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nstruction and building plan of Buyeo Muryang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부여 무량사(無量寺)의 17세기 재건(再建)과 조영 계획(造營 計劃)

  • Oh, Se-deok (Department of Cultural Assets, Gyeongju University)
  • 오세덕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 Received : 2015.05.21
  • Accepted : 2015.07.30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study examined reconstruction and building plan of Buyeo Muryang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and reviewed its construction process and supporting power since the Imjin War of 1592. In addition,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design plan of Geukrakjeon that i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reconstruction were examined.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Muryangsa Temple is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reviewed the reconstruction order of Muryangsa Temple that was progres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1624 to 1636. In doing so, the reconstruction period was adjusted from 1633 to 1624 so that the construction order of Muryangsa Temple might be the reconstruction of Geukrakjeon in 1624, Gwaebul in 1627, Sojosamjonbul in 1636 and Beomjong in 1636. Secondly, as the re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 was progres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f 13 years, it was assumed there was great supporting powe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Jinmukdaesa who lead the construction of Wanju Songgwangsa Temple had an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It was conjectured that Shin family of the royal family as the supporting power of Songgwangsa through the support of Jinmukdaesa had an impact on Muryangsa Temple. Thirdly, the study reviewed architectural features of Geukrakjeon which has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re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 By comparing other reconstructed temples, the architectural style of Muryangsa Temple was examined. In particular, features of Gongpo and furniture were reviewed. In doing so, Muryangsa Temple, the study proposed a possibility that Geukrakjeon would be constructed by an artisan in the same genealogy of Wanju Hwasamsa Temple Geukrakjeon. Finally, the design plan of the building was reviewed with Yongcheok of 309mm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Geukrakjeon. Geukrakjeon had perfect proportion compared with other reconstructed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golden ratio of 1:1.41 was applied in many areas of building. the study also proposed that the stable design of Geukrakjeon was carried out by the building plan of overall Garam at the time of reconstruction of Muryangsa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부여 무량(사無量寺)의 17세기 재건(再建)과 조영 계획(造營 計劃)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는 임진왜란 이후 무량사의 재건 과정과 후원 세력 등을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재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극락전의 건축적 특징과 의장 계획 등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무량사의 재건 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량사의 1624~1636년까지 1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된 중창 순서를 재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극락전의 재건시기를 1633년에서 1624년으로 조정하여 전체적인 무량사의 불사 순서가 1624년 극락전 중창, 1627년 괘불 조성, 1636년 소조삼존불 조성, 1636년 범종 조성으로 이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무량사 재건은 일반 사찰에 비해 13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진행되고 있어 강력한 후원 세력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특히 완주 송광사 불사를 주도적으로 이끈 진묵대사가 무량사 불사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진묵대사의 불사를 지원했던 송광사 후원 세력인 왕실 신씨 일가의 영향이 무량사까지 미친 것으로 보았다. 셋째, 무량사 재건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는 극락전의 건축적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무량사 극락전을 다른 중층 불전과 비교를 통해 건축형식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특히, 공포와 가구의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무량사 극락전과 완주 화암사 극락전이 동일한 계통의 장인이 만들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극락전을 조영하는데 사용한 309mm의 용척을 중심으로 건물의 의장 계획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극락전은 일반 조선후기 중층 불전에 비해 완벽한 비율이 확인되고 대체로 1 : 1.41의 황금비율이 건물의 곳곳에 남아있다. 또한 극락전의 안정적인 의장은 조선후기 무량사 재건 당시 이미 전체적인 가람의 조영 계획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