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만 여대생의 운동방법에 따른 신체조성 및 비만스트레스의 변화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Exercise Type in Obesity Female Students

  • 투고 : 2015.09.08
  • 심사 : 2015.09.18
  • 발행 : 2015.10.28

초록

본 연구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후 신체조성과 스트레스의 변화를 확인하고 비만관리 운동프로그램 개발 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비만 여대생 40명을 유산소운동군(20명), 복합운동군(20명)으로 분류하였다. 매회 60분, 1주에 3회, 총 8주간 각각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신체조성 및 스트레스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유산소 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체지방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비만스트레스는 복합운동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관리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시 비만스트레스를 고려한 복합운동군이 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hanges in the body composition and obesity-stress on the aerobic exercise and combined exercise and that Obesity Management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to serve as the basis when developing materials. Obesity female college student 40 people were classified that Aerobic exercise group(20 patients) and combined exercise group(20 patients). Every time 60 minutes, three times a week, a total of eight weeks each exercise program after each underwent an exercise program compared body composition and stress. Research result, body fat is aerobic exercise group and combined exercise group was statistically decrease, Obesity Stress is founded that a significantly reduction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Therefore Obesity Management Exercise Program during development in considering the combined exercise group Obesity Stress is thought to be more suita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춘자, 김대중, 채선미, "한국판 체중조절 변화과정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비만한 대사증후군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62-272,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262
  2. 보건복지부, 201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통계자료, 2012.
  3. 전영선, 안홍석, "여대생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미용향장학회지, 제1권, 제2호, pp.13-26, 2006.
  4. J. S. Garrow, "Energy balance and obesity in man", Bibliography, Vol.12, pp.197-224, 1978.
  5. 이상규, 유산소 및 근력 복합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심박수변이도 및 혈역학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임재현, 라혜복, "서울지역 건강관련 전공여대생의 체중조절 및 관련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47-258, 2007.
  7. 정윤경, 태영숙, "일부 여대생들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45-555, 2004.
  8. 신혜선, 서수연, 이종민, 김정아, "비만 여대생들의 12주간 복합운동 순서 차이가 복부지방구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35-24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35
  9. 홍지영, 옥정석, "12주 유.무산소성 복합운동이 비만 여성 노인의 체력 및 신체조성, 근육지수,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30-38, 2013.
  10. L. S. Pescatello, B. A. Franklin, R. Fagard, W. B. Farquhar, G. A. Kelley, and C. A. Ray,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and hypertens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36, No.3, pp.533-553, 2004. https://doi.org/10.1249/01.MSS.0000115224.88514.3A
  1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12. 윤은재, 김영란, "여대생의 하체비만관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60-366.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360
  13. 권종성, 박종성, "비만 여성의 운동 순서 차이에 따른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농도의 변화",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07-215, 2009.
  14. 정성림, 김병로, "12주간의 유산소 및 근력 복합 훈련이 중년 비만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3호, pp.649-659, 2003.
  15. 남상남, 안상현,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 남성의 신체조성, 혈중 콜레스테롤 및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7권, 제1호, pp.49-58, 2008.
  16. 김찬규, 이병훈, "여대생의 비만에 따른 보행패턴, 근활성도 및 균형지수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259-26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259
  17. 박복남, 이혜자, 박종선, "건강관리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체질량지수, 비만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12, 2007.
  18. 조맹제, 김계희,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 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2권, pp.381-399, 1993.
  19. 유효정, 박미연, 최해윤, 김종대, "비만도와 신체 균형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임상적 연구", 동서의학, 제34권, 제4호, pp.107-121, 2009.
  20. 고성민, 서킷 트레이닝이 30-40대 여성의 신체 조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김평정, 복합운동이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2. 한소연, 12주간 복합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신체조성, 건강관련 체력 및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김명자, 유.무산소 복합운동이 폐경기 전-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4. 문경선, 근저항성 운동이 남자고등학생의 최대 산소섭취량, 기초대사량, 신체조성, 체력변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5. 강대관, "저항성운동 처방이 고도비만 중년여성의 체조성과 복부지방 및 대사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3호, pp.613-622, 2004.
  26. 박진수, 8주간의 단계별 유무산소성 복합트레이닝이 20-30대 비만 여성의 신체성분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최선화, 비만아동의 생활환경과 비만스트레스 척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권영숙, "여대생의 비만스트레스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31-442, 2008.
  29. 지수민, 매뉴얼테크닉요법과 고주파요법이 복부 비만여성의 스트레스 자각정도와 코티졸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0. 김재호, 유.무산소 복합운동이 비만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비만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