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Students through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y in Technology Education of Middle School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체험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변화

  • Received : 2015.08.04
  • Accepted : 2015.09.24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operative hands-on activity in the technology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 student who is an education consum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12 first year student of a middle school located at G City of Gyeonggi-do Province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nd group discussion based on stimulated recall questionary techniques. This study utilized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and component analysis as a data analysis method, and secured the verity of the research through the examination between research participants and triangul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ork,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hands-on class in the technology subject had the meaning of 'Space between a burden and excitement about the technical making', 'Clue and ignition point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Self-discovery through Technical capability'. To be more concrete, 'Space between a burden and excitement about the technical making' means that students, whose usual school record is excellent, felt great psychological burdens of performance assessment, but their pre-experience and interest in 'Making' induced them to feel exhilaration of hands-on activity. 'Clue and ignition point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means that students get to make much of the understanding &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eammate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an unfamiliar hands-on activity task and to have the continuous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scovery through Technical capability' means that students get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experience of one's own making through hands-on activity learning, which could be the opportunity to meet the operant demands of the inner side. This study hopes that such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needed for designing the hands-on activity education in the technology subject more meaningfully and systematically for the time to come.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체험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는 경기 G시의 중학교 1학년 학생 12명을 유목적적 표집법으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자극 회상 질문법에 의한 심층면담, 집단토론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영역 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들 간 검토 및 삼각검증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 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체험 활동 수업은 학생들에게 '기술적 제작에 대한 부담과 흥분사이', '기술적 문제해결의 실마리와 발화점', '기술적 능력을 통한 자아의 발견'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술적 제작에 대한 부담과 흥분사이'는 평소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수행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많이 느꼈지만, 일반적인 '만들기'에 대한 선(先)경험과 흥미는 체험활동에 대한 흥분감을 느끼도록 하였음을 의미한다. '기술적 문제해결의 실마리와 발화점'은 생소한 체험활동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모둠원들과의 관계 이해 및 형성을 중요시 하게 되고, 지속적 문제 해결력을 갖도록 함을 의미한다. '기술적 능력을 통한 자아의 발견'은 체험활동 학습을 통해 스스로 '만들어가는' 학습 경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고, 내면의 조작적 욕구 충족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기술 교육에서의 기술적 문제해결 체험활동 교육을 보다 의미 있고 체계적으로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정평가원(2011).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RRC 2011-7-1). 서울:교육과정평가원.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서울: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07). 중학교 기술․가정 해설서. 서울:교육과학기술부.
  4. 권용태, 강호감(2015). 초등영재학생의 인지양식 그룹별 골드버그 장치에 대한 문제해결전략. 영재교육연구, 25(1), 77-93. https://doi.org/10.9722/JGTE.2015.25.1.77
  5. 김남순, 허영숙(2008). 협동게임활동이 자기 조절능력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20, 49-66.
  6. 김다라니, 이상봉(2011).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1), 149-166.
  7. 김동입, 이상봉(2013). 기술교육에서 문제해결의 단계별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실과교육연구, 19(4), 175-191.
  8. 김영준, 손정우(2012).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2(2), 451-465. https://doi.org/10.9722/JGTE.2012.22.2.451
  9. 김용익(2007). 두 개의 국제 전문 학술지 분석을 통해서 본 기술교과 교육 연구 동향 : 1997-200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49-73.
  10. 김이립, 박남제(2012). 루브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STEAM 초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6(2), 117-121
  11. 김자영(2013). 골드버그 장치 제작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과정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2. 김지숙(2003).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도출을 위한 기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2), 51-66.
  13. 김태우, 이상봉(2010).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58-77.
  14. 김평기(2004). 수행평가에 있어서의 남녀 중학생간의 차이.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5. 김흥식(2002). 공업계 고등학교의 프로젝트 교과 수행 모형에 관한 연구 : 참여자의 학습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6. 김희정, 송현순(2013). 실과교육의 노작 활동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1), 1-22.
