키거나 양초 등의 열을 이용한 훈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 분청사기는 전통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는 분청 사기의 디자인, 형태, 문양 등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제품에 접목시켜 현대사회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청사기와 아로마 디퓨저를 결합하고 소비자가 제품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감성이미지를 추출하여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아로마 디퓨저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전통의 긍정적 이미지와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통 도자기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연계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E. K. Oh, "Study on the design of pottery pertum, econtainer", Graduate School of Design, Kyung Hee University University, 2001. (오은경, "도자 방향제용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 H. S. Lee, "A Proposition to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ntents in The Digital Cultural Environment- Centering on USB Ceramic Aroma Diffuser",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6, 2010. (이호상, 디지털문화 환경의 감성콘텐츠 개발 제안-USB 陶材아로마 Diffuser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예술포럼, Vol. 6, 2010.)
  3. S. W. Lee, "A Study of Development on the Interactive Emotional Contents",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4, 2012. (이승욱, "인터렉티브 감성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Vol. 10; no. 4, 2012.)
  4. H. K. Yoon and M. S. Joung, "A study on the Desi8n of Aromahc case for car Based on Human Sensibility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15; no.2; 5, 205-212, 2002. (윤형건, 정미선, "감성분석을 기본으로 한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Vol.15; no.2; 5, 205-212, 2002.)
  5. M. H. Choi and I. K. Kim, "The Characteristic of Color Image in The Sensitivity Design Era",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No. 21, 2006 (최문희, 김익겸, "감성디자인 시대의 색채이미지 특성",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No. 21, 2006.)
  6. Y. A. Jeon, "A Meta-Analysis about Healing Effects of Aromatherapy on physiological, physical, psychological", Graduate School of Venture, Hoseo University, 2013. 전연아, "아로마테라피의 생리적, 신체적, 심리적 치유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7. http://www.globalwindow.org/KOTRA
  8. http://www.cerazine.co.kr/ 월간세라믹스.
  9. N. K. Shin, "A Study on the Traditional Ornament Expression Techniques of Living Ceramic",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Vol. 3; 231-244, 2000. (신내경, "생활도자기의 전통문양 표현기법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지 3권 0호. 2000.)
  10. S. K. Jang,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eir Typ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 2; no. 2; pp. 283-295, 1994. (장수경, "한국전통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2권 2호. 1994.)
  11. F. W. Kim, Study on the to Develope Cultural Products of the Bunch'ong porcelain - Revtialization of the Bunch'ong porcelain in Chunghyo-dong Gwangju, The Jouran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 Vol. 4; no. 1; pp. 124-138, 2007. (김철우, "분청사기의 문화상품 개발방안연구-광주 충효동 분청사기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자학연구, Vol. 4; no. 1; pp. 124-138, 2007.)
  12. J. S. Jung, " The Development of Fusion Textile Design by Using the Patterns Described in Buncheong Pottery and Mondrian's 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thing Industry, Vol. 8; no. 5, 2006. (정진순, "한국 분청사기 문양과 몬드리안 작품을 이용한 퓨전 직물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권 5호. 2006.)
  13. S. N. Cho, "A study of formativeness of contemporary ceramics utilizing expression technique of a grayish-blue-powder", Korea science & Artforum, 16, 2014. (조성남, "분청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현대도자의 조형성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6호, 2014.)
  14. S. R. Jang, "R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Porcelain Patterns Using Computer Graphics - Centered on the Plasticity of Punch'ong Stoneware, The Korea Society of Craft, 1999. (장성룡,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도자기 전통문양의 재구성-분청사기 문양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1999.)
  15. J. S. Jung, "The Development of Scarves Design by Mixing Lotus Flower Patterns Expressed on Buncheon Pottery and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19; no.1; pp. 2, 59-68, 2006. (정진순, "분청사기에 나타난 연꽃문양과 전통 조각보를 조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디자인학연구, Vol. 19; no.1; pp. 2, 59-68, 2006.)
  16. E. K. Lee, "The Study of the Interior Yile design on the Motiv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Major in ceramic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1999. (이은경, "한국 전통문양을 모티브로 한 내장 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7. Y. S. Kim, "A Study of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motif, through the concept of Play", The Society of Korea Illusart, Vol. 15; no. 1, 2012. 김용선, "遊(노닒)개념을 통한 분청사기문양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회지, 15권 1호, 2012.
  18. S. Y. Choi, "An Extracted Communication and Amusement from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Technology and Modern Poe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1 No.1, 국제문화기술진흥원, Vol.1 No.1, 2015. (최성열, "정보기술과 현대시와의 융합에서 추출한 '소통과 유희", Vol.1 No.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