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 Jung, Jun-S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ul Medical Center)
  • 정준식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작업치료실)
  • Received : 2014.12.02
  • Accepted : 2015.01.15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Objective : To synthesize and identify the studies that deline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other factors in stroke patients in South Korea. Method :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including KISS, NDSL,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KmBase. The search terms included stroke, quality of life and correlation, relationship. Only papers published in Korean were included. Results : Twelve studies, from 256 references screened, were included. All studies were non-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analys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Quality of Life and ADL .293~.622, Depression -.804~-.533, Cognition .090~.610, Quality of Sleep .107, Quality of Satisfaction .367, Fatigue -.260, MAL(Quality of Movement .208, Amount of Use .364), Family Support .824, Pain -.306,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51~.86, Balance .740, Self-efficacy .388 were analyzed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wa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consider the functions of upper extrem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well as depression, cognition, sleep, family support, pain, and self efficac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회도서관,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 용어는 뇌졸중, 삶의 질, 상관관계였고 한국어로 출판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결과 : 총 256편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그 중 12편의 연구가 본 주제와 부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된 12편의 연구는 모두 비 실험적 연구였고 상관관계 논문이었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일상생활활동 r=.293~.622, 우울증 -.804~-.533, 인지 기능 .090~.610, 수면의 질과 만족도는 각각 .107과 .367, 피로 -.260, 상지 기능 중 움직임의 질 .208, 사용 양 .364, 가족지지 .824, 통증 -.306, 재활 동기 .51~.86, 균형 .740, 자기효능감 .388로 분석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치료사는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뿐만 아니라 우울, 인지, 수면, 가족지지, 통증, 자기 효능감 등의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