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Simplicity of Sediments on Byungsuran Dune Field Planted with Pine, West Coast of Korea

방사림이 조성된 병술안 해안사구 퇴적물의 지화학적 단순성

  • Shin, Young Ho (BK21Plus 4-Zero Land Space Creation Group,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un A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 Keun Bae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신영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BK21플러스 4-Zero지향 국토공간창조사업단) ;
  • 이현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유근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5.07.21
  • Accepted : 2015.08.27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rees to arrest sand-shifting have been planted on most of coastal dunes in Korea and considered as conservative objects. However, we reconsider that the simplicity of these trees have hindered ecological roles of coastal dunes; geochemical cycle and habitats of endemic species in coastal ecosystem. We examined ge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s on Byunsuran dune field where is planted with pine tre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perties between embryo dune sediments and foredune sediments, but there are not between foredune and secondary dun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ine forest sediments and mixed forest sediments. It is also no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dune ridge sediments and swale sediments. Despite spatial diversity from appearance, geochemical properties are not linked with geomorphic and vegetational conditions because of dense planted trees on foredune. To recover natural properties of coastal dunes, we need to change the conservation scheme to increase geomorphic and ecological diversity.

한국 대부분의 해안사구 지역은 방사림이 조성되어 있으며, 방사림을 보전해야한다는 의견이 많다. 그렇지만 해안사구가 지닌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의 역할이나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역할의 측면에서 방사림에 의한 식생피복 단순화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방사림이 조성되어 있는 서해안 병술안 해안사구지대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바다로부터의 이격 정도, 식생피복, 그리고 사구 미지형의 측면으로 나누어 물리 화학적 살펴보았다. 배아사구와 전사구 간 퇴적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큰 차이를 보였지만 전사구와 2차사구 간 특성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곰솔림과 혼합림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물리 화학적 특성이 서로 극명하게 다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구열과 사구저지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지화학적 다양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외형적으로 확인되는 공간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퇴적물의 지화학적 다양성이 연계되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전사구까지 조밀하게 조림된 방사림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안사구의 본연의 특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방사림의 일부를 지형적 생태적으로 역동적이며 다양하도록 조성해 나가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