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ype of 'Courage' Described in Picture Book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Value Exploration

그림책 속에 나타난 '용기'의 유형과 유아교육적 가치 탐색

  • 유수경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
  • 채혜경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 플러스)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6.12.04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courage-related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courage was redefined and the type of courage was derived. After choosing 25 pictures books which relate to courage, we analyzed using the type of courage and their fea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urage is an act of trying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according to established clear goals based on personal beliefs in order to overcome inner and external difficulties. Second, we divided the courage into five types - Physical Courage, Challenge Courage, Belief Courage, Social Courage, Creative Courage- and presented each characteristic. Finally, by analyzing 25 picture books on the theme of courage according to these types and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picture books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courage-related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 courage scale.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라 (2011).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성훈 (2008). 소크라테스의 용기와 지혜의 동일성 논증과 프로타고라스의 반론:프로타고라스349e-351a. 철학연구, 82, 61-81.
  3. 곽영미 (2016). 그림책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과 아동의 미적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교육부 (2014).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부.
  5.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권석만 (2012). 인간의 긍정적 성품. 서울: 학지사.
  7. 김대수 (2004). 태도 형성론. 서울: 우신출판사.
  8. 김영실, 김진영, 김소양 (2010).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6쇄). 서울: 공동체.
  9. 김유석 (2011). 용기의 두 얼굴-등장인물 간의 대결구도를 통해 본 플라톤의 '라케스'. 서양고전학연구, 43. 77-126.
  10. 김진원 (200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대왕사.
  11. 김철민 (1999). 가치관 연구에 과한 비판적 고찰, 광주대학생생활연구, 6, 53-78.
  12. 김태환 (1997). 용기에 대한 소고. 일립논총, 5, 28-56.
  13. 김태훈 (2014). 용기의 미덕에 관한 연구. 도덕윤리와 교육, 44, 1-20.
  14. 김현희, 박상희 (2002). 유아문학교육. 서울: 학지사.
  15. 김혜옥 (2009). 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언어 및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남규 (2009).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비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문경희 (2014). 유아의 용기와 행복감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릉 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상희, 김명화, 천혜경 (2008).연령별 반복적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5), 115-139.
  19. 박선미, 유수경 (2008). 창의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아동학회지, 29(4), 231-248.
  20. 박찬옥, 이은영 (2011). 교사용 유아 용기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3), 1-21.
  21. 변윤희, 현은자 (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55.
  22. 보건복지부 (2014).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서울: 보건복지부.
  23. 안정이 (2013).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유수경, 정명숙, 송주연 (2008). 그림책 속에 나타난 친구관계 유형과 우정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39-67.
  25. 이대균, 백경순, 송정원, 이현정 (2013). 유아 문학교육. 서울: 공동체.
  26. 이상일 (2015). 성 토마스의 '용기'에 관한 연구. 철학논총, 82, 399-422.
  27. 이영자, 오진희 (2006).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개인적.가상적 내러티브와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107-133.
  28. 전수옥 (2015). 그림책을 통한 질문생성전략이 유아의 창의성과 도덕적 판단 및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정덕희 (2009). 유아의 조망수용, 마음이론과 정서지능의 관련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359-378.
  30. 정주원 (2005). 그림책을 활용한 상위언어인식 활동이 유아의 상위언어인식, 읽기능력,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지은주, 유승희, 김선옥, 양순경, 윤정빈 (2006). 유아가 가정에서 읽는 그림책에 나타난 마음 상태 표현: 그림책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3), 223-242.
  32. 지은주, 조희숙 (2010). 그림책 읽기에서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전략과 유아의 마음이론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49-74.
  33. 최혜경, 유순화 (2015). 한국인 용기 척도의 개발 타당화. 교육혁신연구, 25(3), 303-322.
  34. 하동석 (2010). 취업면접 절대비결. 서울: 새정보미디어.
  35. 한국심리학회 (2014). 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한국심리학회.
  36. 허윤희 (2011). 용기의 구성개념탐색: 한국 대학생의 암묵이론.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현은자, 김세희 (1996).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한국유아교육학회, 16(2), 5-26.
