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MET) for impaired fasting glucose(IFG) patients in early stages of health behavior change and evaluate its effect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the stages of change and HbAlc. Data was collected in Health Center of U city, December 2011 to March 2012, conducted on 78 IFG patients who visited to the Health center, they randomized to intervention group(n=27) and control group(n=33).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the MET, the control group received standard care. This MET programe was applied from MET programe. After developing, it confirmed content validity.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t-test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f the stage of change(t=-20.224, p=.000)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no difference of health behaviors(t=-1.297, p=.200) and HbAlc(t=.794, p=.431).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T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ealth behaviors and expect to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preparation for implementation of health care interventions.
본 연구는 동기강화면담이 공복혈당장애 환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행동변화단계, 당화혈색소값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위해 시도되었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U시 동구보건소에 내소하는 공복혈당장애를 가진 대상자로 실험군 27명 과 대조군 33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실험군에게 연구자가 개발한 동기강화면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면담프로그램은 1대1 면담 1회와 전화상담 1회로 이루어졌으며 MET I, II 프로그램을 응용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프로그램 적용후 효과검정을 위해 실험전후 대상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변화단계는 설문지 조사하였고 채혈을 통해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변화단계점수는 두 집단 간 유의한차이가 있어(t=-20.224, p=.000) 동기강화면담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고, 건강증진생활양식(t=-1.297, p=.200)과 당화혈색소값(t=.794, p=.431)에 대해서는 두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동기강화면담프로그램은 공복혈당장애 환자의 행위변화단계를 인식전단계에서 인식단계로 변화되는데 효과가 있었으므로 간호현장에서 건강관리 중재프로그램을 시행하기위한 준비단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