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ieldwork of Growing Rice on Promoting Children's Scientific Skills

오감을 이용한 벼 관찰활동에서의 만3세 유아의 과학과정기술 변화에 관한 연구

  • 김연아 (시립 여성회관 어린이집) ;
  •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5.02.12
  • Accepted : 2015.10.17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ield-work of growing rice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participants were 10 three-year-old children in Y preschool in Osan. Teacher's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children's observation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cientific process skill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growing ric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Children showed higher predic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ability as the activity session passed.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teaching methods of promoting children's scientific thinking and attitude.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오감을 이용한 벼 관찰활동을 통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오산시에 소재한 Y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세 유아 10명이었다.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pradley(1980)의 참여관찰 분석과정을 최정열(2000)이 수정 보완한 분석과정을 사용하였다. 분석자료에는 유아 인터뷰 자료, 유아관찰일지, 교사 관찰기록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오감을 이용한 벼 관찰활동은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초기에 비해 후기로 갈수록 벼에 대해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비교하기, 측정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과학적 사고 신장을 위한 교수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숙, 김희영 (2014).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37-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37
  2. 강진순 (2002). 미술교육에서 오감경험을 통한 조형놀이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교육부 (2013).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4 계절.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권영수 (2013). 식물재배활동이 유아들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숙, 최미숙 (2005).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1-20.
  6. 김세진 (2005). 흙과 하늘에 대한 자연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심환, 정해은, 조희진 (2012). 누리과정과 연계한 배움텃밭정원 활동의 통합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지, 21, 61-92.
  8. 김현주 (2010). 비교 관찰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맹애영 (2004). 생물 관찰활동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과학과정 기술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서윤희 (2003).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송정은 (2004). 관찰 활동이 미술과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신은수, 정영미, 정현빈 (2014). 경험 귀납적 방법과 가설 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물" 과학 활동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3), 1-25.
  13. 오윤란 (2006). 자연물 관찰 및 표상활동이 만5세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윤기연 (2008). 자연관찰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기옥 (2006). 오감을 이용한 관찰활동이 유아의 '식물'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그림표상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윤정 (2006). 산책활동을 통한 자연물 관찰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인원 (2008).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 탐구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257-287.
  18. 이희숙 (2002). 자연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정소영 (2006). 자연체험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조윤제 (2014). 김해분성고 4-H회 벼 화분 재배 활동. 경남신문 2104년 6월 24일자.
  21. 최민수, 정영희, 김정옥 (2012). 유치원에서의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2, 281-309.
  22. 최상하 (2014). 모내기 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 인식조사(날씨와 생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에너지기후변화교육, 4(1):43-55.
  23. 최정열 (2000). 물질의 변화에 대한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사고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한정숙 (2002). 유치원 자연체험활동의 교육적의의.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Alfieri, L., Brooks, P. J., Aldrich, N. J., & Tenenbaum, H. R. (2011). Does discovery-based instruction enhanc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3(1), 1-18. https://doi.org/10.1037/a0021017
  26. Bailer. J. Raming. J. E., & Ramsey. J. M. (1995). Teaching science process skills. Torrance:Good Apple.
  27. Bardapurkar, A. S. (2006). Experience, reason and science education. Current Science, 90(6), 25.
  28. Cohen, R., & Tunick, B. P. (1993). Snail trails and tadpole tails: N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t. Paul: Redleaf Press.
  29. Correiro, E. E., Griffin, L. R., & Hart, P. E. (2008).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inquiry-based learning: A TUNEL assay for the detection of apoptosis in cheek cells. American Biology Teacher, 70(8), 457-460. https://doi.org/10.1662/0002-7685(2008)70[457:ACATIL]2.0.CO;2
  30. Driscoll, E. A., & Lownds, N. K. (2007). The garden wonder wall: Fostering wonder and curiosity on multi-day garden field trips.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6(1), 105-112. https://doi.org/10.1080/15330150701319412
  31. Duckworth, E. (1987). The having of wonderful ideas and other essays on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2. Harlan, J. D., & Rivkin, M. S. (2000).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An integrated approach (7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rentice-Hall Inc.
  33. Keil, C., Haney, J., & Zoffel, J. (2009). Improvements in Student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s Using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1), 1-18.
  34. Lind, K. K. (200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 A developmental approach (4th ed.). NY: Delmar Publishers Inc.
  35. Martin, D. J. (2001). Exploring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2nd ed.). Albany, NY: Delmar.
  36. Monhardt, L., & Monhardt, R. (2006). Creating a context for the learn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through picture book.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4(1), 67-71. https://doi.org/10.1007/s10643-006-0108-9
  37.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2006). NSTA position state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instruction. NSTA Position Paper adopted in May 2006. Arlington, VA: NSTA.
  38. Simsek, P., & Kabapinar, F. (2010). The effects of inquiry-based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ter,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 attitude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 1190-1194.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3.170
  39.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40. Tifi, A. (2006). Scientists at play: teaching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in School, 1, 37-40.
  41. Wilson, R. A. (1996). Starting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ERIC Digest).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ERIC Identifier ED 40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