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지역 소수민족의 생존전략: 베트남 중부의 브루반큐 민족을 사례로

Livelihood Strategies of Ethnic Minority in the Borderlands: Case Study of the Bru-Van Kieu in Northern Central Vietnam

  • Nguyen, Trinh Minh Anh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Okayama University) ;
  • Kim, Doo-Chul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and Life Science, Okayama University) ;
  • Ubukata, Fumikazu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and Life Science, Okayama University)
  • 투고 : 2015.08.06
  • 심사 : 2015.08.22
  • 발행 : 2015.09.30

초록

베트남의 소수민족 중 하나인 브루반큐 민족은 오랜 기간 동안 라오스와 국경을 이루는 산악지역에서 거주해 왔으며, 적어도 베트남전쟁이 끝날 무렵까지는 혈연관계에 기초한 무계급사회를 유지하면서 자급적 경제에 의존한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지리환경은 지난 몇 세기 동안 베트남의 국가형성과 경제정책에 의해 급격하게 변화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국경지역의 소수민족들이 외부적 경제환경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여 왔는가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루반큐 민족의 생업 적응을 살펴봄으로써, 베트남 국경지역의 소수민족이 거대한 정치경제권력에 맞서거나 때로는 타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생존전략을 구사하였는지를 고찰한다. 그 결과 이 논문에서는 브루반큐 민족이 그들의 사회문화적 관계를 최대한 지키기 위한 '일상적 저항'과, 다민족 경제주체들이 혼합된 새로운 경제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이러한 사회문화적 관계를 활용하는 전략을 동시에 구사하여 왔으며, 그 결과 그들 자신을 새로운 자원과 그 이용 가능성을 접목시켜 왔음을 밝혀 내었다.

The Bru-Van Kieu, one of ethnic minorities in Vietnam, have lived in the mountainous area along the border with Laos for centuries. Approximately by the end of the Second Indochina War, the Bru-Van Kieu were still a kinship-based and non-stratified societal group relying mainly on subsistence economy. Their traditional physical geography, nonetheless, has been transformed vigorously during the last few decades as a result of state-formation processes and changes in macro-economic policies. The paper aims to examine how ethnic minority adapt their livelihood to challenges instigated by macro political and economic processes. By examining livelihood adaptation of the Bru-Van Kieu, the study also identifies strategies that ethnic minorities use to negotiate with more powerful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The authors argue that the Bru-Van Kieu have deployed a strategy combining everyday resistance to maintain their limited social and cultural agencies and utilizing of these agencies in economic adaptation with other cross-ethnic non-state actors, enabling them to tap into new type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