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Attitude, and Health Concer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ults

성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태도,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10.05
  • Accepted : 2016.11.18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dependent 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attitude in adults, and whether health concern medi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est a model in which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attitude were considered as exogenous variables while health concern as a mediating variable. The participants were 292 adults aged from 20 to 59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measure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attitud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concer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concer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lso health attitud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health attitude may play important roles to promot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ult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health education for adults in schools, work place, and health and medical organization might promote positive health attitude and health concern. Health educ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preventive health examination also might contribute to activate health promoting behavior.

본 연구는 성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태도, 건강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공분산구조분석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5월부터 6월까지 4개 도시에 거주하는 만 20세부터 만 59세 성인 292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태도, 건강관심도,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고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태도를 외생변수로, 건강관심도와 건강증진행위를 내생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태도, 건강관심도는 건강증진행위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태도는 건강관심도를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간접효과를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증진을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학교, 직장, 보건 의료기관을 통해 다양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므로써 긍정적 건강태도 형성을 통한 건강관심도를 제고하고, 건강검진과 건강교육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건강증진행위 참여의 계기로 이어 질 수 있도록 건강상담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2015.
  2.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3. N. J.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ition, Appleton and Lange, 1996.
  4. D. L. Speake, M. E. Cowart, and K. Pellet,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12, No.2, pp.98-100, 1989.
  5. L. M. Lewis and B. J Riegel, "Determinants of perceived health in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Heart &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Vol.39, No.1, pp.41-49, 2010. https://doi.org/10.1016/j.hrtlng.2009.06.010
  6. M. G. Parker and M. Thorslund, "Health tends in the elderly population: getting better and getting worse," The Gerontologist, Vol.47, No.2, pp.150-158, 2007. https://doi.org/10.1093/geront/47.2.150
  7. 문영희,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81-91, 2001.
  8. 홍세화, "간호대학생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8-86,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78
  9. 김귀분, 김현아, 석소현, "노인의 건강지각, 건강지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1호, pp.56-67, 2008.
  10. 변영순, 옥지원, "여대생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715-723, 2008.
  11. 신경림, 김정선, "도시지역 여성 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5호, pp.869-880, 2004.
  12. 김남진,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9-110, 2000.
  13. L. Ashrafioun, E. Bonar, and K. R. Conner, "Health attitude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64, No.3, pp.256-206, 2016. https://doi.org/10.1080/07448481.2015.1081911
  14. E. Panagopoulou, "Health promotion as a behavioural challenge: are we missing attitudes?," Global Health Promotion, Vol.18, No.2, pp.1757-1759, 2011.
  15. 김명자, "무용전공 여자대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34권, pp.177-200, 2002.
  16. S. Lee and K. McClear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Health Attitude, and Healthy Offerings for Seniors at Family Restaurants," Cornell Hospitality Quarterly, Vol.54, No.3, pp.262-273, 2012. https://doi.org/10.1177/1938965512460344
  17. 이수재, 박혜선, "일 개 지역 성인의 암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적 건강행위의 차이," 한국안전교육학회지, 제9권, 제2호, pp.93-116, 2013.
  18. 김익지, 김상희, "대학생의 암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계," 종양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44-51, 2012.
  19. 노행인, 김명,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행위간의 관련성 비교,"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15-135, 2004.
  20. 김은주, 황승숙, 박정모, 이화인, "인천시 중장년층 남성의 건강증진행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08-418, 2004.
  21. 하주영, 최은영,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 노인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77-285, 2013.
  22. 김남진, "노인들의 건강행위 실천 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169-182, 2000.
  23. 이현정, 박재용, "노인의 TV 건강프로그램 시청과 건강행위 실천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94-301, 2011.
  24.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 문우사, 2015.
  25. 권유림, 전해옥, "중년여성의 건강지각, 자아존중감, 가족기능이 노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2호, pp.176-184,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2.176
  26. 박인혜, 최인희, 류현숙, 주애란, 김윤경, 강서영, 광주광역시 경로당 환경과 경로당 이용노인의 건강실태,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6.
  27.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 Promoting Lifes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95.
  28. 윤순녕, 김정희,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30-140, 1999.
  29.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5.
  30. 대한민국, 건강검진기본법, 법제처, 2016.
  31. F. Crain, 발달의 이론, 시그마프레스, 2009.

Cited by

  1. Body Esteem,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in a Community vol.20, pp.1, 2017, https://doi.org/10.7587/kjrehn.2017.61
  2. Self-Care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Focusing on Symptom Experience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isease Status vol.25, pp.3, 2018, https://doi.org/10.7739/jkafn.2018.25.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