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Verbs in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7th, 2007, and 2009 Revision

초·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제7차 교육과정 이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6.06
  • Accepted : 2015.07.22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aim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ze and compare verbs in the contents of the 7th,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fter the investigation of 1383 verbs in descrip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we found that 'to know'(15.0 %) in elementary school and 'to understand'(24.2 %) in middle school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ones, totally in these three curriculum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requently used verbs in elementary school were ones related with inquiry such as observation, investigation and so on though 'to understand' had the most common verbs. Secondly, 'to explain' ranked top among verbs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t showed some possibility of influences of the discussion-oriented situation at that time. Finally, however,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know' and 'to understand' occupie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 of the verb distribution. In addition, 'to understand' and 'to observe' were used evenly through three curriculums but the portions of 'to know' increased through curriculum revisions. Some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were also add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이 연구에서는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과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따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취기준 및 탐구 활동 진술에 사용된 문장의 마지막 서술어 1383개를 대상으로 종류 및 빈도 등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평균적으로 '안다'(15.0 %)가, 중학교에서는 '이해한다'(24.2 %)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교육과정별로 살펴보면,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해한다'의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초등학교에서 관찰, 조사와 같은 탐구 활동을 뜻하는 동사가 상대적으로 자주 등장하였다.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초 중학교를 합쳐 '설명한다'가 최빈 동사로 나타났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안다'와 '이해한다'가 각각 1, 2 순위를 차지하였다. 세 교육과정을 비교하면, '이해한다'와 '관찰한다'는 비교적 고르게 사용된 반면에 '안다'는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이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2. 교육과학기술부(2011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3. 교육과학기술부(2011b).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4. 교육과학기술부(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중학교 과학. 대전: 부운디자인, p. 3.
  5. 교육부(1992).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
  6. 교육부(1997a). 초.중등 학교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1].
  7. 교육부(1997b). 과학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9].
  8.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9].
  9. 김명옥, 강현석(2012).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과 수업 목표 분석. 교육과정연구, 30(1), 27-58.
  10. 김상달, 이용섭, 최성봉(2005).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육 목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40-651.
  11. 김재춘(2002). 국가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제7차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0(3), 77-97.
  12. 문교부(1955).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45호.
  13. 문교부(1963).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120호.
  14. 문교부(1973).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25호.
  15. 문교부(1981).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16. 문교부(1987). 중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7호.
  17. 문두호, 이강남(1999).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6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생물 교육 목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31-342.
  18. 미군정청 편수국(1947). 초급중학교 일반과학 교수요목.
  19. 박길순, 강유진, 김지나(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2), 344-355.
  20. 신진걸, 조철기(2008).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 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129-144.
  21. 신이섭(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 보고서 2011-10.
  22. 이대성(2009). 2007 개정 교육과정 상의 7학년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법관련 내용 비교 분석 : 교육과정 대강화의 한계. 사회과교육연구, 16(4), 55-69.
  23. 이미란(1992). 프로그램 감상과 행위동사로 계획된 중학교 1학년의 음악수업 연구. 음악교육연구, 11(1), 179-199.
  24. 이숙의(2014). 의미부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용 온톨로지 구축: 고급 단계 '인지적 행위' 동사룰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43, 271-302.
  25. 이승미, 홍후조(2010).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법규의 관련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관련 교육법규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7, 67-94.
  26. 이승미, 박순경(2014).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 탐색. 교육학연구, 52(2), 53-79.
  27. 이은영, 신명경, 최취임(2012).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초등과학교육, 31(1), 1-12.
  28. 이해명(2003).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통해서 본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교육학연구, 41(2), 197-224.
  29. 정덕호, 이준기, 김선은, 박경진(2013).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 학습목표와의 일치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4(7), 711-726.
  30. 조광희(2013).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교과교육학연구, 17(4), 1405-1420.
  31. 조광희(2014a).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에 관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서술어 분석. 새물리, 64(4), 447-457.
  32. 조광희(2014b).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기술 관련 과목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379-396.
  33. 허경철(2003).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방식의 개선방안. 교육과정연구, 21(3), 1-25.
  34. Anderson, L.W., Krathwohl, D. R., Airasian, P. W., Cruikshank, K. A., Mayer, R. E., Pintrich, P. R., Raths, J. & Wittrock, M. C.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35.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4). The Australian curriculum science, curriculum version 7.3. ACARA, Australia.
  36.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Ed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by a committee of college and university examiner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37. Department of education(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science programmes of study. DFE-00185-2013. UK.
  38. Marzano, R. J.(2001).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ousand Oaks, California: Corwin Press, Inc.
  39. Ministry of education(200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science and technology. Queens' Printers for Ontario, Canada.
  40. NGSS lead states(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1. Reigeluth, C. M., & Moore, J. (1999). Cognitive education and the cognitive domain.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pp. 51-68, Mahwah,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