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tress Reduc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고은경 (동아대학교 휴먼라이프리서치센터) ;
  • 견주연 (가야대학교 유아교육과) ;
  • 하지민 (창원문성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Following the protocols for meta-analysis proces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and effectiveness of stress reduc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s, outcomes, study design strategy was established, and 2,322 pieces of literature from 3 electronic databases of RISS, KISS and DBpia using the key words such as"young children stress"were reviewed. Twenty-seven of these references met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for systematic review and 19 references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literature was published around 2010. Many types of stress reduction programs wer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for 5-year-old children. (2) Stress reduction program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tress reduction and especially, psychological therapy activity programs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s. The implications of the systematic review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article.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토대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DBpia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유아 스트레스'로 검색을 시행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석 박사학위논문 1,121편, 등재(후보)학술지 논문 1,201편, 총 2,322편이었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검색 전략으로 최종 선정된 논문은 26편이었고, 그 중 19편의 논문이 메타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의 대상문헌들은 대부분 2010년 전후로 발표되었으며, 주로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문헌들은 전체적으로 -1표준편차 이상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의뢰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에 대한 제한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비 (2013). MeFOT기반 색채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경인, 조수연 (2013).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41-62.
  3. 권정윤, 정미라, 홍소영 (2010).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41-358.
  4. 김계수 (2015). 빅데이터 분석과 메타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5. 김봉아 (2014). 음악감상을 통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성재 (2011).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61-387.
  7.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정보형 등 (2011).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8. 김옥경, 권대원 (2006). 어린이 요가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변인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5(2), 73-90.
  9. 김희중 (2013). 유리드믹스 음악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해소 및 자기통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나상미 (2011).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선영 (2010). 달크로즈 기법을 적용한 음악치료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선영 (2012). 다도교육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주성, 김원준 (2010).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1), 4197-4206. https://doi.org/10.5762/KAIS.2010.11.11.4197
  14. 박현경, 이주영 (2014).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16(1),29-47.
  15. 변해숙 (2010). 자연체험활동프로그램이 종일반 유아의 스트레스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손은경 (2008). 자기표현활동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송효주 (2013). 음악감상을 통한 신체활동이 종일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인숙, 김지영 (2008).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71-194.
  19. 양진희, 박윤 (2007).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주제극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 행동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349-374.
  20. 염현경 (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분석 연구-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35-48.
  21. 유미리 (2010). 자기표현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윤가현, 권석만, 김문수, 남기덕, 도경수, 박권생 외 (2012).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3. 윤경애 (2013). 숲놀이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소연, 김민진 (2014).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195-221.
  25. 이루리 (2014). 실외놀이 중심 방과후 과정 운영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과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서현 (2007). 전통놀이 활동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유선, 한유진 (2015).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49-26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49
  28. 이인원 (2014). 숲체험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83-103.
  29. 이정아 (2013). 마음챙김에 기초한 유아 인지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향미 (2011).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51-73.
  31. 임갑빈 (1993). 유아스트레스 해소방법에 대한 기초연구. 교육연구, 2(1), 315-336.
  32. 정영주 (2013).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5(2), 209-235.
  33. 정혜민 (2010).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유치원 적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최민수, 정영희, 오윤진 (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요가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1, 223-241.
  35. 최성애 (2010). 자연명상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상복 (2010).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허은주 (2012). 심리운동이 시간연장 보육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현정희, 이지현, 황성동 (2014).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언어구성요인별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121-141.
  39. 황성동 (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40. Alsop, P., & McCaffrey, T. (1993). How to cope with childhood stress: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UK: Longman.
  4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Wiley.
  42. Burts, D. C., Hart, C. H., Charkesworth, R., & Kirk, L. (1990). A comparison of frequencies of stress behaviors observed in kindergarten children classroom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versu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instruction practices. Early Childhood Quarterly, 5(3), 407-423. https://doi.org/10.1016/0885-2006(90)90030-5
  43.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 based method of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https://doi.org/10.1111/j.0006-341X.2000.00455.x
  44. Felsenstein, R. (2013). From uprooting to replanting: On post-trauma group music therapy for pre-school children.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2(1), 69-85. https://doi.org/10.1080/08098131.2012.667824
  45. Honig, A. S. (1986). Stress and coping in children. Young Children, 41(4), 50-63.
  46. Honig, A. S. (2010). Little kids, big worries: Stress-bursting tips for early childhood classrooms. Baltimore: Brookes Publishing Company.
  47. Lazarus, R. S. (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1), 1-21. https://doi.org/10.1146/annurev.ps.44.020193.000245
  48. Lite, L. (2014). Stress free kids: A parent's guide to helping build self-esteem, manage stress, and reduce anxiety in children. Avon, MA: Adams Media.
  49. Parfenoff, S. H., & Jose, P. E. (1989). Measuring daily stress in childre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4 206.
  50. Ray, D. C. (2007). Two counseling interventions to reduce teacher-child relationship stres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0(4), 428-440. https://doi.org/10.5330/prsc.10.4.x3403022427l5705
  51. Vosler, N. R., & Proctor, E. K. (1990). Stress and competence as predictors of child behavior problems. Social Work Research and Abstracts, 26(2), 3-9. https://doi.org/10.1093/swra/26.2.3
  52. Wallerstein, J., & Kelly, J. (1982). Surviving the breakup. New York: Basic Book.

Cited by

  1. 코로나19 시대의 보육환경 내 영유아의 사회적 경험 vol.17, pp.2,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