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by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on the Service Quality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송기영 (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
  • 안원철 (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 Received : 2015.05.10
  • Accepted : 2015.08.12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composed of job itself, work place condition, reward, workload, social awareness by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on the service quality and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of person assistance for the disabled, finding ways of enhancing job satisfac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is purpose, total 218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trait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general trait, job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assistant'job itself, reward, had a positive impact on service quali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needs to be a expansion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Secondly, in relation to the reward of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the improvement of wage structure is requ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자체, 근무환경, 보상, 업무량, 사회적 인식으로 구성된 직무만족에 대한 변인을 측정하여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북부, 경기 북부 지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노인복지센터, 장애인종합복지관, 복지재단 등을 통하여 장애인활동지원기관 소속 활동보조인 22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최종 218명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결과로는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인구사회학적 및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 서비스 질의 수준,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의 상관관계,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의 하위변수인 직무자체, 보상이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보상과 관련하여 급여체계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 H. Kang, "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2011. (강수환, "중증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2. H. J. Keum, "Research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job environment o f a personal assistant on job satisfac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ersity. (금희정, "장애인활동보조인 직업의식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3. D. Y. Kim, "The Effect of the Job Attachment of a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Duty Special Quality on Job Satisfaction", Department o f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2014. (김대영,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특성에 따른 직장애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4. J. I. Kim,"Introduction of Rehabilitation", The Korea Social Welfare Policy Institute. 2013. (김종인, 재활학개론, 서울: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13.)
  5. S. S. Kim,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assistants who help the activities of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peopl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0. (김성식, 장애인활동보조인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6. H. G. Kim, " A Study on the fatctor Affecting Personal Assistants satisfaction for ther severly disabled in Kwangju",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2010. (김형기, 광주광역시 중증장애인활동보조인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7. K. A. Rhu, "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Focused on Self 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Depar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Baeseok University, 2009. (류경애,중증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8. B. G. Park, J. O. Shin, S. M.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Work Ethic on Job Environments and Job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Retraining Program for Personal Assista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7, 2013. (박봉길, 신준옥, 최승민,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과 직업의식이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Vol. 17, 2013.)
  9. Y. H. Park, "A Study on the Traits and Job Satisfacion of Personal Assistants", Graduate of Public Policy, Aju University, 2009. (박연희, 장애인활동보조인의 특성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0. E. M. Park, " A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of visually impaired activity helper before and after revision of welfare syste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2012. (박은미,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복지제도 변경 전후의 직무만족도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11. E. M. Park, D. I. Han, H. G. Lee, "A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of visually impaired activity helper before and after revision of welfare system",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8, 2012. (박은미, 한동일, 이해균, 시각장애인 활동보조인의 복지제도 변경 전후 직무만족도 분석, 시각장애연구, Vol. 28, 2012.)
  12. J. Y. Park, "Problem & improvement plan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ystem", National Assembly, 2013. (박주연,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 대한민국국회, 2013.)
  13. I. H. Seo, Disability studies, Korea social welfare policy institute, 2013. (서인환, 장애학, 서울: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13.)
  14. W. S. Seo,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he disabled activity support system",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14. (서원선,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가인원위원회, 2014.)
  15. J. W. Shin,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2001. (신재원,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6. H. S. Shin, "The Impacts on the Service Quality of a Liv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of the Empowerment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2005. (신현석,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17. H. S. Ah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2013. (안화숙,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18. H. I. Yang, " Effects of Attitude People of Disabilites and Burnout due to the Work Related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people who are working as personal assistants", Graduate School, Daegue University, 2011. (양현일,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로 인한 소진이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9. H. I. Yang, S. D. Park,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 are Working as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 Focus on Attitude and Burnout to the People with Disa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6, 2012. (양현일, 박석돈,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소진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Vol. 16, 2012.)
  20. S. S. Yoon,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by personal assistant for the severely disabled person on the quality of service-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Graduate school, Hansei University, 2013. (윤승식, 중증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21. S. C. Lee, W. Lee,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f Personal Assistants and their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knowledge", Journal of Korea welfare for the disabled, Vol. 19, 2012. (이상철, 이웅, 활동보조인의 자아효능감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지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19, 2012.)
  22. C. S. Lee, S. G. Le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Activity Assista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4, 2010. (이채식, 이성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소진과 직무만족에 관계 연구, 재활복지, Vol. 14, 2010.)
  23. H. S. Lee, "A study on job satisfaction factors of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ung Hee University, 2012. (이화숙,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24. M. K. Jeong, "A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activity helpers for the disabled", Graduate school of science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3. (정명관,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과한 연구,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25. H. M. Jin, B. S. Park,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5, 2013. (진혜민, 박병선,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복지학. Vol. 65, 2013)
  26. S. H. Choi, "Regional children center worker's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n into the organization seen through occupational characters", Graduate school,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2010. (최성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특성요인 및 직무만족도를 통한 조직몰입의 관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27. M. H. Cha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assistants who help the activities of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peopl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aegu University, 2012. (채민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28. J. Y. Ha, "A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focusing on the agency providing personal assistant service of the disabled on Nowon in Seoul",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Hnasung University, 2014. (하재영,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원구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29. T. Y. Ha,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assistace service worker's intimacy and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2012. (하태용,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친밀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30. K. O. Hong,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Graduate school, Kwangju University, 2011. (홍기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지원인식 매개효과 검증,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31. Cherniss, C.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p. 7-15, 1980.
  32.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and Social Innovation. Persons with disabilitiesdesignation application. Victoria. Canada: Health Assistance Branch. 2014.
  33. Turner, E, D. Using a personal assistance in the workplace.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8, 81-85,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