  17. 노현호(2010). 댄스스포츠 참여가 초등학교 학습 부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8. 류성림(2001). 교육연구의 질적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19. 박성익, 조영환(2005). 문제의 구조화수준과 표면유사성이 유추전이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6(2), 71-94.
  20. 박영호(2015). 메타인지별 초등과학영재와 중등과학영재의 골드버그 장치에 대한 문제해결전략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1. 박현삼(2004). 공업계고등학교 CNC 선반 실습에서 협동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2. 박형서(2010).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연구, 47, 77-98.
  23. 박흥준(2007). 기술교과 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1), 107-118.
  24. 배선아, 이상봉, 금영충(2006).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과 '횡단보도 제어기' 수업에서 함께 배우기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6(1), 1-18.
  25. 배협, 은태욱, 정동양, 김진수(2012).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STEAM 통합교육 적용을 위한 롤링볼 만들기 수업자료 개발. 교원교육, 28(3), 323-341.
  26. 손다미, 노진아, 김태훈(2011).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191-209.
  27. 신충교(2004). 공업계고 '전력설비' 과목에서 LT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8.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29. 양선직(2003).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계의 이해' 단원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운동물체 만들기' 체험활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30. 양애경, 조호제(2009).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31. 이명숙(1995). 놀이를 통한 선행경험의 연계적 지도가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과학과수학교육논문집, 16, 192-214.
  32. 이상봉, 정진우(2008).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중학생용 발명 체험 활동 수업과정안 개발. 실과교육연구, 14(4), 303-326.
  33. 이상봉, 배선아(2007).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을 위한 수업설계. 실과교육연구, 13(4), 77-98.
  34. 이상봉, 오규찬(2005).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의 수업과정안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5(2), 101-116.
  35. 이상봉(2001). 지식기반 사회에 대처하는 기술교육의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기술교육학회 지, 1(1), 15-29.
  36. 이상현(2003). 중학교 재량활동 수업에서 모형 자동차 만들기 과제의 협동 학습이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37. 이예순, 김종필(2003). 대학 무용전공자의 무용 선행 경험에 따른 학습태도와 자기실현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7(2), 153-162.
  38. 임송원, 이용진(2009). 개념학습 모델에 의한 중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의 체험활동 과제 개발. 실과교육연구, 15(2), 295-312.
  39. 전성옥(2011).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따른 문제중심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40. 정광미(2010). 협동 미술활동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함께 학습하기 모형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41. 정기자(2002). 취학 전 선행학습 경험과 초등학교 1학년 학업성취도 및 학습흥미도와의 관계 : 수학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42. 정나은(2009). 초등학생과 교사에게 공부와 시험, 성적이 갖는 의미에 대한 연구 : 질적 사례를 통한 해석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43. 정진우, 이상봉(2009).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개발. 교원교육, 25(2), 335-358.
  44. 전창완(2014). 중․고등학생의 주관적 수업 태도와 학업 성적의 상호 관계. 교사교육연구, 53(1), 204-219
  45. 조순기, 최유현(2004). 초등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 활동을 위한 확산적 사고 및 수렴적 사고 전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4(1), 54-67.
  46. 진의남, 김선혜(2012).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250-274.
  47. 최미희(2008). 중학생의 수학 선행학습 실태 분석 연구: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48. 홍수진, 이상혁(2007). 중학교 '재료의 이용'단원에서 모듈식 실습수업이 기술교과 흥미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2), 1-25.
  49. Gibbons, M. (2002).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San Francisco. CA:Jossey-Bass.
  50. Johnson, B, & Christensen, L. (2000). Educational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MA: Allyn & Bacon.
  51. Simon, H. (1973). The structure of Ill-Structured Problem. Artificial Intelligence, 4(1), 181-202. https://doi.org/10.1016/0004-3702(73)90011-8
  52. Spradley, J.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이희봉 역 (1988), 문화탐구를 위한 관찰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