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ord-of-Mouth Channel Types on Product Attitude

구전정보 채널유형이 소비자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교혜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
  • 박윤서 (전북대학교 경영학부/빅데이터비즈니스연구소) ;
  • 김용식 (배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6.08.24
  • Accepted : 2016.09.07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effects of different channel types of Word-of-Mouth on the product attitude. Additionally, the product involvement and gender are considered as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fferent word-of-mouth channel type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product attitude, that is, off-line has more influence than on-line does. Also the product involve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nel types of word-of-mouth and the product attitude, while the gender does not. The results imply that while building the word-of-mouth marketing strategy, companies shoul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on-line media channel, but lay importance on the off-line communication channel.

소비자들의 구매과정에서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구전정보는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구전정보 특성들 중 신뢰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소비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구전채널의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전정보의 채널유형이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제시되는 각각의 상황에서, 소비자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존재하는지, 더불어 제품관여도 및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구전정보 채널유형(온라인/오프라인)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구전정보 채널유형과 소비자 제품태도의 관계에서 소비자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업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구전전략에서도 충분한 세분화전략을 고려하여야 하며, 구전의 채널이 온라인에 머무르지 않고 오프라인으로 확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M. Sulek and R. L. Hensley,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od, atmosphere, and fairness of wait: the case of a full-service restaurant,"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ly, Vol.45, No.3, pp.235-247, 2004. https://doi.org/10.1177/0010880404265345
  2. V. A Zeithaml, L. L. Berry, and A. Parasuraman, "The Nature & Determinants of Customer Expectations of Service," Journal of the Acadey of Marketing Science, Vol.21, No.1, pp.1-12, 1993. https://doi.org/10.1177/0092070393211001
  3. P. Busch and M. Houston, Marketing: Sfrategic Foundation, Homdwood, IL: Richard D. Irwin, Inc., 1985.
  4. P. Jr. Voss, "Status shifts to peer influence," Advertising Age, Vol.17, No.10, pp.1-10, 1984.
  5. P. M. Herr, F. R. Kardes, and J. Kim, "Effect of Word-of-Mouth and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on Persuasion: an Accessibility-Diagnosticity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7, No.4, pp.454-462, 1991. https://doi.org/10.1086/208570
  6. 배정호, 심범준 김병도, "온라인 구전과 영화 매출간 상호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영화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제12권, 제2호, pp.1-25, 2010.
  7. 양윤, 조문주,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1권, 제3호, pp.7-34, 2004.
  8. 김성훈, "제품 관여도 및 제품 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정보 활용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57-280, 2003.
  9. B. L. Bayus, "Word of Mouth: The Indirect Effect of Marketing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5 No.3, pp.31-39, 1985.
  10. R. A. Westbrook, "Product/Consumption based Affective Responses and Postpurchase Process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4, No.3, pp.258-270, 1987. https://doi.org/10.2307/3151636
  11. D. A. Aaker and J. G. Myers, Advertising Management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2.
  12. E. Borgida and R. E. Nisbett, "The Differential Impact of Abstract vs Concrete Information on Decis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7, No.3, pp.258-271, 1977. https://doi.org/10.1111/j.1559-1816.1977.tb00750.x
  13. 이은영, 이태민,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6권, 제2호, pp.145-171, 2005.
  14. 박철 and Y. Shen, "SNS(Social Network Site)를 통한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제지역연구, 제19권, 제1호, pp.131-156, 2015.
  15. 성영신, 박진영, 박은아, "온라인 구전정보가 영화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제57호, pp.31-52, 2002.
  16. 이문석, 황장선, "온라인 소비자 구전의 역할과 구전에 대한 질적 접근: 온라인 쇼핑물의 상품평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7권, 제3호, pp.33-64, 2006.
  17. 성태경, 홍상진, "온라인 구전정보특성이 구전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정보수용유형을 중심으로," 대한설비관리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9-65, 2015.
  18. H. E. Krugman, "Memory without recall, exposure without percep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17, No.4, pp.7-12, 1997.
  19. J. H. Antil,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Vol.11, pp.203-209, 1984.
  20. B. Mittal, "The maximizing consumer wants even more choices: How consumers cope with the marketplace of overchoic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31, pp.361-370, 2016.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6.05.003
  21. J. L. Zaichk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3, pp.341-352, 1985. https://doi.org/10.1086/208520
  22.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소비자 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제5판, 서울: 법문사, 2011.
  23. B. A. Browne and D. O. Kaldenberg, "Conceptualizing self-monitoring: Links to materialism and product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4, No.1, pp.31-44, 1997. https://doi.org/10.1108/07363769710155848
  24. 백승익, 배순한, 송윤영,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에 있어서 소비자의 관여도와 지식수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을 중심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3, No.3, 2014.
  25. 김화진, 정양미, 한지수, "서비스관여도와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 몰입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45-163, 2013.
