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TS in the High-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cused on the Unit of 'Evolution of Life' and 'Health of Humanity and Scientific Technology'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10.02
  • Accepted : 2015.12.0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extent of the use of STS contents in the areas of 'Evolution of Life' and 'Health of Humanity and Scientific Technology' in 'Science' textbook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y meet the goals of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e analysis of the 7 types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STS topics areas indicated big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as little as 16.67% and as much as 58.33%. Also, among the topics associated with STS, 'Space Development and National Defense' and 'Environmental Problems' were not included. In the STS activity areas, the areas of 'Structured Debate,' 'Interpretation of Data,' 'Research and Investigation' showed great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 STS activity areas of 'Field Activities,'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Role Playing,' 'Simulation,' 'Case Study,' and 'Research Design' showed small frequency. Analysis of the STS contents for each area indicated 67.57% for the contents relevant to 'the applicability of science' accounting for the largest part whereas 'Understanding of Occupations related to Science' accounted for 1.63%, showing a great difference in their frequency. Seven standards except 'the applicability of science' were included each contents beyond 10% or less than 10% proportion. The STS contents included in the life science area of the 7 types of convergence-style 'Science' textbooks for the high-school accounted for an average of 20.75%, from as little as 12.35% to as much as 26.90%, depending on the publishes.

본 연구는 과학 교과서의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영역에서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 잘 부합하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7종의 교과서를 STS 주제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비율로 보면, 적게는 16.67%를, 많게는 58.33%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TS와 관련된 주제 중, '우주개발과 국방'과 '환경문제'는 표현되지 않았다. STS 활동 영역에서는 '구조화된 토론', '자료 해석', '조사 연구' 영역에서 많은 활동 횟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현장 활동',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 '역할 놀이', '모의 실험', '사례 연구', '연구 고안'의 STS 활동 영역은 그 횟수가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2009 개정 과학 교과서에서는 STS 활동 영역이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영역별 STS 내용 포함률을 분석한 결과, '과학의 응용성'에 해당하는 내용이 67.57%로 최대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1.63%로 그 빈도의 차이가 켰다. '과학의 응용성' 이외의 7가지 내용 준거는 10%를 조금 넘거나, 대부분 10%가 채 되지 않는 비율로 각각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7종의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교과서 생명과학 영역에 포함된 STS 내용은 평균 20.75%로, 교과서별 최소 12.35%에서부터 많게는 26.90%를 포함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교육부.
  2. 강경희, 손연아, 맹희주, 김동렬, 김의성, 이영희, 홍석준(2010).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과학교육 교수.학습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 곽영직, 박정일, 강석철, 우문숙, 김재우, 노기종, 박미아, 박기성(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더텍스트.
  4. 권치순(2010). 제6차 및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의 STS 내용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1), 9-17.
  5. 교육과학기술부(2011).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6. 김동렬, 손연아, 문두호(2008). 역할극을 활용한 지구 온난화와 생태계 변화에 관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21(4), 12-24.
  7. 길혜정, 김현경, 최병순(2011). 안산 지역 특성이 반영된 STS 모듈의 효과: 화학 I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화학회지, 55(4), 703-714.
  8. 김희준, 강지훈, 권영식, 김경력, 김선기, 이명균, 이용구, 이진승, 전병희(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상상아카데미.
  9. 류성창, 이윤옥, 김동호, 이순하, 양은희(2014). 2009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STS 요소 및 핵심역량 요소 반영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131-156.
  10. 배광성, 강은숙(2008). 제8장 제6차 및 7차 교육과 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생물영역) 교과서의 STS 내용 분석. 중등교육연구, 20, 중등교육연구소, 147-164.
  11. 배광성, 강군나(2009). 제 9장 제6차 및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 I 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중등교육연구. 21, 중등교육연구소, 145-170.
  12. 안태인, 안정선, 한인섭, 김대준, 이문원, 권석민, 신석주, 채광표, 이세연, 김명하, 하윤경, 김영호(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금성출판사.
  13. 양찬호, 이주석, 노태희(2012).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31(2), 154-163.
  14. 오필석, 유시욱, 이석영, 배미정, 손정우, 소영우, 이봉우, 최선영, 최승규(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천재교육.
  15. 전동렬, 홍훈기, 전상학, 박영도, 김호련, 유영선, 오소라, 김규태, 권오성, 심정규, 운우현, 김호성, 김현정, 김현희(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미래엔.
  16. 정완호, 권용주, 김영신(1993). STS 교육운동의 국내 연구 경향 분석과 적용 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한국과학교육학회, 66-79.
  17. 정완호, 고현덕, 권혁빈, 김낙현, 김영준, 김웅태, 김희동, 박종석, 송현미, 신미영, 윤용, 임태훈(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교학사.
  18. 조현수, 강대훈, 강태욱, 김민수, 김연귀, 김희수, 문태주, 이용철, 이정은, 조영우(201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천재교육.
  19. 최경희(1994). 과학교육과 STS에 관한 중등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92-198.
  20. 최경희(1997).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과학-기술-사회(STS) 내용, 활동 유형 및 포함 정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425-433.
  21. 현지영, 박신규, 김중욱, 정원우(2008).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기존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내용 비교 분석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2(2), 과학교육연구소, 1-16.
  22. 홍미영, 정은영(2004).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수업 에 반영된 STS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한국과학교육학회, 659-667쪽.
  2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4. Bybee, R. W. (1987). Science Education and the Science, Technology, Society(STS) theme. Science Education, 71(5), 667. https://doi.org/10.1002/sce.3730710504
  25. Hurd, P. D. (1980). "Biology education". In N. C. Harms & R. E. Yager(Eds.),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Vol. 3, 12). Washington, DCL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6.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82). Science-Technology-Society :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 (An NSTA position statement). Washington, DC: Author.
  27.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1990). Science-Technology-Society :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An NSTA position statement). Washington, DC: Author.
  28. Piel, E. J. (1981). Interac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secondary school, In N. C. Harms & R. E. Yager(Eds).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Vol. 3, 94).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9. Yager, R. E., & Penick, J. E. (1984). What students say about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er. Science Education, 68(2), 143-152 https://doi.org/10.1002/sce.3730680207
  30. Yager, R. E. (1989). A Rational for Using Personal Relevance as a science Curriculum Focus in School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9(2), 144-15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9.tb1190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