  38. 황인희 (2016). 그림책 표지 탐색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3). 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2), 285-309.
  40. 황해익, 채혜경 (2016, 5). 용기 관련 연구 경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분과발표논문, 대구.
  41. Aquinas, T. (1948). Introduction to ST. Thomas Aquinas: The Summa theologica, The Summa contra gentiles. NY: Tandom House.
  42. Bandura, A. (1965). Influence of a model's reinforcement contingencies on the acquisition of imitative res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6), 589-595. https://doi.org/10.1037/h0022070
  43. Bruner, J. S. (1990). Acts of meaning.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4. Cougle, J. S. (2008). An examination of courage behavioral in a laboratory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X.
  45. Dunlap, R. E., Grieneeks, J. K., & Rokeach, M. (1983). Human valu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W.D. Conn(Ed), Energy and material rewouces: Attitudes, Values, and Public Policy (pp.145-168). CO: Westiew.
  46. Endsley, M. R. (1988). Situation Awareness Global Assessment Technique (SAGAT). In Naecon(Ed.),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erospace and Electronics Conference (pp. 789-795). NY: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47. Greitemeyer, T., Osswald, S., Fischer, P., & Frey, D. (2007). Civil courage: Implicit theories, related concepts, and measurement.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2), 115-119. https://doi.org/10.1080/17439760701228789
  48. Harms, J. M., & Lettow, L, J. (1997). Lift stories in children's books. Social Education, 61(4), 205-216.
  49. Hergenhahn, B. R., & Olson, M. H. (2007). Introduction to theories of learning, 학습심리학(김영채 옮김). 서울: 박영사(원판 2006).
  50. Kohut, H. (1979). Self-psychology and the humanities: Reflections on a new psychoanalytic approach. NY: W. W. Norton.
  51. Lai, A. W. (1995). Consumer values, product benefits and customer value: a Consumption Behavior. Approa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2, 381-388.
  52. Linda, E., & Richard, E. (2005). Teaching Your Children Values, 아름다운 가치(박찬옥 옮김). 서울: 한울림(원판 1993).
  53. Locke, E. A. (1968). Toward a theory of task motivation and incentiv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57-189. https://doi.org/10.1016/0030-5073(68)90004-4
  54.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3).
  55. Lopez, S. J. (2011).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권석만, 정지현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8).
  56. May, R. (1999). The courage to create, 창조와 용기(안병무 옮김). 서울: 범우사(원판 1994).
  57. Moustakis, C. E. (1977). Creative life. NY: Van Nostrand.
  58. Norton, P. J., & Weiss, B. J. (2009). The role of courage on behavioral approach in a fear eliciting situation: A proof-of-concept pilot stud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3(2), 212-217. https://doi.org/10.1016/j.janxdis.2008.07.002
  59. O'Byrne, K. K., Lopez, S. J., & Petersen, S. (2000, August). Building a theory of courage: A precursor to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108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60.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
  61. Pury, C. L. S., & Lopez, S. J. (2009). Courage. In S. Lopez & C. R. Snyder (Eds.),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375-382). NY: Oxford University Press.
  62. Putnam, D. (1977). Psychological courage. Philosophy, Psychiatry and Psychology, 4, 1-11.
  63. Rachman, S. J. (1984). Fear and courage. Behavior Therapy, 15(1), 109-120. https://doi.org/10.1016/S0005-7894(84)80045-3
  64. Richards, R. (1993). Everyday creativity, eminent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Psychological Inquiry, 4, 212-217.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0403_12
  65.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Y: The Free Press.
  66. Schickedanz, J. A. (1986). More than the ABCs: The early stages of reading and writing. Washington, DC: NAEYC.
  67. Shelp, E. E. (1984). Courage: A neglected virtue i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8(4), 351-360. https://doi.org/10.1016/0277-9536(84)90125-4
  68. Tubbs, M. E. (1986). Goal setting: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y, 71(3), 474-483. https://doi.org/10.1037/0021-9010.71.3.474
  69. Woodard, C. R., & Pury, C. L. S. (2007). The construct of courage: categorization and measurement.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59(2), 135-147. https://doi.org/10.1037/1065-9293.59.2.135