  26. 김한수, 소비자지식 관여가 구전정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7. M. L. Rothschild and W. C. Gaidis, "Behavioral Learning Theory: It's Relevance to Marketing and Promo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45, No.2, pp.70-78, 1981. https://doi.org/10.2307/1251666
  28. M. K. Ahuja and J. B. Thatcher, "Moving beyond intentions and toward the theory of trying: Effects of work environment and gender on post-adoption information technolog yuse," MIS Quarterly, Vol.29, No.3, pp.427-459, 2005. https://doi.org/10.2307/25148691
  29. C. Campbell, Shopping, Pleasure and the Sex War : The Shopping Experience, SAGE, 1997.
  30. D. Maheswaran and J. Meyers-Levy,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7, No.3, pp.361-367, 1990. https://doi.org/10.2307/3172593
  31. 안아림, 민동원, "소비자 온라인 리뷰(OCR)가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OCR 유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24권, 제3호, pp.23-50, 2013.
  32. F. Fujita, E. Diener, and E, Sandvik, "Gender Differences in Negative Affect and Well-Being: The Case for Emotional Intens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3, pp.427-43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3.427
  33. R. E. Ingram, D. Cruet, B. R. Johnson, and K. S. Wisnicki, "Self-Focused Attention, Gender, Gender Role, and Vulnerability to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6, pp.967-978,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67
  34. N. F. Awad and A. Ragowsky, "Establishing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through online word of mouth: An examination across gender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4, No.4, pp.101-121, 2008. https://doi.org/10.2753/MIS0742-1222240404
  35. S. Rodgers and M. A. Harris, "Gender and E-Commerce: An Exploratory Study," Jo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3, No.3, pp.322-329, 2003. https://doi.org/10.2501/JAR-43-3-322-329
  36. 이상기, 강명수, "O2O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요인: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의 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Vol.65, No.0, pp.155-190, 2016.
  37. W. K. Darley and E. S. Robert, "Gender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An Empirical Test of the Selectivity Model in Advertising Response,"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1, pp.41-56, 1995.
  38. J. J. Brown, A. J. Broderick, and N. Lee, "Word of mouth communication within online communities: Conceptualizing the online social network,"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21, No.3, pp.2-20, 2007. https://doi.org/10.1002/dir.20082
  39. 이문석, 황장선, "온라인 소비자 구전의 역할과 구전에 대한 질적 접근: 온라인 쇼핑물의 상품핑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7권, 제3호, pp.33-64, 2006.
  40. 최인혁, 박주영, 이철선, "온라인(Online) 상에서의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의존성," 한국유통학회, 제6권, 제2호, pp.109-133, 2002.
  41. 염희영, 영화 관람 행위에 미치는 정보원의 영향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오프라인(off-line) 구전과 온라인(on-line) 구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2. 남승규, "충동구매행동과 개인적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제12권, 제1호, pp.1-11, 1999.
  43. J. F. Engel, R. D. Blackwell, and P. W. Miniard, Consumer Behavior, 7th Ed., New York, The Dryden Press, 1993.
  44. 진홍근, 이은주, "제품 관여수준과 인터넷 구전메시지 유형이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제22권, 제1호, pp.85-115, 2007.
  45. C. Bakewell and V. W. Mitchell, "Male versus female consumer decision making styl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9, No.12, pp.1297-1300, 2006. https://doi.org/10.1016/j.jbusres.2006.09.008
  46. 정운영, 김영신, "은행서비스 질이 소비자만족도 및 긍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 성별, 연령집단에 따른 비교," 제47권, 제1호, pp.13-24, 2009.
  47. 강길호, 김종옥, "설득메시지에 나타난 공손표현과 성별이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1호, pp.5-36, 1998.
  48.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Philosophy and Rhetoric, Vol.10, No.2, pp.130-132, 1975.
  49. Y. Pan and B. Schmitt, "Language and Brand Attitudes: Impact of Script and Sound Matching in Chinese and English,"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5, No.3, pp.263-277, 1996.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0503_03
  50.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80.
  51. 이학식, "소비자 정보처리에 대한 관여도와 광고유형의 조정적 역할," 경영학연구, 제19권, 제2호, pp.87-116, 1990.
  52. 이태민, 김대원, "외재적 단서로서의 히트상품선정이 속성에 대한 신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제품관여도와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23권, 제4호, pp.71-103, 2008.
  53. 박철, 정수연, "온라인 소비자 구전에 대한 내용분석-사이트유형과제품유형에따른차이를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70호, pp.91-118, 2006.
  54. L. R. Klein, "Evaluating the Potential of Interactive Media through a New Lens: Search versus Experience Goo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41, No.3, pp.195-203, 1998 . https://doi.org/10.1016/S0148-2963(97)00062-3
  55. 박철, "실물구매의도와 인터넷 구매의도간의 차이 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광고연구, 제47권, 제3호, pp.37-6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